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의 내용 10

3. 용어의 정의 10

가. 인권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10

나. 민주시민의식 11

4. 연구의 제한점 11

II. 이론적 배경 12

1. 인권교육 12

가. 인권과 인권교육 12

나. 인권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 14

다. 융합인재교육과 인권교육과의 관련성 16

2. 융합인재교육(STEAM) 20

가. STEM과 STEAM교육 20

나. 융합인재교육의 학습 준거 22

3. 융합인재교육과 인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24

가. 인성, 인권 및 정의적 영역에 초점을 둔 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 24

나. 기존 인권교육프로그램들에 대한 고찰 26

III. 연구 방법 29

1. 연구 대상 29

2. 실험 설계 30

3. 검사 도구 31

가. 민주시민의식 측정 설문의 구성 31

나. 신뢰도 검증 32

다. 자료 수집 및 분석 33

4.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4

가. 프로그램 개발 과정 34

나. 프로그램 적용의 실제 45

IV. 연구 결과 및 분석 49

1.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전 검사 49

2. 실험반의 사전-사후 민주시민의식 검사 결과 분석 50

3. 집단 간 사후검사 민주시민의식 검사 결과 분석 51

4. 정성적 분석 결과 53

가. 면담의 준비 53

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었던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54

다. 학생들에게 도전과 성취를 안겨주었던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55

V. 결론 및 제언 59

1. 결론 59

2.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 67

[부록1] 민주시민의식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검사지 68

[부록2] 인권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지도안과 학습지 72

ABSTRACT 85

표목차

〈표 II-1〉 인권의식의 3요소 15

〈표 II-2〉 융합인재의 핵심 역량 및 4C 18

〈표 II-3〉 융합인재교육(STEAM) 세부요소 23

〈표 II-4〉 인성 과 인권 등 정의적 영역에 초점을 둔 융합인재교육... 24

〈표 II-5〉 기존 인권교육프로그램들에 대한 선행 연구 27

〈표 III-1〉 실험반과 비교반 비교 29

〈표 III-2〉 민주시민의식 측정 설문 검사지 31

〈표 III-3〉 민주시민의식 측정 설문 문항 신뢰도 검증 결과 32

〈표 III-4〉 존엄성 문항 삭제 시의 Cronbach의 α 값 33

〈표 III-5〉 PDIE 모형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35

〈표 III-6〉 지역 사회의 문제 해결방안 탐색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추출 37

〈표 III-7〉 융합인재교육의 준거에 따른 프로그램의 설계 39

〈표 III-8〉 인권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지도안 예시 41

〈표 III-9〉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시별 학습 내용 비교 43

〈표 IV-1〉 실험반과 비교반의 민주시민의식 사전 검사 결과 49

〈표 IV-2〉 실험반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 50

〈표 IV-3〉 비교반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 51

〈표 IV-4〉 실험반과 비교반의 민주시민의식 사후 검사 결과 52

〈표 IV-5〉 학생 면담을 위하여 사전에 준비한 질문 53

〈표 IV-6〉 수업 참여도 '보통'으로 응답한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 면담 54

〈표 IV-7〉 실험반의 각 그룹 학생 면담 55

〈표 IV-8〉 비교반의 각 그룹 학생 면담 57

그림목차

[그림 II-1] 인권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요소 13

[그림 II-2] 창의 역량과 인성 역량 19

[그림 II-3] 김진수의 STEM 교육 이론을 도출하기... 20

[그림 II-4] STEAM 교육의 피라미드 모형 21

[그림 II-5] 융합인재교육(STEAM) 학습 준거 22

[그림 III-1] 실험 설계 30

[그림 III-2]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모형 비교 34

[그림 III-3] 상황 제시 단계에서의 활동 모습 45

[그림 III-4] 농사 현장을 축소한 모형 46

[그림 III-5] 학생들이 작성한 문제해결을 위한 설계 46

[그림 III-6] 시제품 제작과 테스트 및 발표 모습 47

[그림 III-7] 감성적 체험 단계에서의 활동 산출물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