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 Analysis on trends of library development plan by using big data analysis / 김동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2
청구기호
TD 020 -18-3
형태사항
vi, 11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80257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8.2. 지도교수: 노영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1. 서론 10

1.1. 연구의 필요성 10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1.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14

2. 이론적 배경 15

2.1. 도서관 정책의 개념과 발전 15

2.1.1. 정책의 개념과 특성 15

2.1.2. 도서관 정책 19

2.1.3.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개념 22

2.2. 빅데이터의 개념과 분석 기법 26

2.2.1.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성 26

2.2.2. 빅데이터 분석 과정 및 기법 30

2.3. 사회연결망 개념과 분석기법 37

2.3.1. 사회연결망의 개념 37

2.3.2. 사회연결망분석 방법 38

2.3.3. 사회연결망분석 지표 39

2.3.4. 등위성 분석의 개념 및 유형 41

2.4. 선행연구 42

2.4.1. 도서관 정책에 관한 선행연구 42

2.4.2.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행연구 48

2.4.3.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한 선행연구 52

3. 연구 방법 55

3.1. 연구모형 55

3.2. 가설의 설정 56

3.3. 데이터 수집 57

3.4. 데이터 분석 58

3.3.1. 빅데이터 분석 도구 58

3.3.2. 데이터 정제 58

3.3.3. 데이터 분석 59

4. 연구 결과 61

4.1.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분석 61

4.2.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중심성 및 의미연결망 분석 73

4.3.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구조적 등위성 분석 89

4.4. 논의 97

5. 결론 및 제언 102

5.1. 결론 102

5.2. 향후연구 및 제언 107

참고문헌 109

ABSTRACT 119

〈표 1〉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주요 정책과제 24

〈표 2〉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주요 정책과제 26

〈표 3〉 국내외 주요 기관 및 연구에서의 빅데이터 정의 28

〈표 4〉 빅데이터 종류 30

〈표 5〉 데이터의 시각화 방법 36

〈표 6〉 용어에 대한 정의 57

〈표 7〉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관련 언론보도 주제어와 빈도 62

〈표 8〉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의 TF-IDF 상위 50개 단어 63

〈표 9〉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와 빈도 66

〈표 10〉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의 TF-IDF 상위 50개 단어 67

〈표 11〉 시기별 언론보도 주제어 출현 빈도 순위 70

〈표 12〉 시기별 언론보도 주제어 TF-IDF 72

〈표 13〉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연결 중심성 74

〈표 14〉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내·외향 중심성 75

〈표 15〉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위세 중심성 76

〈표 16〉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매개 중심성 77

〈표 17〉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근접 중심성 78

〈표 18〉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연결 중심성 80

〈표 19〉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내·외향 중심성 81

〈표 20〉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위세 중심성 82

〈표 21〉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매개 중심성 83

〈표 22〉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근접 중심성 84

〈표 23〉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군집 분류 90

〈표 2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군집 분류 94

〈그림 1〉 연구모형의 도식화 56

〈그림 2〉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중 출현빈도 상위 10개 주제어 64

〈그림 3〉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중 TF-IDF 상위 10개 주제어 64

〈그림 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중 출현빈도 상위 10개 주제어 68

〈그림 5〉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중 TF-IDF 상위 10개 주제어 68

〈그림 6〉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의미연결망 87

〈그림 7〉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의 의미연결망 88

〈그림 8〉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 91

〈그림 9〉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CONCOR 분석 결과 92

〈그림 10〉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 95

〈그림 11〉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주제어 CONCOR 분석 결과 9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언론보도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한 후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시기별 동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 포털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언론보도 기사를 시기별로 수집한 후 텍스트 마이닝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정규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주제어의 빈도 분석, TF-IDF, 중심성 및 의미연결망, 구조적 등위성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1·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시행되는 시기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 하여 총 2,296건의 데이터에서 기사 제목과 부제, 텍스트 전문을 수집하였다. 분석은 텍스톰(Textom)과 Ucinet6를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결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기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주제어는 시기에 따라 약간의 편차가 보였으나 높은 출현 빈도와 중요도 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개의 상위 빈도 주제어 중 약 절반의 주제어가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제1·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의식이나 시각, 접근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둘째,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을 통해 시기별로 활발한 의미 활동을 수행하는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지역'과 '공동도서관' 이 각각 제1·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활발한 역할 수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 연결망 구성에 있어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추진', '운영', '지원', '도서'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결 관계를 맺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대부분의 주제어가 고른 연결 관계를 보였다.

셋째, 구조적 등위성을 통해 주제어를 군집화 한 결과 두 시기 모두 군집에 속한 주제어가 강한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군집 간 개별성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도서관 시설과 환경 등 외연적인 분야의 주제어로 구성된 군집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반면,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도서관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가 군집으로 형성되었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 기사를 대상으로 주제어를 분석한 내용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1·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도서관의 양적인 성장에 상당히 많은 비중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도서관의 외연적 성장에 치우쳐 있다면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도서관 외연적 성장과 더불어 내적 성장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시기별 언론보도 경향이 다른 이유로 도서관 및 사회·문화적 환경변화를 들 수 있다.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수립될 당시 도서관의 환경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했다면,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할 시기의 도서관은 초 고령 사회 진입에 대비한 생애주기별 평생학습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적 차이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국내 언론보도는 도서관 확충과 관련된 정책에 많은 부분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정책에 대한 취지나 의도가 일반 대중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으며, 정책의 홍보가 가시적인 성과가 확인되는 특정 정책에 국한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충실한 정책 수행과 국민적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을 수립한 정부 또는 소관부처의 홍보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 정책을 수행하는 새로운 주체로 주목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이원화된 공공도서관의 행정체계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일원화하는 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밖에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수의 정책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앞으로 수립될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미래지향적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도서관 서비스의 내실화를 위해 차대세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문적이고 고도화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정책이 제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언론보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적으로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어떻게 이슈를 형성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시기별 동향을 파악하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도출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현주소와 의미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앞으로 도서관 정책에 대한 연구와 관련하여 사람들의 인식과 사회적으로 형성된 이슈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예측하는 연구에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연구 결과에 대한 질적 연구가 보완하고 정책과 관련된 이해당사자의 의견 및 선호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도서발전종합계획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