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목적 13
3. 용어정의 13
4. 연구의 제한점 15
II. 문헌고찰 16
1.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16
2.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변인 17
1) 사회적 지지 17
2) 직무만족도 18
3) 양육스트레스 19
4) 통합력 20
5) 우울 20
III. 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연구모형 22
1. 개념적 기틀 22
2. 연구모형 24
3. 연구가설 25
1) 양육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2) 통합력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3) 우울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4)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IV. 연구방법 26
1. 연구설계 26
2. 연구대상 26
3. 윤리적 고려 27
4. 연구도구 27
1) 사회적 지지 27
2) 직무만족도 28
3) 양육스트레스 28
4) 통합력 29
5) 우울 29
6) 건강관련 삶의 질 29
5. 자료수집방법 30
1) 예비조사 30
2) 본 조사 30
6. 자료분석방법 31
V. 연구결과 3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2.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및 상관관계 34
3. 측정모형의 분석 38
4. 가설적 모형의 검정 43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평가 43
2) 가설적 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43
5. 수정 모형의 검정 46
1) 모형의 수정과정 46
2) 수정 모형의 적합도 46
3) 수정 모형에 대한 추정계수의 유의성 검정 47
4) 수정 모형의 효과분석 49
6. 가설 검정 51
1) 양육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1
2) 통합력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1
3) 우울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1
4)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2
VI. 논의 54
1.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54
2. 연구의 의의 58
1) 간호이론 측면 58
2) 간호연구 측면 58
3) 간호실무 측면 59
VII.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3
부록 1. 대상자 설명문 76
부록 2. 설문지 78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23
Figure 2. Research model. 24
Figure 3. Measurement model. 41
Figure 4.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ith parameter estimates. 45
Figure 5. Modified structural model with parameter estimates. 50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model that describes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ness of the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3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urvey by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located in 1 metropolitan, 3 megalopolis and 2 local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and AMOS 20.0 programs.
Results: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affected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accounted for 77.8% of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can be improved by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level, and by increasing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herence. Thus, we would need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increase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herenc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