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1) 연구의 배경 9

2) 연구의 목적 10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0

1) 연구의 범위 10

II. 혼합주거단지 문헌고찰 14

2.1. 주거복지의 의의 및 현황 14

1) 주거복지와 관련된 개념 14

2) 주거복지서비스의 지원체계 15

2.2. 소셜믹스의 개념 16

2.3. 분양·임대 혼합주거단지 도입 배경과 과정 18

2.4. 선행연구 20

2.5. 선행연구와 연계성 및 차별성 25

III. 혼합주거단지 현황분석 27

3.1. 혼합주거단지 관리현황 분석 27

1) 서울시 혼합주거단지 현황 27

2) 혼합주거단지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추진 방향 27

3.2. 관련법 및 제도현황 31

3.3. 혼합 주거단지의 갈등특성 33

1) 혼합 주거단지 내 직접 갈등 당사자 33

2) 혼합주거단지 내 발생하는 갈등 현안 35

3.4. 혼합주거단지 내 갈등현황 45

3.5. 혼합주거단지 입주민의 갈등인식 조사 46

1) 조사개요 및 표본의 특성 46

3.6. 분양·임대 입주민 간 소셜믹스에 대한 인식 비교 52

3.7. 갈등수준의 영향요인 분석 55

IV. 사회적 통합을 위한 분석 및 개선방안 57

4.1. 사회적 통합을 위한 문제점 분석 57

4.2. 개선방안 57

V. 결론 59

5.1. 연구결과의 요약 59

5.2. 연구의 한계점과 과제 60

참고문헌 62

Abstract 64

부록 6

[부록1] 주거복지서비스 등에 대한 입주민 만족도 설문 68

[부록2] 주거복지서비스 등에 관한 관리주체 인터뷰 71

[부록3] 서울시 분양·임대혼합 공동주택단지현황 73

표목차

[표1.1] 연구대상 혼합단지의 개요 11

[표2.1] 소셜믹스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 내용 24

[표3.1] 서울시 혼합주거단지의 동별현황 27

[표3.2] 서울시 혼합주거단지의 유형별 세대수 27

[표3.3] 공공임대주택의 사회적 혼합을 위한 추진전략 29

[표3.4] 혼합주택단지 내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의 관련 법·제도 32

[표3.5] 서울시 혼합주택단지 내 주민대표회의 구성 현황 38

[표3.6] 서울시 혼합주거단지 내 주요 갈등현안 43

[표3.7] 연구대상 혼합단지의 개요 46

[표3.8] 연구대상 혼합단지의 개요 47

[표3.9] 설문의 구성-1. 갈등현안 관련 49

[표3.10] 설문 응답자(입주민)의 일반적 특징 51

[표3.11] 소셜믹스(사회적 혼합) 정책에 대한 입주민 인식의 빈도분석 결과 52

[표3.12] 혼합주거단지 내 갈등에 대한 응답자(입주민)인식 (5점 척도 평균) 53

[표3.13] 갈등현안별 관리·운영에 대한 입주민 인식 (5점 척도 평균) 54

[표3.14] 다중 회귀분석 결과 55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3

[그림 2.1] 주거복지의 필요성과 개념도 15

[그림 2.2] 서울주택도시공사의 사회적 혼합 정책방향 18

[그림 3.1] 은평1지구 안내도 46

[그림 3.2] 은평 1지구 푸르지오 아파트 현장 사진 47

[그림 3.3] 신내2지구 안내도 47

[그림 3.4] 신내 2지구 데시앙 아파트 현장 사진 48

[그림 3.5] 소셜믹스 정책에 대한 입주민 인식 비교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