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2

국문초록 14

I. 서론 16

1. 연구의 목적 16

2. 연구의 방법 18

II. 본론 20

1. Karl Jenkins의 생애와 음악 20

A. Karl Jenkins의 생애 20

B. Karl Jenkins의 작품과 그 경향 24

C. Karl Jenkins의 『The Armed Man』 29

2. Karl Jenkins의 『The Armed Man』의 악장별 분석 38

A. 제 1악장: The Armed Man 38

B. 제 2악장: Call to Prayers 44

C. 제 3악장: Kyrie 45

D. 제 4악장: Save Me from Bloody Men 50

E. 제 5악장: Sanctus 53

F. 제 6악장: Hymn Before Action 61

G. 제 7악장: Charge! 66

H. 제 8악장: Angry Flames 72

I. 제 9악장: Torches 77

J. 제 10악장: Agnus Dei 82

K. 제 11악장: Now the guns have stopped 87

L. 제 12악장: Benedictus 90

M. 제 13악장: Better is Peace 94

3. Karl Jenkins의 『The Armed Man』의 거시적 분석 103

A. 텍스트의 구성 104

B. 음악적 흐름 106

C. 관현악적 특징 109

III. 결론 112

참고문헌 114

〈표 1〉 본 연구에 주로 사용된 악보 18

〈표 2〉 본 연구에 주로 사용된 CD 19

〈표 3〉 아디에무스 프로젝트 24

〈표 4〉 칼 젠킨스의 주요 작품목록 26

〈표 5〉 The Armed Man의 오케스트라 편성 35

〈표 6〉 한국에서의 The Armed Man의 공연 37

〈표 7〉 제 1악장의 가사와 의미 38

〈표 8〉 제 1악장의 구성 41

〈표 9〉 제 2악장의 가사와 의미 44

〈표 10〉 제 3악장의 가사와 의미 45

〈표 11〉 제 3악장의 구성 48

〈표 12〉 제 4악장의 가사와 의미 50

〈표 13〉 제 5악장의 가사와 의미 53

〈표 14〉 제 5악장의 구성 60

〈표 15〉 제 6악장의 가사와 의미 61

〈표 16〉 제 6악장의 악구 a와 b 62

〈표 17〉 제 6악장 마디21-28 요약 64

〈표 18〉 제 6악장의 구성 65

〈표 19〉 제 7악장의 가사와 의미 66

〈표 20〉 제 7악장의 구성 67

〈표 21〉 제 8악장의 가사와 의미 73

〈표 22〉 제 8악장의 구성 75

〈표 23〉 제 9악장의 가사와 의미 77

〈표 24〉 제 9악장의 구성 80

〈표 25〉 제 10악장의 가사와 의미 82

〈표 26〉 제 10악장의 구성 83

〈표 27〉 제 11악장의 가사와 의미 87

〈표 28〉 제 11악장의 구성 89

〈표 29〉 제 12악장의 가사와 의미 90

〈표 30〉 제 12악장의 구성 91

〈표 31〉 제 13악장의 가사 95

〈표 32〉 제 13악장의 구성 98

〈표 33〉 『The Armed Man』에 채택된 가사의 출처에 따른 분류 104

〈그림 1〉 The Armed Man 2,000회 공연돌파기념연주 홍보물 32

〈그림 2〉 The Armed Man의 한국초연 포스터 36

〈악보 1〉 작자미상의 L'homme armé 39

〈악보 2〉 제 1악장의 반주부 40

〈악보 3〉 제 1악장 첫 4성부의 등장 및 조성의 확립 42

〈악보 4〉 제 1악장 마디 73-79 모방진행 43

〈악보 5〉 제 3악장 마디 26-31 주제선율 A 46

〈악보 6〉 제 3악장 마디 42-48 주제선율 B 47

〈악보 7〉 제 3악장 마디 76-81 주제선율 c 47

〈악보 8〉 제 4악장 Save Me from Bloody Men 52

〈악보 9〉 제 5악장 마디 6-7의 진행 54

〈악보 10〉 제 5악장 마디 15-23의 주제 a 55

〈악보 11〉 제 5악장 마디 22-25의 화성적 전개 56

〈악보 12〉 제 5악장 마디 38-43 57

〈악보 13〉 제 5악장 마디 44-49 58

〈악보 14〉 제 6악장 마디 5-8 63

〈악보 15〉 제 6악장 마디 9-12 63

〈악보 16〉 제 6악장 마디 21-28 64

〈악보 17〉 제 7악장 마디 143-148 69

〈악보 18〉 Last Post 악보 70

〈악보 19〉 제 7악장 Backing chord와 트럼펫 솔로 71

〈악보 20〉 제 8악장 마디 15-20 74

〈악보 21〉 제 8악장 마디 41-44 76

〈악보 22〉 제 9악장 마디 1-4 78

〈악보 23〉 제 9악장 마디 5-6 현악부 79

〈악보 24〉 제 9악장 마디 7-11 79

〈악보 25〉 제 9악장 마디 10-14 81

〈악보 26〉 제 10악장 마디 9의 제시 84

〈악보 27〉 제 10악장 마디 9 - 20의 화성진행 85

〈악보 28〉 제 10악장 마디 21 - 28 86

〈악보 29〉 제 11악장 도입부 88

〈악보 30〉 제 12악장 마디 1-10 92

〈악보 31〉 제 12악장 마디 19-26 92

〈악보 32〉 제 12악장 마디 37-46 93

〈악보 33〉 제 13악장 마디63-69 96

〈악보 34〉 제 13악장 마디76-78 97

〈악보 35〉 제 13악장 마디84-85 97

〈악보 36〉 제 13악장 마디 16-19의 Vocal Score 99

〈악보 37〉 제 13악장 마디 14-21의 Full Score 100

〈악보 38〉 제 13악장 마디 27-28 100

〈악보 39〉 제 13악장 마디 137-140 101

〈악보 40〉 제 13악장 마디 143-145 102

초록보기

 웨일즈 출신의 칼 젠킨스 경(Karl Jenkins, 1944- )은 생존해 있는 영국작곡가 으뜸으로, 재즈 또는 락 밴드 활동 및 상업용 매체음악 작곡가로 활동하다가 클래식작곡가로 변신하여 새로운 클래식음악분야를 개척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평화를 위한 미사곡’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The Armed Man』(1999)은 일주일에 2회 이상 연주될 만큼 그의 작품 중 가장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 되었다.

솔로들과 합창 그리고 관현악을 위한 『The Armed Man』은 새천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국립무기박물관(Royal Armouries Museum)의 위촉을 받아 1999년에 작곡되었고, 이듬해인 2000년 4월에 런던에서 초연되었는데 모두 13개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칼 젠킨스의 『The Armed Man』은 가톨릭고유의 미사통상문에서 발췌한 전통적인 텍스트에 더하여 시편과 요한계시록에서 발췌한 성구와 이슬람교 및 힌두교 등의 다양한 종교에서 비롯된 다양한 역사적 문헌, 그리고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작가들의 시문학을 한데 풀어낸 작품으로, 이는 작곡가가 어려서부터 배워온 유럽음악의 토대위에 젊은 시절 경험했던 대중음악적인 감성과 세계 곳곳의 다문화음악 요소들을 매우 잘 융합한 것으로 보인다.

오케스트라는 타악기 연주자가 5명이나 필요하고 3관 편성으로 규모에 있어서 상당히 묵직한 느낌이지만 선율적으로 풍부하고 극히 조성적인 음악으로 나타났다.

다분히 다양한 문화배경을 가진 더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꾸민 해설이 있는 콘서트용 미사곡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더 자주 연주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