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I. 서론 10
II.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토카타 바장조,BuxWV156』 11
1. 시대적 배경과 생애 11
2. 작품 개요 12
3. 연주법 및 음색조합 17
III. 요한 세바스찬 바흐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 BWV548』 20
1. 시대적 배경과 생애 20
2. 작품 개요 22
3. 연주법 및 음색조합 29
IV. 요세프 가브리엘 라인베르거 『소나타 8번 마단조, Op.132』 IV. Introduction and Passacaglia 32
1. 시대적 배경과 생애 32
2. 작품 개요 34
3. 연주법 및 음색조합 38
V. 루이 비에른 『24개의 자유곡 모음집, Op.31』 No.5 Prèlude, No.14 Scherzetto 40
1. 시대적 배경과 생애 40
2. 작품 개요 42
(1) 프렐류드(No.5 Prèlude) 42
(2) 스케르쩨또 (No.14 Scherzetto) 45
3. 연주법 및 음색조합 47
(1) 프렐류드(No.5 Prèlude) 47
(2) 스케르쩨또 (No.14 Scherzetto) 48
VI. 콜린 모비 『오르간 소나타 1번』 50
1. 시대적 배경과 생애 50
2. 작품 개요 52
(1) 1악장: 서주, 주제, 4개의 변주곡과 판타지 52
(2) 2악장: 비가(Elegy) 55
(3) 3악장: 피날레 56
3. 연주법 및 음색조합 57
VII. 결론 59
참고문헌 61
부록. 이화여대 김영의홀의 오르간 64
ABSTRACT 65
[악보 1] 토카타 양식의 특징 14
[악보 2] 푸가1의 주제와 조적응답, 마디 32-39 15
[악보 3] 연결부에서 나타나는 토카타 양식의 특징, 마디 64-72 15
[악보 4] 푸가2의 주제, 응답과 에피소드 16
[악보 5] 종결부의 특징, 마디 113-115, 136-140 17
[악보 6] 주제 선율 A1의 싱코페이션 리듬과 도약음정, 마디 1-4 24
[악보 7] 대주제 선율 B1, 마디 19-23 24
[악보 8] 대주제 선율 C, 마디 51-53 25
[악보 9] 주제, 응답과 대주제 제시, 마디 1-10 27
[악보 10] 음형 a의 등장, 마디 60-63 27
[악보 11] 음형 b의 등장, 마디 84-88 28
[악보 12] 음형 c의 등장, 마디 120-123 28
[악보 13] 프렐류드의 2+2 아티큘레이션, 마디 19-20 29
[악보 14] 푸가의 1+2+1 아티큘레이션, 마디 6-7 30
[악보 15] 파사칼리아의 주제 선율, 마디 1-8 35
[악보 16] 서주의 프레이즈 예시, 마디 1-5 38
[악보 17] 변주 13의 슬러 아티큘레이션의 예, 마디 105-106 39
[악보 18] 악구 a에 나타난 조성 및 선율의 진행, 마디 1-2 43
[악보 19] 악구 b의 병행 화음, 마디 8-10 44
[악보 20] 악구 c의 동형진행을 통한 음색대비, 마디 32-33 44
[악보 21] A의 모티브 제시, 마디 1-2 46
[악보 22] B의 모티브와 3도 병행의 반음계 진행, 마디 17-18 47
[악보 23] C부분에 나타난 16마디 음형의 발전과 반음계 진행, 마디 31-33 47
[악보 24] 모티브 a와 b의 제시, 마디 1-5 53
[악보 25] 2악장 2분음표 화음 진행의 연주법, 마디 3-4 57
본 논문은 2016년 11월 25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전공 박리나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김영의홀의 칼 슈케(Karl Schuke)오르간에서의 연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연주회 프로그램은 작곡 시대에 따라 바로크, 낭만, 현대 순이며, 세부적으로는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의 『토카타 바장조, BuxWV156 (Toccata in F Major, BuxWV156)』 ,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 BW548(Prelude and Fugue in E minor, BWV548)』 , 요세프 가브리엘 라인베르거(Josef Gabriel Rheinberger, 1839-1901)의 『소나타 8번 마단조, Op.132(Sonata No.8 in E minor, Op.132)』 중에서 4악장 서주와 파사칼리아(Introduction and Passacaglia), 루이 비에른(Louis Vierne, 1870-1937)의 『24개의 자유곡 모음집, Op.31(24 Pièces en style libre, Op.31)』 중 5번 프렐류드(Prèlude), 14번 스케르쩨또(Scherzetto), 콜린 모비(Colin Mawby, 1936-)의 『오르간 소나타 1번(Organ Sonata No.l)』 의 5곡이다.
바로크 북독일 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북스테후데의 『토카타 바장조, BuxWV156』 는 도입부-푸가1-연결부-푸가2-종결부의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상적 양식(Stylus Phantasticus)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주법인 논 레가토(Non Legato)를 바탕으로 연주하며, 부분적으로는 레가토(Legato) 주법이 필요하다. 음색은 토카타에서는 오르가노 플레노(Organo pleno)의 음색으로, 푸가는 손건반과 페달을 같은 계열의 음색으로 선택하였다.
독일의 작곡 양식을 풍성하게 만든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 BWV548』 는 리토르넬로(Ritornello) 구조의 전주곡과 다 카포 아리아(Da capo aria) 형식의 푸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의 효과적인 연주를 위해서는 논 레가토를 바탕으로 연주하되, 부분적으로는 다른 아티큘레이션을 적용해야한다. 또한 푸가의 빠른 스케일 음형에서는 핸드 디스트리뷰션(Hand Distribution), 즉 양손의 분배를 고려하여 연주해야 한다. 연주자는 전주곡에서 믹스츄어(Mixture)가 포함되는 큰 플레노의 음색을 선택하여 웅장함과 화려함을 표현하였으며, 푸가는 전주곡의 음색에 페달의 리드(Reed)음색을 더하여 베이스에서의 주제 선율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하였다.
독일 낭만주의 시대 오르가니스트·작곡가·교사로 활동하던 라인베르거는 바흐의 대위법, 형식 등 전통적 기법에 따라 오르간 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오르간 소나타 20곡 중 『소나타 8번 마단조, Op. 132』 의 4악장 서주(Introduction)와 파사칼리아(Passacaglia)는 바로크 형식으로 작곡된 것으로, 서주는 코다에 재등장하여 곡에 통일성을 부여하며 파사칼리아는 8마디의 주제를 바탕으로 24번의 변주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 곡은 낭만주의 시대의 주법인 레가토를 바탕으로 연주해야 하며, 음색은 다이나믹에 따라 작은 소리에서 시작해 점차 높은 음역 및 리드 음색을 추가하여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선택하였다.
비에른은 프랑스 낭만 오르간 음악에 인상주의를 받아들인 작곡가로, 그의 작품 가운데 『24개의 자유곡 모음집, Op.31』 중 5번 프렐류드(Prèlude)와 14번 스케르쩨또(Scherzetto)에는 다양한 인상주의 요소가 나타난다. 위의 두 곡을 연주 할 때, 프렐류드는 레가토로, 스케르쩨또는 스타카토로 연주하여 각 곡의 특색이 잘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주자는 악보에 지시된 것을 바탕으로 음색을 선택하였으며 스웰 박스(Swell box)를 조절해 셈여림을 표현하였다.
영국의 현대 작곡가 모비의 작품 『오르간 소나타 1번』 은 3악장 구조의 소나타로 각 악장의 부제는 독특한 성격을 나타낸다. 이 곡은 선율의 움직임에서는 레가토로, 수직화음의 진행에서는 화성 사이에 공간을 두어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연주자는 크고 웅장한 부분에서는 3단계로 발전하는 음색 조합을 만들었으며, 부드러운 선율에서는 플룻(Flute) 8'만 선택하여 연주하였다.
이상으로 바로크, 낭만, 현대 시대에 걸쳐 다양한 스타일의 오르간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이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