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재난뉴스 이용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 세월호 뉴스 이용에 따른 정상집단과 외상집단 비교 = The effect of disaster news use on indirect trauma : comparison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trauma group on the disaster of the Sewol Ferry / 박동혁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8
청구기호
TD 302.23 -17-69
형태사항
vii, 113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5922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과 영상콘텐츠전공, 2017.8. 지도교수: 강내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II. 이론적 배경 14

1. 재난 14

1.1. 재난의 개념 14

1.2. 재난 후유증 16

2. 외상 후 스트레스 18

2.1. 심리적 외상 19

2.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9

2.3. 간접외상 22

3. 외상 사건으로서의 세월호 사건과 재난보도 30

3.1. 외상 사건 30

3.2. 외상 사건으로서의 세월호 사건 31

3.3. 세월호 사건 보도 33

3.4. 외상 사건으로서의 재난보도 35

3.5. 세월호 재난보도의 문제점 41

4. 외상 사건 노출에 따른 증상 42

4.1. 외상 당시 위기 증상 44

4.2. 죽음에 대한 불안 45

5. 간접외상 경감 요인으로서의 사회자본 47

5.1. 사회자본의 개념 47

5.2. 결속형 사회자본과 교량형 사회자본 48

III. 연구 방법 52

1. 연구 대상 52

2. 연구 절차 52

3. 변수 측정 53

3.1. 종속 변인: 간접외상 53

3.2. 미디어 이용 55

3.3. 세월호 사건 보도 내용의 충격성 구분 55

3.4. 외상 요인 56

3.5. 사회자본 58

IV. 연구 결과 60

1. 연구변수 신뢰도 분석 60

2. 매체 유형별 이용과 정보제시 유형별 이용 61

2.1. 매체 유형별 이용 정도 61

2.2. 정보제시 유형별 이용 정도 61

2.3. 간접외상 정도에 따른 집단 구분 62

3. 연구문제에 대한 추리 통계 분석 결과 62

3.1. 정상 집단의 평상시 매체 이용과 재난시 매체 이용의 차이 비교 63

3.2. 정상 집단과 외상 집단 간 재난시 매체 이용의 차이 비교 64

3.3. 외상 집단의 평상시 매체 이용과 재난시 매체 이용의 차이 비교 65

3.4. 정상 집단과 외상 집단 간 재난 관련 변인 비교 66

3.5. 외상 집단의 간접외상 증상과 주요 변인과의 상관관계 67

3.6. 주요 변인 간 이원 상관관계 69

3.7. 재난 관련 매체 이용, 충격, 위기, 죽음 불안, 사회자본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71

V. 연구함의 및 결론 73

1. 연구 요약 및 함의 도출 73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79

참고문헌 82

부록 99

Abstract 122

[표 1] 재난 충격 이후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증상 17

[표 2] 세월호 사건 일지 32

[표 3] 세월호 사건 주요 보도 34

[표 4] 재난의 단계별 재난방송과 일반보도의 차이점 37

[표 5] 세월호 특보의 유형별 문제 사례 42

[표 6] 간접외상 측정 문항 54

[표 7] 사건충격척도(IES-R-K)문항의 신뢰도 55

[표 8] 세월호 사고 관련 충격 정보 56

[표 9] 외상 당시 위기 증상 측정 항목 57

[표 10] 죽음에 대한 불안 측정 항목 58

[표 11] 사회자본 측정 항목 59

[표 12] 연구변수의 신뢰도 계수 60

[표 13] 매체 유형별 이용정도 61

[표 14] 정보제시 유형별 이용정도 61

[표 15] 세월호 사건에 따른 간접외상 집단 분류와 외상 유형별 기술 통계치 62

[표 16] 정상 집단의 평상시 매체 이용과 재난시 매체 이용의 차이 비교 63

[표 17] 정상 집단과 외상 집단 간 재난시 매체 이용의 차이 비교 64

[표 18] 외상 집단의 평상시 매체이용과 재난시 매체이용의 차이 비교 65

[표 19] 정상 집단과 외상 집단 간 재난 관련 변인 비교 66

[표 20] 외상 집단의 간접외상 증상과 매체이용, 충격요인, 외상 요인, 사회자본 정도... 67

[표 21] 회귀분석을 위한 주요 변인 간 이원 상관관계 70

[표 22] 재난 관련 매체 이용, 충격, 위기, 죽음 불안, 사회자본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71

[그림 1] 외상 사건과 심리적 외상자 구분 21

[그림 2] 재난방송 실시체계 구성도 39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재난뉴스 이용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간접외상은 재난과 같은 외상 사건을 직접 겪지 않았지만 TV나 인터넷, 신문, 라디오 등과 같은 매체 이용을 통해 겪게 되는 심리적 외상을 말한다. 외상 사건 피해자들의 외상 회복이나 예방도 중요하지만 매체를 통해 불특정한 많은 사람들이 간접외상을 겪게 된다면 이들의 회복과 예방도 국민전체의 정신적 안녕을 위해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심리적 외상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홀로코스트 피해자나 참전용사들의 외상 사건에서 비롯된 후유증 연구로 시작되었다. 간접외상에 대한 연구는 직접외상 보다 늦게 시작되어 아직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세월호 사건으로 인해 주목받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재난이 발생했을 때 미디어를 통해서도 일반인들이 재난사건의 영향을 받아 간접외상을 경험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대다수 국민들에게 큰 아픔과 상처가 되었던 세월호 사건 매체별 뉴스 이용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동영상, 사진, 문자, 오디오 정보 유형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용자에게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인터넷 기반 매체들은 여러 유형의 멀티텍스트 형태로 정보를 제시하고 있어 이를 단일한 매체로 관찰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각 정보유형별 이용정도가 간접외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해 매체이용으로 인한 간접외상 측정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그리고 국내 연구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외상 사건 충격 요인에 따른 영향과, 사회적지지 요인으로서 사회자본 네트워크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 펴 보고자 했다. 아울러 외상 요인으로 외상 당시 위기 증상과 죽음에 대한 불안 정도를 측정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교 학생들 이었다. 이들은 세월호 사건의 가장 큰 피해자인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들과 가까운 지역에 살고 있는 또래집단이어 간접외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 연구대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자가 면접 방식으로 15일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282명의 133개 응답 문항을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했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매체 이용과 정보 유형별 이용은 재난시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집단과 외상 집단 차이를 살펴봤을 때 외상 집단에서 재난시 매체이용시간, 신문, 라디오, 사진, 문자, 오디오 이용이 유의하게 높아 졌다. 충격요인으로 사고 당시 충격 정보를 외상 집단에서 더 충격적으로 인식했고, 외상 요인의 경우 외상 당시 위기 증상은 정상 집단이 높은 반면 죽음에 대한 불안은 외상 집단이 높았다. 간접외상 경감 요인으로서의 결속형 사회자본은 외상 집단이 더 낮았다. 모든 변인들이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동영상 이용과 외상당시 위기 증상은 간접외상에 부적 영향을 끼쳤고, 매체 이용 시간과 재난 오디오 이용, 죽음에 대한 불안은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본과 비대면 조사가 갖는 한계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매체 이용이 간접외상에 주는 영향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려는 시도는 간접외상의 원인을 밝히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외상 사건의 유형,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다면 매체 이용자들의 간접외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