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 이혜경 인기도
발행사항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8
청구기호
TD 610.73 -17-766
형태사항
vi, 8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5505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7.8. 지도교수: 김선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목적 13

3. 용어정의 13

4. 연구의 제한점 15

II. 문헌고찰 16

1.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16

2.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변인 17

1) 사회적 지지 17

2) 직무만족도 18

3) 양육스트레스 19

4) 통합력 20

5) 우울 20

III. 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연구모형 22

1. 개념적 기틀 22

2. 연구모형 24

3. 연구가설 25

1) 양육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2) 통합력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3) 우울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4)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25

IV. 연구방법 26

1. 연구설계 26

2. 연구대상 26

3. 윤리적 고려 27

4. 연구도구 27

1) 사회적 지지 27

2) 직무만족도 28

3) 양육스트레스 28

4) 통합력 29

5) 우울 29

6) 건강관련 삶의 질 29

5. 자료수집방법 30

1) 예비조사 30

2) 본 조사 30

6. 자료분석방법 31

V. 연구결과 3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2. 연구변수의 서술적 통계 및 상관관계 34

3. 측정모형의 분석 38

4. 가설적 모형의 검정 43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평가 43

2) 가설적 모형의 경로계수 추정치 43

5. 수정 모형의 검정 46

1) 모형의 수정과정 46

2) 수정 모형의 적합도 46

3) 수정 모형에 대한 추정계수의 유의성 검정 47

4) 수정 모형의 효과분석 49

6. 가설 검정 51

1) 양육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1

2) 통합력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1

3) 우울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1

4)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52

VI. 논의 54

1.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54

2. 연구의 의의 58

1) 간호이론 측면 58

2) 간호연구 측면 58

3) 간호실무 측면 59

VII.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3

부록 1. 대상자 설명문 76

부록 2. 설문지 7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33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for Measured Variables 35

Table 3.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37

Table 4. Goodness for Fit Tests of Measurement Model 39

Table 5. Parameter Estimates of Measurement Model 42

Table 6. Goodness for Fit Tests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43

Table 7. Parameter Estimates for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44

Table 8. Goodness for Fit Tests of Modified Structural Model 47

Table 9. Parameter Estimates for Modified Structural Model and Standardize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48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23

Figure 2. Research model. 24

Figure 3. Measurement model. 41

Figure 4.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ith parameter estimates. 45

Figure 5. Modified structural model with parameter estimates. 50

초록보기 더보기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model that describes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ness of the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3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urvey by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located in 1 metropolitan, 3 megalopolis and 2 local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and AMOS 20.0 programs.

Results: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affected thei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accounted for 77.8% of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can be improved by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level, and by increasing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herence. Thus, we would need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increase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oherenc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