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배경 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2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 15
제2장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한 기록물의 '개념적 구성' 16
제1절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록물관리 16
1. 지배담론의 해체와 다양성 16
2. 상대성과 주관성의 의미 19
3. 기록물관리 담론 변화와 아키비스트의 주체적 역할 22
제2절 기록물의 개념적 구성과 컨티뉴엄 및 기호학 이론 24
1. 기록물의 개념적 구성의 이해와 컨티뉴엄 이론 24
2. 기호학 방법론 소개 28
3. 퍼스의 기호 작용 개념 30
제3절 '개념적 구성'의 내용과 실체 35
1. 상징화와 의미 만들기 35
2. 맥락적 접근 37
제3장 공군 시청각 기록콘텐츠의 기호작용과 개념적 구성 41
제1절 공군 역사기록관리단의 기록관리 41
1. 개념적 구성으로서 기록관리와 기록콘텐츠 41
2. 시청각 기록물 아카이빙과 기록의 활용 46
제2절 공군 시청각 기록콘텐츠와 기호작용 51
1. 시청각 기록의 특성과 스토리텔링 51
2. 시청각 기록콘텐츠 사례 '보라매공원의 공군 이야기' 55
3. '보라매공원의 공군 이야기'의 기호작용 65
제3절 기억과 정체성을 위한 공군 아카이브 68
1. 기억들의 교차와 축적 68
2. 정체성의 구성 73
제4절 기록물관리와 활용의 기호작용 77
제4장 결론 82
참고문헌 86
Abstracts 90
〈그림 1〉 공군마크 10
〈그림 2〉 기록, 기호, 상징화, 의미화, 조직 문화의 상관관계 12
〈그림 3〉 업워드의 레코드 컨티뉴엄 도해 27
〈그림 4〉 퍼스의 기호 삼부형 이론 31
〈그림 5〉 기호작용의 예시 32
〈그림 6〉 기록의 기호실천 모형 33
〈그림 7〉 장-프랑수아 「이삭줍기」 1857 35
〈그림 8〉 공군 역사기록관리단의 기록관리 체계 42
〈그림 9〉 2015, 2016년 공군역사 UCC 공모전 포스터 44
〈그림 10〉 내부이용자 대상 시청각 기록물 활용 흐름도 51
〈그림 11〉 1956.12.12 현재 보라매공원인 서울 대방동 캠퍼스 이전 56
〈그림 12〉 서울 대방동 캠퍼스 공군사관학교 모습 57
〈그림 13〉 공군사관학교 생도 회관 58
〈그림 14〉 생도들의 연병장 잔디 만드는 모습 59
〈그림 15〉 1964년 7월 공사교회준공식 61
〈그림 16〉 현재 보라매공원의 '충효 호국비천 탑'의 모습 62
〈그림 17〉 1970년 인공호수 조성공사 착수 모습 63
〈그림 18〉 시청각 기록콘텐츠 구축 사례 '보라매공원의 공군 이야기' 64
〈그림 19〉 퍼스의 삼부형 이론에 근거한 '보라매공원의 공군 이야기' 66
〈그림 20〉 '보라매공원의 공군 이야기'를 통한 기호작용 66
〈그림 21〉 대방동, 청주 캠퍼스에서 공부한 생도들의 기호작용 68
〈그림 22〉 기억의 교차 '명예'의 기호작용 72
〈그림 23〉 증거축을 기준으로 한 레코드 컨티뉴엄 도해 74
〈그림 24〉 1970년도, 보라매공원 정문의 성무탑 79
〈그림 25〉 문화 활용성 도식 82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s of organization identity establishment in the area of archival contents service to find way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records that are emphasized by the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According to Frank Upward, records are made up with physical entities, logical entities and conceptual constructs. The study stars from the viewpoint of records as 'conceptual constructs'.
The time i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ar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latform, open archives will be a key by collecting, preserving, curating and making people to utilize etc. Physical objects are easy to be replaced by robot technology but the symbolic signification of archives as 'conceptual constructs' depends on archivist's ability.
Recently, conviction on objectivity and neutrality of records has broken down by the influence of the postmodernism that respects the relativity and diversity on archival science. Thu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archivists are able not only to preserve records but also re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record contents.
Based on such an active archivist's role,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how the audiovisual records content, 'Air Force Story of Boramae Park' influenced the memories of organization's individual through analysing two theories: Records Continuum and Semiotics. In accordance with these theories, this study revealed the interaction of social and cultural memory in the group via 'Air Force Story of Boramae Park' and concluded it could compose collective memories and identity making the organization sustainable. Therefore this study is worthy in the way of putting the theories into practical area.
The paper also considers the other organizations could benchmark the cases of archival contents service of Republic of Korea Air Forces History & Archives Management Agency and more archival contents are actively made with the expectation of being the Renaissance-type of the Archivist.*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