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문제 17
3. 용어정의 17
II. 이론적 배경 19
1. 인성교육 19
가. 인성교육의 개념 및 정의 19
나. 유아 인성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23
다. 유아 인성교육의 내용 24
라. 유아 인성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27
2. 유아 인성교육의 관련변인에 대한 접근 28
가. 유아 인성교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28
나. 유아 인성교육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 29
III.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32
1.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절차 32
2.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 34
3.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56
4.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85
5.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시안 106
가. 교육목적 및 목표 106
나. 교육 내용 108
다. 교수-학습 방법 109
라. 평가 110
6.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111
7.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체계 112
IV.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125
1. 연구방법 126
가. 연구대상 126
나. 동질성 검사 126
다. 연구도구 129
라. 연구절차 132
마. 자료분석 140
2. 연구결과 및 해석 141
가.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41
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151
V. 논의 및 결론 160
1. 논의 160
2. 결론 및 제언 165
참고문헌 167
ABSTRACT 176
부록(내용없음) 179
[그림III-1]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33
[그림III-2]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 방법 모형 53
[그림III-3]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연구절차 59
[그림III-4] 포커스그룹 인터뷰 자리배치 89
[그림III-5] 포커스그룹 인터뷰 연구절차 90
[그림III-6]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 체계 113
[그림IV-1]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절차 125
[그림IV-2]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집단 142
[그림IV-3]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인지적 능력에 대한 집단 143
[그림IV-4]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동료수용에 대한 집단 145
[그림IV-5]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신체적 능력에 대한 집단 147
[그림IV-6]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어머니수용에 대한 집단 148
[그림IV-7]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자기수용에 대한 집단 150
[그림IV-8]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집단 152
[그림IV-9]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 정서표현에 대한 집단 153
[그림IV-10]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 자신감에 대한 집단 155
[그림IV-11]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 질서의식에 대한 집단 157
[그림IV-12]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 문제해결에 대한 집단 159
도덕성 상실, 인간 소외 현상, 비인간화로 인한 현대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는 인간 삶에 있어 기본이 되는 가치 회복에 대한 필요와 요구가 증대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전인교육의 출발이 되는 유아교육에서부터 인성교육이 시작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유아 인성교육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함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고자 문헌연구, 요구도 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문제점을 수정·보완, 타당도와 적합성 검증 후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는 다음과 같다.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은 "유아는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교육 목표는 첫째, 유아의 올바른 인성 함양을 통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인성 덕목의 역량을 증진시킨다. 둘째,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기른다. 셋째, 자신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 형성과 이해능력을 기른다. 넷째, 공동체에서 타인과 적절하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교육 내용은 신뢰, 정직, 절제, 책임감, 용기, 협력, 예절, 배려, 질서, 성실, 청결 12가지 덕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내적요인(신뢰, 존중, 정직, 절제, 책임감, 용기)과 외적요인(협력, 예절, 배려, 질서, 성실, 청결)으로 구분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이야기나누기 및 토의, 동화, 동극 및 역할놀이, 현장체험, 요리, 게임, 조형, 신체활동, 수·조작, 과학, 숲 활동으로, 교수-학습 단계는 도입 (흥미 유발하기, 경험나누기), 전개 (생각 모으기, 대안제시 및 표현활동), 마무리 (활동 후 느낀 점 이야기하기, 나와 다른 사람의 작품 감상 및 활동 전반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나누기를 통한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유아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D시에 위치한 K공공형어린이집, H공공형어린이집, J공공형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를 대상으로 2016년 7월 4일부터 9월 28일까지 12주에 걸쳐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양진주(2014)의 자아존중감과 윤치연(2008)의 사회적 기술 도구를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그에 따른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배경 및 각 변인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다음으로 검증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공분산분석(ANCOVA)으로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한 후, 얻어진 조정평균을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하위요인인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수용, 자기 수용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하위요인인 정서표현, 자신감, 질서의식, 문제해결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인성교육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