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초록
목차
서론 12
I. 연구배경 12
II. 연구목적 14
III. 연구 방법 및 범위 17
제1장 작품 형성의 배경 18
1.1. 페미니즘의 개념 19
1.2. 페미니즘의 기원과 사회적 발전 22
1.3. 국내 페미니즘 디자인 27
제2장 남녀 성 역할 30
2.1.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에서의 성역할 및 개념 30
2.2. 남녀의 성역할에 대한 이해와 차이 32
2.3. 양성평등 34
1) 남녀평등주의 34
2) 성 차별 35
3) 성 역할 고정관념 37
2.4. 역할체험 38
1) 역할체험의 사례 39
제3장 작품설명 및 작품제작 41
3.1. 작품설명 41
3.2. 작품제작 과정 및 설명 43
1) 직접 체험을 통한 남녀 자세 의자 47
2) 부모님을 통한 성 역할 간접 체험 사진 시리즈 54
3) 성 역할 체험놀이 보드게임 64
제4장 결론 83
참고문헌 85
ABSTRACT 88
그림 1. OECD 주요국 성별 고용률 격차, OECD, 2015 16
그림 2. OECD 주요국 성별 임금 격차, OECD, 2015 16
그림 3. 뉴욕 여성행진, 심미섭, 2017 24
그림 4. 케빈 인 더 캠프, 김재현, 2017 26
그림 5. 한겨레, 페미니즘, 대중의 목소리를 입다, 2016 27
그림 6. Thinx, 2015 28
그림 7. OECD 주요국 성별 임금 격차, OECD, 2015 36
그림 8. Rose quartz & Serenity 42
그림 9. Rose quartz & Serenity 44
그림 10. 성 박물관, 남녀의 색깔, 2017 46
그림 11. 원기둥 47
그림 12. 의자 모습과 원기둥 47
그림 13. 원기둥 만드는 과정 48
그림 14. 원기둥 높이 측정 과정 48
그림 15. 남성 의자 만드는 과정 1 49
그림 16. 남성 의자 만드는 과정 2 49
그림 17. 여성 의자 만들기 과정 50
그림 18. 남성 의자 만들기 과정 3 51
그림 19. The period game, 생리에 대해 배우는 보드게임 64
그림 20. 인생 게임 67
그림 21. 남자 프러포즈 자세 70
그림 22. 남자 양반다리 자세 71
그림 23. 여자 무릎 꿇기 자세 72
그림 24. 여자 엑스자로 다리 꼬고 앉은 자세 73
작품 1. 남녀 자세 의자 52
작품 2. 남녀 자세 의자 52
작품 3. 남녀 자세 의자 미니어처 도면, ZBRUSH, MAYA 53
작품 4. 남녀 자세 의자 미니어처 도면, ZBRUSH, MAYA 53
작품 5. 남녀 자세 의자 미니어처, plastic, 3D printing 53
작품 6. 남녀 자세 의자 미니어처, plastic, 3D printing 53
작품 7. 역할놀이 시리즈 의자 편 1 55
작품 8. 역할놀이 시리즈 의자 편 2 56
작품 9. 역할 놀이 시리즈 고백 편 1 57
작품 10. 역할 놀이 시리즈 고백 편 2 57
작품 11. 역할 놀이 시리즈 프러포즈 편 1 57
작품 12. 역할 놀이 시리즈 프러포즈 편 2 57
작품 13. 역할 놀이 시리즈 넥타이 메주기 58
작품 14. 역할 놀이 시리즈 유혹하기 편 1 58
작품 15. 역할 놀이 시리즈 유혹하기 편 2 58
작품 16. 역할 놀이 시리즈 유혹하기 편 3 58
작품 17. 역할 놀이 웨딩 편 1 59
작품 18. 역할 놀이 웨딩 편 2 59
작품 19. 역할 놀이 웨딩 편 3 59
작품 20. 역할 놀이 남녀 성역할 편 1 60
작품 21. 역할 놀이 남녀 성역할 편 2 60
작품 22. 역할 놀이 남녀 성역할 편 3 61
작품 23. 역할 놀이 남녀 성역할 편 4 61
작품 24. 역할 놀이 성역할 편 5 62
작품 25. 역할 놀이 성역할 편 6 62
작품 26. 역할 놀이 일상생활 편 1 63
작품 27. 역할 놀이 일상생활 편 2 63
작품 28. 롤플레잉 게임, 보드게임 판 65
작품 29. 롤 플레잉 게임, 보드게임 판 66
작품 30. 롤 플레잉 보드게임 1 68
작품 31. 롤 플레잉 보드게임 2 68
작품 32. 남자 게임 말 , plastic, 3D printing 69
작품 33. 롤 플레잉 게임 말 3D 모형, plastic, 3D printing 69
작품 34. 여자 프러포즈 자세 도면, ZBRUSH, MAYA 70
작품 35. 여자 아빠다리 자세 도면, ZBRUSH, MAYA 71
작품 36. 남자 무릎 꿇기 자세 도면, ZBRUSH, MAYA 72
작품 37. 남자 엑스자로 다리 꼬고 앉은 자세 도면, ZBRUSH, MAYA 73
작품 38. 롤 플레잉 보드게임 큰 사이즈 상자 1 74
작품 39. 롤 플레잉 보드게임 큰 사이즈 상자 2 75
작품 40. 직업 카드 1, plastic 76
작품 41. 직업 카드 2, plastic 77
작품 42. 직업 카드 3, plastic 78
작품 43. 생리대 사용 카드, plastic 79
작품 44. 게임 머니, wood free paper 80
작품 45. 롤 플레잉 게임 설명서 앞면 81
작품 46. 롤 플레잉 게임 설명서 뒷면 81
작품 47. 롤 플레잉 보드게임 패키지 1 82
작품 48. 롤 플레잉 보드게임 패키지 2 82
페미니즘의 목적은 첫째로 여성을 억압하고 있는 객관적 현실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그 해결책을 찾는 것, 둘째로 남성의 사회적 경험과 방식을 표준적인 것으로 보편화하려는 사회적 편견이나 태도를 없애는 것, 셋째로 스스로 억압받고 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느끼는 여성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 넷째로 여성들이 가진 특수성이나 남녀의 정당한 차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의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여성과 남성의 영역 혹은 성 문제에 대한 인정 등 다양한 측면에서 페미니즘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만일 여성이 남성과 사회적으로 평등하다면 특정 남성이나 특정 문제에서도 평등한지, 혹은 여성이 남성에게서 기회의 평등을 요구하거나 결과의 평등을 요구해야 하는지. 아니면 반대로 남성이 여성과 서로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고 가정했을 때, 그 차이가 자연적인 건지 생물학적 차이인지 아니면 사회적인 차이나 경제적인 차이인지 이에 따른 시각이나 입장에 따라서 페미니즘의 방향과 정의는 달라진다.
따라서 이 연구는 페미니즘의 개념 및 성 역할, 이에 대한 시각적 요소를 기반을 둔 성 역할 자세 체험을 연구함으로써 페미니즘에 대한 단편적인 인식을 바로잡고 남녀가 서로의 성(性)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 또한, 사회가 만들어낸 남녀의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가부장적 사회에서 벗어나,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권리 및 가치를 느낄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남녀노소를 국한하지 않은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는 페미니즘에 대한 편향된 인식에서 벗어나 남성과 여성 모두의 성향과 특징을 고려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페미니즘을 논의한 기존 선행 연구와 문헌들을 기반을 둔 이론적 고찰을 통해 페미니즘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남녀가 보편적으로 쓰는 성 역할 및 자세와 제스처의 특징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시각물을 제작하여 남녀에게 서로의 성 역할을 간접 체험 및 직접 체험을 통해 서로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유도한다. 또한, 사용자가 체험한 경험을 토대로 페미니즘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작품의 제작 과정은 보편적인 성 역할 자세를 남녀가 바꾸어 체험할 수 있는 의자와 성별에 따라 전형적으로 취하는 자세, 제스처 및 성 역할을 바꿔서 부모님이 모델이 되어 사진으로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작품과 신체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남성이나 여성이 대체로 해왔던 성 역할을 바꾸어 체험할 수 있는 보드게임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를 위해 페미니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학술조사를 통하여 의자 제작 및 자세 법, 제스처와 성 역할을 통한 사진과 보드게임을 기반으로 페미니즘에 대한 시각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페미니즘을 주제로 다양한 시각적 형태로 제작된 시각물들이 시각디자인과 페미니즘에 미치는 영향과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또한, 단순히 남녀의 신체구조 때문만이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이나 사회적 관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간접적으로 배운 자세나 제스처로 인하여 생긴 서로의 성에 대한 오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작품은 사용자가 직접 체험과 간접 체험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쉽고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성 역할이라는 틀을 깨고 남녀가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페미니즘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