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14
제2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16
제3절 연구 방법 18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19
제1절 기호학적 관점: 소쉬르, 퍼스, 롤랑 바르트 19
제2절 문화콘텐츠적 관점: 소통과 공감 24
제3장 이모티콘 문화의 개념과 특징 27
제1절 이모티콘의 개념 27
제2절 이모티콘의 분류 28
1. 텍스트 이모티콘 28
2. 그림 이모티콘 30
3. 캐릭터 이모티콘 31
제3절 이모티콘 문화의 특성과 기능 32
1. 이모티콘 문화의 특성 33
2. 이모티콘 문화의 기능 39
제4장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비교 42
제1절 한국 이모티콘 문화의 사례 42
1. 한국 이모티콘 문화의 대표적인 사례 42
2. 한국 이모티콘 문화의 특징 분석 53
제2절 중국 이모티콘 문화의 사례 58
1. 중국 이모티콘 문화의 대표적인 사례 58
2. 중국 이모티콘 문화의 특징 69
제3절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 75
1.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공통점 75
2.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차이점 80
제5장 한-중 이모티콘 문화 콘텐츠 향후 발전 방향과 시장 전망 86
제1절 이모티콘의 OSMU 86
제2절 이모티콘 시장 발전에 따른 저작권 보호 92
제3절 한-중 이모티콘 문화산업 협력 전망 97
제6장 결론 101
참고문헌 106
ABSTRACT 111
中文摘要 115
〈표2-1〉 신화의 일반적인 형성 과정 23
〈표2-2〉 잡지 〈파리 마치〉 표지를 기호학으로 분석 23
〈표3-1〉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텍스트 이모티콘 29
〈표3-2〉 이모티콘의 특성 36
〈표3-3〉 이모티콘 문화의 특성 38
〈표3-4〉 이모티콘의 기능 41
〈표3-5〉 이모티콘 문화의 기능 42
〈표4-1〉 라인 그림 이모티콘-눈물이 난다 43
〈표4-2〉 한국 프로그램에 나타난 명장면을 소재로 만든 이모티콘 51
〈표4-3〉 부원혜 이모티콘 64
〈표4-4〉 페이스북 이모티콘 전쟁의 전 과정 67
〈표4-5〉 페이스북 이모티콘 전쟁에서 네티즌이 사용했던 이모티콘 68
〈표4-6〉 QQ 이모티콘의 새로운 의미 71
〈표4-7〉 이모티콘이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되었다 72
〈표4-8〉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공통점 79
〈표4-9〉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차이점 86
〈표5-1〉 다양한 라인 파생상품 87
〈표5-2〉 이모티콘의 수익모델 94
〈그림2-1〉 기호는 기표와 기의로 구성된다 20
〈그림2-2〉 언어기호의 구성 요소 20
〈그림2-3〉 퍼스의 기호학 삼부모형 21
〈그림2-4〉 기호의 3가지 범주의 존재양식 22
〈그림2-5〉 의사소통 과정 25
〈그림2-6〉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하는 과정 25
〈그림2-7〉 문화콘텐츠의 기호모델 26
〈그림3-1〉 카카오톡 이모티콘 캡처 30
〈그림3-2〉 emoji 이모티콘 캡처 30
〈그림3-3〉 emoji 이모티콘 캡처-운동 30
〈그림3-4〉 emoji 이모티콘 캡처-음식물 30
〈그림3-5〉 카카오톡 캐릭터 이모티콘 31
〈그림3-6〉 백현의 사진을 활용한 이모티콘 31
〈그림3-7〉 최성국 이모티콘 32
〈그림3-8〉 타오의 사진을 활용한 이모티콘 32
〈그림4-1〉 라인 이모티콘-음식물 44
〈그림4-2〉 이모지 이모티콘-음식물 44
〈그림4-3〉 라인 이모티콘-제스처 44
〈그림4-4〉 이모지 이모티콘-제스처 44
〈그림4-5〉 라인 캐릭터 이모티콘-샐리 45
〈그림4-6〉 라인 이모티콘-브라운과 코니 45
〈그림4-7〉 카카오톡 캐릭터 이모티콘 47
〈그림4-8〉 카카오톡의 그림 이모티콘 47
〈그림4-9〉 카카오톡 캐릭터 이모티콘-네오 48
〈그림4-10〉 카카오톡 이모티콘-튜브 48
〈그림4-11〉 카카오톡 이모티콘-네오와 프로도 49
〈그림4-12〉 아이돌 이모티콘-인피니트 52
〈그림4-13〉 아이돌 이모티콘-엑소 52
〈그림4-14〉 의인화된 캐릭터 이모티콘 54
〈그림4-15〉 전지현의 이모티콘 54
〈그림4-16〉 카카오톡 일부의 대표적인 이모티콘 56
〈그림4-17〉 SM회사의 파생상품 전문점 57
〈그림4-18〉 카카오톡 파생상품 전문점 57
〈그림4-19〉 팬들이 파생상품을 사고 있다 57
〈그림4-20〉 다양한 카카오톡 파생상품 57
〈그림4-21〉 야오밍의 웃는 표정으로 만든 이모티콘 59
〈그림4-22〉 최성국이 김관장 역을 연기하였다 59
〈그림4-23〉 최성국 이모티콘 59
〈그림4-24〉 하나자와 카나의 웃음 61
〈그림4-25〉 빙고북의 미소 이모티콘 61
〈그림4-26〉 〈워아이워쟈〉에 갈우가 소파에 앉아 있는 장면 62
〈그림4-27〉 '갈우탄'이모티콘 63
〈그림4-28〉 '갈우탄' 이모티콘-배 고파 63
〈그림4-29〉 '갈우탄' -한잔 하자 63
〈그림4-30〉 중국 사람들이 부원혜의 매력에 빠졌다 64
〈그림4-31〉 쯔위가 대만 깃발을 흔들어 중국에서 논란이 일었다 66
〈그림4-32〉 임경신이 쯔위의 사과 동영상을 리포스트하였다. 67
〈그림4-33〉 QQ이모티콘-미소 70
〈그림4-34〉 emoji이모티콘-미소 70
〈그림4-35〉 QQ 이모티콘-잘 가 71
〈그림4-36〉 패러디 이모티콘의 구성 방식 및 유행하는 이유 73
〈그림4-37〉 QQ이모티콘의 이미지가 두 번의 변화를 겪었다 76
〈그림4-38〉 거요우 이모티콘-죽도록 공부한다 77
〈그림4-39〉 라인 캐릭터 이모티콘-Moon 78
〈그림4-40〉 카카오톡 이모티콘-어피치 82
〈그림4-41〉 중국에서 흑백 이모티콘은 대세이다 82
〈그림4-42〉 이모티콘-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85
〈그림4-43〉 이모티콘-만나서 반가워 85
〈그림5-1〉 메디힐 라인프렌즈 마스크팩 89
〈그림5-2〉 카카오톡 캐릭터 신용카드 89
〈그림5-3〉 반스와 라인프렌즈가 만났다 89
〈그림5-4〉 귀여운 카카오톡 빵 89
〈그림5-5〉 삼생삼세십리도화 이모티콘 90
〈그림5-6〉 삼생삼세십리도화 이모티콘 90
〈그림5-7〉 중국 배우 양미의 SNS 캡처 90
〈그림5-8〉 이모티콘-태양의 후예 91
〈그림5-9〉 이모티콘-구르미 그린 달빛 91
〈그림5-10〉 라인 다운 애니메이션 영상 캡 92
〈그림5-11〉 라인 다운 애니메이션 캡처 92
〈그림5-12〉 2015년도 한국의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발전 현황 92
〈그림5-13〉 삼둥이 이모티콘 캡처 98
〈그림5-14〉 쌍둥이 이모티콘 캡처 98
〈그림5-15〉 위챗 어플 캡처-포상금을 6개 등급으로 나눈다 99
〈그림5-16〉 사람들이 상하이 지점 문 앞에서 줄을 서고 있다 100
인터넷 기술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모티콘의 이미지와 표현 형식이 더욱 풍부해지고 있다. 이모티콘은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재미있고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어서 의사소통 과정에 빼질 수 없는 일부가 되었다. 최근 한국과 중국의 이모티콘 산업은 호황기에 진입하고 있다. 이모티콘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시각적 기호일 뿐만 아니라 경제 산업을 이끄는 신흥산업 (新興産業) 이기도 하다. 이모티콘 유료 다운로드뿐만 아니라, OSMU (one-source, multi-use) 전략을 통해 의류, 화장품, 애니메이션, 게임 등 여러 가지 파생상품으로 경제적 이익을 얻는 이모티콘 관련 산업이 아주 많다. 최근 몇 년 간, 한국과 중국은 문화교류와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한-중 양국의 협력 분야는 이모티콘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의 이모티콘은 중국에서도 인기가 많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 배경과 사회 관습이 공통점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차이점도 아주 많다. 한-중 양국의 이모티콘 문화도 마찬가지다.
본 논문은 기호학과 문화콘텐츠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과 중국의 이모티콘(한국: 카카오톡 이모티콘, 라인 이모티콘, 연예인의 사진을 활용한 이모티콘; 중국: 이모티콘계의 트로이카, 다양한 영상작품을 기반으로 한 이모티콘, 페이스북(facebook)상의 이모티콘 전쟁)을 비교해 분석하고, 이에 따라 한-중 이모티콘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이모티콘 산업이 신흥산업이라서 산업 생태계가 갖추어지지 않았고, 관련 법규는 미비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모티콘 사업의 문제점을 분석 후 초보적인 해결 방안을 제기하였다. 이 글을 통한, 한국과 중국의 이모티콘 산업의 협력을 촉진하고, 관련 법규를 보완하고, 국민 경제가 신속히 발전하도록 추진하길 바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