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II. 이론적 배경 13

1. 공예의 이해 13

1) 공예의 개념 13

2) 기존의 공예 수업 14

2. 직업기초능력의 이해 18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8

2) 직업기초능력의 분류 및 목표 19

3. 직업기초능력 배양을 위한 공예수업의 필요성 23

III. 직업기초능력 배양을 위한 공예수업 26

1. 재활용품으로 생활용품 만들기 수업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26

1) 세탁소 옷걸이 재활용을 통한 인테리어 소품 만들기 27

2) 빨대 재활용을 통한 조명 만들기 32

2. 동판으로 티코스터 제작하기 수업을 통한 기술 이해력 증진 40

1) 교수-학습 과정안 41

2) 학생 작품 48

3. 나만의 캘린더 만들기 수업을 통한 자기개발능력 배양 49

1) 교수-학습 과정안 50

2) 학생 작품 54

4. 창업아이템(공예품) 디자인 계획서 작성하기 수업을 통한 자원관리능력 향상 55

1) 교수-학습 과정안 56

2) 학생 작품 61

IV.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비교 62

1. 사전평가 63

2. 사후평가 64

3. 사전평가 결과와 사후평가 결과 비교 65

V. 결론 66

참고문헌 69

부록 71

Abstract 83

표목차

〈표 1〉 공예의 분류와 기법 14

〈표 2〉 직업능력 분류 18

〈표 3〉 직업기초능력 분류 19

〈표 4〉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개념 20

〈표 5〉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교육 목표 22

〈표 6〉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응답자 수 23

〈표 7〉 직업기초능력별 효과적인 향상 방안 분류 24

〈표 8〉 직업기초능력별 사전평가 평균 63

〈표 9〉 직업기초능력별 사후평가 평균 64

〈표 10〉 직업기초능력별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평균 비교 65

그림목차

[그림 I-1] 세탁소 옷걸이 재활용 공예 예시 1 27

[그림 I-2] 세탁소 옷걸이 재활용 와이어공예 예시 2 27

[그림 I-3] 세탁소 옷걸이 재활용 공예 예시 3 28

[그림 I-4] 세탁소 옷걸이 재활용 공예 예시 4 28

[그림 I-5] 세탁소 옷걸이 재활용 공예 예시 5 29

[그림 II-1] 인테리어 소품 1 31

[그림 II-2] 인테리어 소품 2 31

[그림 II-3] 인테리어 소품 3 31

[그림 II-4] 인테리어 소품 4 31

[그림 II-5] 인테리어 소품 5 31

[그림 II-6] 인테리어 소품 6 31

[그림 III-1] Scott Jarvie, Clutch Chair 32

[그림 III-2] 김근아, 황제펭귄-아빠, 어디 가? 33

[그림 III-3] 정찬부, Come into bloom, 2015 33

[그림 III-4] 홍상식, High heel-Red&Blue, 2009 33

[그림 IV-1] 빨대 조명 1 39

[그림 IV-2] 빨대 조명 2 39

[그림 IV-3] 빨대 조명 3 39

[그림 IV-4] 빨대 조명 4 39

[그림 IV-5] 빨대 조명 5 39

[그림 IV-6] 빨대 조명 6 39

[그림 V-1] 티코스터 예시 1 41

[그림 V-2] 티코스터 예시 2 42

[그림 V-3] 티코스터 예시 3 42

[그림 VI-1] 티코스터 1 48

[그림 VI-2] 티코스터 2 48

[그림 VI-3] 티코스터 3 48

[그림 VI-4] 티코스터 4 48

[그림 VI-5] 티코스터 5 48

[그림 VI-6] 티코스터 6 48

[그림 VII-1] 캘린더 예시 1 50

[그림 VII-2] 캘린더 예시 2 50

[그림 VII-3] 캘린더 예시 3 51

[그림 VII-4] 캘린더 예시 4 51

[그림 VIII-1] 나만의 캘린더 1 54

[그림 VIII-2] 나만의 캘린더 2 54

[그림 VIII-3] 나만의 캘린더 3 54

[그림 VIII-4] 나만의 캘린더 4 54

[그림 VIII-5] 나만의 캘린더 5 54

[그림 VIII-6] 나만의 캘린더 6 54

[그림 IX-1] 플릿마켓 예시 1 56

[그림 IX-2] 플릿마켓 예시 2 57

[그림 IX-3] 플릿마켓 예시 3 57

[그림 X-1] 창업아이템(공예품) 디자인 계획서 1 61

[그림 X-2] 창업아이템(공예품) 디자인 계획서 2 61

[그림 X-3] 창업아이템(공예품) 디자인 계획서 3 61

초록보기

 The field of craft in the deepen curriculum has become a field of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the improvement of aesthetic sense of the masses and increased accessibility to the craft works. And craft lessons have a variety of elements to improve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of the profession that enable people to carry out the tasks given in their work life smooth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craft education which is losing its influence by linking craft education and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nd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itive effects of cultivating specializing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competency through the craft classe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by thinking and discussing various methods to solve problems.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exact principles of technology. It has improved the technical ability to select and use acquired skills.

Third, students were able to establish self-understanding and self-development goals. This enabled them to develop self-development skills that could build confidence in adapting to various environments and achieve results in a given task.

Fourth,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resource management ability to plan, collect and utilize the time, budget, materi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whole process from designing to selling crafts.

Fifth, in the process of self-evaluation through the checklist of Vocational Competency to be improved students get to know the concept of vocational competency to be improved clearly, and they can form the expectation to the success in the class. And through the process, students can more concentrated on their works.

Sixth, the checklist makes students know what skills they need to have for their vocational life so that they can strengthen their skills needed for employment and stable career life beyond occupation.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vocational competenc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make students have a clear idea of what vacational competency is and what abilitie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with a clear idea of what vocational Competency needed to develop in clas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and repeatedly search and apply specialized subject lesson that students can cultivate basic ability based on accurate understanding of each area of occupational basic ability. I hope that this will enable them to lead a stable career and everyday life, and also, we expect that craft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e emotional abundance by positioning themselves as influential in seconda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