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itle Page
ABSTRACT
Contents
LIST OF ABBREVIATIOINS 8
CHAPTER 1. Literature review for laboratory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11
1-1. General Introduction of renal biomarkers 12
1-2. Type of renal function markers 13
1-2-1. Creatinine 13
1-2-2. Blood urea nitrogen 13
1-2-3. BUN:creatinine ratio 14
1-2-4. Potassium 15
1-2-5. Hyperparathyroidism and calcium 15
1-2-6. Phosphorus 16
1-2-7. Urine Specific Gravity 17
1-2-8. Proteinuria 18
1-3. SDMA Symmetric dimethylarginine (SDMA) 20
1-4. Cystatin C 22
CHAPTER 2. Evaluation of serum cystatin-C and symmetric dimethylarginine concentrations in dogs with heart failure from chronic mitral valvular insufficiency 24
2-1. Introduction 25
2-2. Materials & Methods 27
2-2-1. Study Population 27
2-2-2. Analysis of serum Cys-C and SDMA concentrations 28
2-2-3. Echocardiography 28
2-2-4. Statistical analysis 29
2-3. Results 30
2-4. Discussion 38
CHAPTER 3. Evaluation of symmetric dimethylarginine in dogs with heartworm infection 42
3-1. Introduction 43
3-2. Materials & Methods 44
3-2-1. Study population 44
3-2-2. Clinical examination and echocardiography 44
3-2-3. Assay of SDMA 45
3-2-4. Statistical analysis 45
3-3. Results 47
3-4. Discussion 49
CHAPTER 4. GENERAL CONCLUSION 51
REFERENCES 53
국문초록 60
Figure 2-1. Concentrations of cystatin C (Cys-C) in this study group. 34
Figure 2-2. Concentrations of symmetric dimethylarginine (SDMA) in this study group. 35
Figure 2-3.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CRE) in this study group. 36
Figure 2-4. Concentrations of N-terminal pro 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in this study... 37
사구체여과율(GFR)의 감소는 심부전의 진행단계에서 볼 수 있는 흔한 합병증이다. 사용하기 쉽고 정확한 사구체여과율에 대한 검사들이 심부전 개에서 신장 손상의 조기지표로 유용하게 사용되어진다. 이번 연구에서 가설은 사구체여과율을 나타내는 신장 마커 수치가 만성 심부전 환자에서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에서 혈청 Cys-C 와 SDMA 농도를 다른 신장마커(예: BUN 과 Creatinine)과 심초음파 검사지표들과 함께 건강한 대조군과 이첨판패쇄부전증(CMVI)에 걸린 환자군(개)에서 평가하였다. 연구집단의 43 마리중 33 마리는 각기 다른 심부전단계의 CMVI 환자군이였고, 비슷한 연령의 10 마리의 건강 대조군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혈청 Cys-C 농도는 대조군 1.4±0.4 mg/l, 1 기 심부전환자군 2.1±0.9 mg/l, 2 기 심부전 환자군 2.9±0.8 mg/l 및 3 기 환자군 3.6±0.6 mg/l 으로 측정되었고, 혈청 SDMA 농도는 대조군 8±2 ug/dl, 1 기 심부전환자군 14±3 ug/dl, 2 기 심부전환자군 18±6 ug/dl 및 3 기 심부전환자군 22±7 ug/dl 으로 측정되었다. 혈청 Cys-C 와 SDMA 농도는 혈청 요소 및 크레아티닌 수치 및 심초음파적 지표들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이첨판 패쇄부전증 환자에서 심부전 초기에서도 사구체여과율 (즉, 신장기능)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심장사상충에 이환된 개 12 마리와 건강한 대조군 10 마리에서 혈청 SDMA 농도를 다른 신장 마커 (예, BUN, creatinine)와 같이 검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임상증상에 따라 환자군을 A 그룹(무증상 또는 경미한 임상증상)과 B 그룹(중등도-심한 임상증상)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혈청 SDMA 수치는 임상증상이 심한 그룹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비록 임상증상이 경미한 그룹에서 SDMA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관찰되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은 아니였다. 또한 혈청 SDMA 농도는 다른 신장마커와 임상증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혈청 SDMA 는 심장사상충에 이환된 개에서 신장 기능감소를 평가할 수 있는 신뢰있는 검사법이라고 볼 수 있다.
앞의 두 가지 결과를 종합해보면, 신장-심장증후군은 이첨판 패쇄부전증이나 심장 사상충 같은 개의 대표적인 심장 질환에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고, Cys-C 와 SDMA 같은 새로운 신장마커는 이러한 환자군에서 신장기능 저하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신뢰할만하고 민감한 검사법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신장손상에 대한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는 심부전환자에서 이러한 검사를 통해 신장손상을 조기에 감지하면 환자를 보다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