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목적 7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8
제2장 고령화 사회와 임금피크제 10
제1절 고령화 사회 10
1. 고령화 사회의 의의 10
2. 고령화 사회의 원인과 전망 13
제2절 고령화 사회와 임금피크제 14
제3장 임금피크제 16
제1절 의의 16
1. 임금피크제 16
2. 필요성 17
제2절 임금피크제의 종류 21
제3절 공공기관과 임금피크제 24
1.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도입현황 분석 24
2. 철도공사의 임금피크제 32
제4장 연구방법 35
제1절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35
1. 연구 모형의 설정 35
2. 가설의 설정 36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8
1. 임금피크제의 도입 필요성 38
2. 임금피크제의 도입방식의 인식 38
3. 임금피크제의 효과성 39
4. 임금피크제의 개인특성 40
5. 직무특성 40
제3절 설문지 및 표본의 구성 41
1. 설문지 구성 41
2. 표본의 구성 42
제5장 연구결과 분석 47
제1절 실증분석 47
1. 신뢰성 검증 47
2. 상관관계 분석 51
3. 가설검증 52
4. 연구결과 요약 65
제2절 임금피크제 만족도 분석 68
1. 임금피크제 도입 필요성 68
2. 임금피크제 도입방식의 인식 69
3. 임금피크제 효과성 70
4. 임금피크제의 개인 특성분석 72
5. 직무특성에 대한 분석 74
제6장 개선방안 76
제1절 임금피크제 불만요인 76
제2절 임금피크제 개선방안 77
제3절 개인형 임금피크제 78
제7장 결론 80
참고문헌 83
설문지 85
ABSTRACT 90
KORAIL decided to introduce the wage peak system to all employees in 2015 which included regular work year extension(to 60 years old), and the wage peak system is being applied to more workers at the mo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 study of the wage peak system implemented by KORAIL and the satisfactory survey about the employee's working condition and the wage condition to find out problem and explore the possible direction of development.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2, we studied the meaning of the aging society that causes the introduction of the wage peak system, we fou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ultiple social problems about the aging. In Chapter 3, we analyzed cases of introducing the wage peak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to compare KORAIL's with others. In Chapter 4, we studied the direction of wage peak system and wage system through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employees with wage peaks, analyzing the impact of the wage peak system on employees at the site. In Chapter 5, we empir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reliability, and we verified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And in Chapter 6, we proposed a desirable improvement direction. In Chapter 7 we summarized the research, and clarified the limit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there was a lot of dissatisfaction about the wage peak system overall, and we could perceive that the government's wage peak system support fund had the effect on the dissatisfaction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s.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plore improvements and policy alternatives on the direction of the wage peak system implem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aging societ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