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CoP)의 사회적 네트워크·지식공유·학습전이 구조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information sharing, transfer of learning by C.O.P for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 이성애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17.8
청구기호
TM 700 -17-167
형태사항
vi, 61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5913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문화예술학전공, 2017.8. 지도교수: 최배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1.1. 연구의 필요성 10

1.2. 연구의 목적 1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2

2.1. 연구의 방법 12

2.2. 연구의 범위와 구성 12

II. 이론적 고찰 13

1. 문화예술교육 13

1.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3

1.2. 지역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4

2. 실천공동체 18

2.1. 실천공동체의 개념 18

2.2. 실천공동체의 영향요인 19

3. 사회적 네트워크 20

3.1. 사회적 네트워크의 개념 20

3.2. 사회적 네트워크의 영향요인 23

4. 지식 공유 23

4.1. 지식 공유의 개념 23

4.2. 지식 공유의 영향요인 25

5. 학습전이 26

5.1. 학습전이의 개념 26

5.2. 학습전이의 영향요인 27

6. 선행연구 29

6.1.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식 공유의 관계 29

6.2. 사회적 네트워크와 학습전이의 관계 29

6.3. 지식 공유와 학습전이의 관계 30

III. 연구 방법 31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1.1. 연구모형 설정 31

1.2. 연구가설 설정 32

2. 조사도구의 설계 33

2.1. 조사목적 33

2.2. 조사방법과 조사기간 34

2.3. 조사도구 구성 34

3.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36

3.1. 설문지 구성 36

3.2. 설문지 분석방법 37

IV. 분석결과 38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현황 38

2.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ormary Factor Analysis) 39

3. 측정모델분석 47

4. 가설검증 50

V. 결론 58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8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9

참고문헌 60

부록 1. 설문지 65

Abstract 69

〈표 2-1〉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전개과정 15

〈표 2-2〉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정 현황 16

〈표 2-3〉 201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비전 및 목표 17

〈표 3-1〉 설문지 구성 36

〈표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현황 39

〈표 4-2〉 사회적 네트워크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분석 결과 41

〈표 4-3〉 사회적 네트워크의 확인적 요인분석 요인적재량 42

〈표 4-4〉 지식공유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분석 결과 44

〈표 4-5〉 지식공유의 확인적 요인분석 요인적재량 45

〈표 4-6〉 학습전이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분석 결과 46

〈표 4-7〉 학습전이의 확인적 요인분석 요인적재량 47

〈표 4-8〉 측정모델의 적합도 분석 결과 48

〈표 4-9〉 측정모델의 요인적재량 48

〈표 4-10〉 판별 타당도 49

〈표 4-11〉 구조모델의 적합도 51

〈표 4-12〉 구조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52

〈표 4-13〉 구조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53

〈표 4-14〉 구조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53

〈표 4-15〉 구조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54

〈표 4-16〉 구조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55

〈표 4-17〉 가설채택여부 정리 57

〈그림 3-1〉 연구모형 31

〈그림 4-1〉 사회적 네트워크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델 40

〈그림 4-2〉 지식공유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델 43

〈그림 4-3〉 학습전이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델 46

〈그림 4-4〉 측정모델 47

〈그림 4-5〉 구조모델 50

〈그림 4-6〉 Sobel-test 결과 5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가 학습요구에 대처하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무형식 학습과 지식의 공급처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써 실천공동체의 의미와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지식 공유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관계에서 지식 공유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했다. 선행연구는 실천공동체, 사회적 네트워크, 지식 공유, 학습전이 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공간적, 시간적, 내용적인 연구범위로 구분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광역단위의 문화재단 15개 중 담당자의 협조를 받은 4개의 문화재단과 지역의 비영리 예술교육 단체이다.

시간적 범위로는 2016년 10월부터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2017년 4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지역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기획자, 강사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지식 공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지식 공유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지식 공유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지역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실천공동체의 의미와 효과에 대해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실천공동체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로 인해 네트워크가 확장되면, 유용한 정보를 얻음과 동시에 자신의 업무에 적용하면서 변화된 개인의 행동까지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한 내용을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 및 활용하면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사려 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식 공유, 학습전이의 관계만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더불어 일부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단체와 대상자들에 한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폭넓은 대상을 조사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