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7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 문제 13

3. 용어 정의 14

II. 이론적 배경 16

1. 부모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발달 16

2. 부모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모래상자놀이 28

III. 연구 1: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38

1. 연구방법 38

2. 연구결과 43

IV. 연구 2: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68

1. 연구방법 68

2. 연구결과 83

V. 논의 99

1.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99

2.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 103

VI. 결론 및 제언 108

참고문헌 110

Abstract 119

부록 122

부록 1.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 조사 설문지 123

부록 2. 회기별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127

부록 3. 부모의 정서지능검사 척도 137

부록 4. 부모의 양육태도검사 척도 139

부록 5. 유아의 정서지능검사 척도(교사용) 141

부록 6. 모래상자놀이에서 나타난 부모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언어반응 142

부록 7. 실험집단의 부모 양육태도와 관련된 상호작용 행동 변화 159

부록 8. 부모의 모래상자놀이 경험 보고서 167

표목차

〈표 1〉 부모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부모교육 프로그램 선행 연구 27

〈표 2〉 부모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모래상자놀이 선행 연구 34

〈표 3〉 연구대상 부모의 일반적 배경 39

〈표 4〉 요구 조사 설문지 문항 구성 42

〈표 5〉 정서발달에 대한 부모의 이해 정도 결과 44

〈표 6〉 프로그램 실행방법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46

〈표 7〉 프로그램 내용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47

〈표 8〉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47

〈표 9〉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내용 52

〈표 10〉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63

〈표 11〉 모래상자놀이에서 제시된 회기별 주제 65

〈표 12〉 모래상자놀이의 진행순서 66

〈표 13〉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 69

〈표 14〉 연구대상 부모와 자녀에 대한 정보 70

〈표 15〉 부모 정서지능검사 척도의 하위영역 및 신뢰도 74

〈표 16〉 부모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언어반응에 대한 하위영역 및 개념 75

〈표 17〉 부모 정서지능과 관련된 언어반응에 대한 조작적 정의 76

〈표 18〉 부모 양육태도 척도의 하위영역 및 신뢰도 77

〈표 19〉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하위영역 및 개념 78

〈표 20〉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 79

〈표 21〉 유아의 정서지능검사 척도의 하위영역 및 신뢰도 80

〈표 22〉 유아 행동평정척도 교사용 하위영역 및 신뢰도 81

〈표 23〉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 설계 82

〈표 24〉 부모의 정서지능 하위영역별 실험·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83

〈표 25〉 부모의 정서지능 하위영역별 반복측정변량분석 결과 85

〈표 26〉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별 실험·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88

〈표 27〉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별 반복측정변량분석 결과 89

〈표 28〉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영역별 실험·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92

〈표 29〉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영역별 반복측정변량분석 결과 94

〈표 30〉 유아의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실험·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96

〈표 31〉 유아의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반복측정변량분석 결과 97

그림목차

〈그림 1〉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절차 40

〈그림 2〉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51

〈그림 3〉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절차 71

〈그림 4〉 부모의 정서지능 하위영역별 시기 변화 86

〈그림 5〉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별 시기 변화 90

〈그림 6〉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영역별 시기 변화 95

〈그림 7〉 유아의 문제행동 하위영역별 시기 변화 98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자녀의 문제행동으로 인해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부모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은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유아의 부모 255명을 대상으로 부모 요구 조사를 수행하였다. 요구 조사 결과, 부모들은 부모자신의 정서발달이 부모의 역할수행과 자녀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부모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강의, 체험 및 활동 위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문헌고찰과 부모의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Salovery와 Mayea(1997)의 정서지능 구성요소와 모래상자놀이의 치료적 요인을 적용하여 정서지능 및 양육기술에 대한 강의, 정서와 관련된 주제를 제시하는 지시적 모래상자놀이, 강의와 모래상자놀이에서 느꼈던 정서나누기 단계로 진행되는 총 10회기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2는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의 정서지능검사 점수가 180점 이하이고, 유아의 정서지능검사 점수가 116점 이하이면서 유아 행동평가척도 중 문제행동증후군 상위척도의 T점수가 60이상이거나 하위척도의 T점수가 65이상인 만 3∼6세 유아의 부모 16명을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4명의 부모를 한 집단으로 하여 2집단을 1주 2회씩 180분간 총 10회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정서지능검사와 양육태도검사, 유아의 정서지능검사와 행동평가척도를 사전·사후·추후검사로 실시하고, 자료처리는 SPSS 20으로 반복측정변량분석 하였다. 또한 정서지능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회기 내의 부모의 정서지능과 관련된 언어반응을 분석하였고,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였던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의 지침을 토대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질적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중심의 모래상자놀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부모들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부모의 정서인식과 표현, 감정이입, 정서사고 촉진, 정서활용, 정서조절, 정서지능 전체가 향상되었다. 회기 내에서 부모는 부모자신과 자녀의 정서와 욕구를 인식하는 표현과 정서조절을 위한 전략 등 정서지능과 관련된 언어반응을 하였다. 둘째, 실험집단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부모의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처벌, 간섭, 비일관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에서 부모는 사전과 달리 사후와 추후에서는 유아의 정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온정적인 태도가 많았으며, 자녀가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조화하였다. 셋째,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아의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 정서지능 전체가 향상되었다. 넷째, 실험집단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내재화, 외현화, 총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지금까지 미비하였던 부모의 정서지능 향상에 초점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과 부모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해 모래상자놀이의 치료적 요인을 적용시켜, 내용전달을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정서를 직접적으로 느끼고 부모 스스로가 통찰하여 일상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는 체험 위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결과가 나왔지만 종속변인들의 관계가 불명확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종속변인들의 상관연구와 부모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