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방법과 연구의 구성 12

1. 연구의 방법 12

2. 연구의 구성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4

제1절 조직지원인식 (Perceive Organizational Support) 14

1. 조직지원인식(POS)의 개념 14

2. 조직지원인식(POS)의 선행연구 15

제2절 긍정심리자본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17

1.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17

2.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소 19

3.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선행연구 21

제3절 LMX(Leader-member exchange) 23

1. LMX의 개념 23

제4절 조직유효성 25

1. 조직몰입 (Organizational Commitment) 25

2.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 30

3.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34

제3장 연구의 설계와 연구방법 37

제1절 연구모형 37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37

1.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38

2. LMX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39

3.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40

4. 조직지원인식(POS)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 41

5. LMX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 42

6.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42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3

1. 조직지원인식(POS) 44

2. 긍정심리자본 44

3. LMX 44

4. 조직유효성 45

제4절 표본의 구성 및 분석 방법 47

1. 표본의 구성 47

2. 자료의 분석 방법 47

제4장 실증분석 48

제1절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48

제2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50

1. 신뢰도 분석 50

2. 타당도 검증 52

제3절 상관관계분석 54

제4절 가설검증 56

1. 조직지원인식(POS), LMX,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56

2. 조직지원인식(POS), LMX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 58

3.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59

4. 연구가설 검증결과의 종합 61

제5장 결론 64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4

1. 연구결과의 요약 64

2. 연구결과의 시사점 65

제2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67

참고문헌 69

ABSTRACT 83

설문지 85

표목차

〈표 2-1〉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연구 16

〈표 2-2〉 긍정심리자본의 정의 18

〈표 2-3〉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연구 22

〈표 2-4〉 LMX의 발전 단계 구체적 내용 24

〈표 2-5〉 조직몰입에 관한 개념 이론 26

〈표 2-6〉 조직몰입의 구성요소 28

〈표 2-7〉 조직몰입에 대한 선행연구 30

〈표 2-8〉 이직의 기능 및 영향 32

〈표 2-9〉 직무만족의 정의 34

〈표 2-10〉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35

〈표 2-11〉 직무만족의 선행연구 36

〈표 3-1〉 설문의 구성 46

〈표 4-1〉 응답자 지역 현황 48

〈표 4-2〉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결과 49

〈표 4-3〉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결과 51

〈표 4-4〉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델적합도 52

〈표 4-5〉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52

〈표 4-6〉 기술통계 및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55

〈표 4-7〉 조직지원인식, LMX, 긍정심리자본과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 56

〈표 4-8〉 조직지원인식, LMX,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57

〈표 4-9〉 조직지원인식, LMX,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58

〈표 4-10〉 조직지원인식, LMX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 59

〈표 4-11〉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61

〈표 4-12〉 LMX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61

〈표 4-13〉 연구가설 검증결과의 요약 62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구성 13

[그림 2-1] 자본 개념의 변화 과정 18

[그림 3-1] 연구모형 37

초록보기

 As the determination of free trade zone(FTA), trade within Asia is more and more frequent, and the competition between enterprises becomes more and is more incentive, so, enterprise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question at the moment. In addition to the power of leadership, employees have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work efficiency, reduce turnover rate and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more an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the same time,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exchange of leadership members are also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mployees, Therefore,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ger-meber exchange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