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1

2. 백합의 일반적 의미와 상징성 13

1) 백합의 일반적 의미 13

2) 백합의 상징성: 재생과 죽음 18

3) 백합을 소재로 한 작가들의 작품 연구 21

(1)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1887-1986) 21

(2)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 1886-1957) 25

(3)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 27

3. 백합을 통한 죽음의 형상화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31

1) 백합꽃으로 밀폐된 공간 31

2) 성당 내부를 재구성한 천국의 이미지 33

3) 분리된 자아의 형상 36

4) 지워가는 삶: 붉은색 X표시 41

4. 결론 44

참고문헌 46

작품도판 48

ABSTRACT 65

도판목차

[도판 1] 한스 멤링(Hans Memling)「성모마리아의 꽃... 15

[도판 2] 백합의 상징적 의미 17

[도판 3] 레이첼 루이시(Rachel Ruysch, 1664-1750)... 20

[도판 4] 조지아 오키프 (Georgia O'Keeffe)「칼라 릴리들(Calla Lilies)」 1924.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81.3x29.8㎝ 23

[도판 5] 마스덴 하틀리(Marsden Hartley)「스틸 라이프: 칼라 릴리들(Still Life: Calla Lillies)」 1920.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26 3/4x19 1/2㎝. Newark Museum 23

[도판 6] 로버트 메이플소프 (Robert Mapplethorpe)「칼라 릴리(Calla Lily)」 1988. 사진 23

[도판 7]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분홍색 위의 두 송이 카라(Two Calla Lillies on Pink)」1928.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101.6x76.2㎝. 필라델피아 미술관 24

[도판 8]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붉은 바탕의 한 송이 백합(Single Lily with Red)」1928. 목판에 유채. 420x800㎝ 24

[도판 9]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긴 병 안의 칼라 1(Calla Lily Tall Glass-No. 1)」1923.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91.4. x76.2㎝ 24

[도판 10]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꽃 축제: 산타 아니타의 축제(Flower Festival Feast of Santa Anita)」1931. 캔버스에 납화. 199.3x162.5㎝, 뉴욕 현대 미술관 26

[도판 11]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카라와 누드(Nude with Calla Lilies)」1944. 검은 판에 유채. 157x124㎝ 26

[도판 12]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꽃 파는 사람(The Flower Seller)」1942. 캔버스에 납화. 122x122㎝. 개인소장 27

[도판 13]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꽃을 나르는 사람(The Flower Carrier)」1935. 메이소 나이트에 템페라와 유채(Oil and tempera on mas onite). 121.3x121.9.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USA 27

[도판 14] 마르크 샤갈(Marc Chagll)「백합 아래 연인들(Lover under Lilies)」1922.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117x89㎝. 개인소장 28

[도판 15] 마르크 샤갈(Marc Chagll)「하늘을 나는 연인들의 부케(Bouquet with Flying Lovers)」1934-1947.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130.5x97.5㎝. Tate Gallery. London. England 28

[도판 16] 마르크 샤갈(Marc Chagll)「과일과 꽃 (Fruits and Flowers)」1929.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100x80.9㎝ 29

[도판 17] 마르크 샤갈(Marc Chagll)「신혼부부(The Bridal Couple)」1927-35.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148x80.8㎝ 29

[도판 18] 배윤경「백야」2015. 장지에 분채. 193.9x180㎝ 32

[도판 19] 배윤경「백야3」2015. 장지에 분채. 162.2x130.3㎝ 32

[도판 20] 배윤경「백야」의 부분 33

[도판 21] 배윤경「백야2」2015. 장지에 분채. 145.5x112.1㎝ 33

[도판 22] 배윤경「백야2」의 부분 33

[도판 23] 배윤경「너와 사라진 나」2015. 장지에 분채. 24.2x33.4㎝ 38

[도판 24] 배윤경「너와 사라진 나2」2015. 장지에 분채. 33.4x24.2㎝ 38

[도판 25] 배윤경「백야3」의 부분 38

[도판 26] 배윤경「백야2」의 부분 38

[도판 27] 배윤경「숨다」2015. 장지에 분채. 116.8x91㎝ 39

[도판 28] 배윤경「도깨비소녀」2015. 장지에 분채. 72.7x60.6㎝ 39

[도판 29] 배윤경「숨다2」2016.장지에 분채. 90.9x72.7㎝ 39

[도판 30] 배윤경「공존」2014. 장지에 분채. 90.9x72.7㎝ 40

[도판 31] 배윤경「공작이 있는 정원」2016. 장지에 분채. 31.8x40.9㎝ 40

[도판 32] 배윤경「백야」의 부분 42

[도판 33] 배윤경「백야3」의 부분 42

[도판 34] 경희대학교 미술대학 미술관(KUMA) 잔몽(殘夢): 잠이 깰 무렵... 64

도표목차

표 1. 민화 속 꽃의 의미와 상징 14

표 2. 유럽성당 사진과 본인 작품 이미지 비교 34

표 3. 상징적 역할로서의 소품 이미지 표현 43

작품목차

작품 1. 「백야」2015. 장지에 분채. 193.9x180㎝ 48

작품 2. 「백야2」2015. 장지에 분채. 145.5x112.1㎝ 49

작품 3. 「백야3」2015. 장지에 분채. 162.2x130.3㎝ 50

작품 4. 「도깨비소녀」2015. 장지에 분채. 72.7x60.6㎝ 51

작품 5. 「잔몽」2017. 장지에 분채. 116.8x91㎝ 52

작품 6. 「너와 사라진 나」2015. 장지에 분채. 24.2x33.4㎝ 53

작품 7. 「너와 사라진 나2」2015.... 53

작품 8. 「비밀의 집」2016. 장지에 분채. 31.8x40.9㎝ 54

작품 9. 「숨」2016. 장지에 분채. 40.9x31.8㎝ 54

작품 10. 「숨다」2015. 장지에 분채. 116.8x91㎝ 55

작품 11. 「숨다2」2016. 장지에 분채. 90.9x72.7㎝ 56

작품 12. 「공존」2014. 장지에 분채. 90.9x72.7㎝ 57

작품 13. 「붉은 마음」2015. 장지에... 58

작품 14. 「공작이 있는 정원」2016. 장지에 분채. 31.8x40.9㎝ 58

작품 15. 「고요함」2015. 장지에 분채. 80x48.5㎝ 59

작품 16. 「고요함2」2015. 장지에 분채. 80x48.5㎝ 59

작품 17. 「고요함3」2016. 장지에 분채. 60.5x60.5㎝ 60

작품 18. 「Dream catcher」2015. 장지에... 61

작품 19. 「Candle holder」2015. 장지에... 61

작품 20. 「월홍」2016. 장지에 분채.... 62

작품 21. 「월홍2」2016. 장지에 분채.... 62

작품 22. 「유다의 편지(Επιστολή Ιούδα)」2017. 장지에 분채. 90.9x72.7㎝ 63

초록보기

 본 논문은 백합꽃을 통한 죽음의 상징성과 형상화를 주제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순백의 꽃잎을 가진 백합의 상징은 순수, 순결, 성스러움을 뜻하며 그 의미는 고귀한 자태와 아름다움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본인 작품에서의 백합은 죽음을 의미한다. 밀폐된 공간에 백합을 가득 채워놓고 사람이 수면을 취할 경우 사망하게 된다는 속설이 있다. 이러한 속설은 백합이 흐드러지게 핀 것을 볼 때 역설적으로 죽음을 떠올리게 한다. 따라서 백합을 본인만의 표현방법과 시각으로 죽음을 의미하는 새로운 상징으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는 백합의 일반론적 의미와 동·서양을 나누어 백합의 상징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인 작품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꽃을 통해 재생과 죽음을 상징하는 시와 소설을 제시하여 백합이 내포하는 다양한 상징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백합을 소재로 한 작가들의 작품을 사례로 제시하여 백합이 회화에서 어떠한 상징과 이미지로 재구성되고 표현되었는지 알아보았다. 현대 회화에 있어 꽃을 확대 표현하여 여성성과 생식력 등 여러 상징적 의미를 나타낸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카라를 통하여 민중의 가난과 삶의 무게를 상징하며, 멕시코 국민들에게 해방과 자유를 줄 수 있는 투쟁의 수단이 된다고 믿었던 혁명가형 예술가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 꽃을 자신이 사랑하는 아내 벨라를 묘사하는 상징적인 언어로 또는 로맨틱한 분위기를 극대화하는 매개체로 표현한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의 작품을 통해 백합꽃 이미지의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나타나는 상징적인 의미와 조형적인 특징을 연구하였다.

제 3장에서는 본인 작품에서 백합이 죽음을 의미하게 된 주관적인 관점과 조형적 이미지에서 수반되는 공간, 형태 및 상징적 표현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본인은 백합꽃으로 밀폐된 공간, 성당내부를 재구성한 천국의 이미지, 분리된 자아의 형상, 달력 위의 붉은색 X표시로 분류하여 백합을 통해 죽음을 어떠한 방법으로 형상화하고 있는지 설명하였다. 또한 각 작품을 제시하고 그 속에 나타나는 상징적인 의미와 조형적인 특징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예술작품으로 표현되는 꽃은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미의식에 의하여 재창조되며, 그들의 주관과 사회적 의미가 포함된다. 본인은 백합에 대한 속설을 통해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발견하고 백합의 상징을 통해서 죽음을 형상화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작품세계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과 자신만의 예술관을 확립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