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5
I. 서론 7
II. 마리솔의 비판의식의 형성배경 11
A. 1950년대 비트문화의 영향 11
B. 마리솔의 비판적 시각의 개인사적 배경 19
III. 작품에 나타난 비판적 시각의 특성 27
A. 현실정치의 권력구조 비판 27
B. 소비사회 속의 인간소외 비판 39
C. 인종차별에 의한 불평등 비판 49
D. 성적 위계구조 비판 55
IV. 결론 64
참고문헌 67
도판 85
ABSTRACT 102
1. 잭 케루악, 『길 위에서』의 두루마리 원고, 1951 85
2. 벤 탤버트, 〈에이스〉, 1961-1962 85
3. 잭 케루악, 〈부처〉, 1956-1962 85
4. 마리솔, 〈프랑스로부터〉, 1960 85
5. 마리솔의 신분증명서 86
6. 마리솔, 〈장군들〉, 1961-1962 86
7. 마리솔, 〈여자 아이〉, 1963 86
8. 마리솔, 〈남자 아이〉, 1963 86
9. 라틴아메리카의 레타블로 87
10. 마리솔, 〈예수의 탄생〉, 1954년 경 87
11. 마리솔, 〈활자 보관함의 인물상〉, 1954 87
12. 마리솔, 〈활자 보관함〉, 1956 87
13. 마리솔, 〈활자 보관함〉, 1956 87
14. 마리솔, 〈활자 보관함〉, 1958 87
15. 마리솔, 〈메이플라워〉, 1961-1962 88
16. 재스퍼 존슨, 〈네 개의 얼굴이 있는 과녁〉, 1955 88
17. 윌리엄 킹, 〈힙노스로서의 마리솔〉, 1958 88
18. 1960년 12월 19일『라이프』잡지의 표지 88
19. 마리솔, 〈케네디 가족〉, 1961 88
20. 마리솔, 〈한 개의 우산과 세 명의 여성들〉, 1965-1966 88
21. 〈한 개의 우산과 세 명의 여성들〉 세부 89
22. 마리솔, 〈커플 2〉, 1966 89
23. 제임스 로젠퀴스트, 1965년 레오 카스텔리 갤러리에 설치된 〈F-111〉 세부,... 89
24. 마리솔, 〈해럴드 윌슨 남작〉, 1967 90
25. 마리솔, 〈영국왕실〉, 1968 90
26. 마리솔, 〈여왕〉, 1957 90
27. 마리솔, 〈프란시스코 프랑코 총통〉, 1967 90
28. 마리솔, 〈샤를르 드 골 대통령〉, 1967 91
29. 마리솔, 〈LBJ〉, 1967 91
30. 마리솔, 〈하얀 꿈들〉, 1968 91
31. 버니 보스턴, 〈꽃의 힘〉, 1967 91
32. 마리솔, 〈미국의 상선 선원의 기념비〉, 1991 91
33. 유-보트 공격에 살아남은 선원들의 사진, 1942. 91
34. 마리솔, 〈천황 히로히토와 나가코 황후〉, 1989 92
35. 천황 히로히토와 나가코 황후의 초상 사진, 1975. 92
36. 마리솔, 〈세 명을 위한 차〉, 1960 92
37. 마리솔, 〈저녁식사 데이트〉, 1963 92
38. 〈저녁식사 데이트〉 세부 92
39. 스완슨, 〈TV 디너〉 지면광고, 1962 92
40. 마리솔, 〈매디슨 애브뉴〉, 1961-1962 93
41. 마리솔, 〈존 웨인〉, 1963 93
42. 1963년 12월 20일자 『라이프』 잡지에 실린 작품 〈존 웨인〉 93
43. 마리솔, 〈딜러들〉, 1965 93
44. 마리솔, 〈파티〉, 1965-1966 93
45. 마리솔, 〈휴 헤프너〉, 1967 94
46. 마리솔, 〈더스트 보울의 가족〉, 1962 94
47. 작자, 연대 불명 94
48. 마리솔, 〈스테파니의 가족〉, 1983 94
49. 마리솔, 〈빈 그릇을 가진 어머니와 아이〉, 1984 94
50. 마리솔, 〈빈 그릇을 가진 소년〉, 1987 94
51. 마리솔, 〈가난한 가족 1〉, 1987 95
52. 마리솔, 〈가난한 가족 2〉, 1987 95
53. 마리솔, 〈의자에 앉아 있는 아이들〉, 1994 95
54. 마리솔, 〈쿠바아이들과 염소〉, 1995 95
55. 마리솔, 〈주트〉, 1961 95
56. 마리솔, 〈재즈 음악가들〉, 1962 95
57. 마리솔, 〈데스몬드 투투 대주교〉, 1988 96
58. 마리솔, 〈인디언〉, 1969 96
59. 마리솔, 〈추장 조셉〉, 1974 96
60. 마리솔, 〈포카혼타스〉, 1975 96
61. 마리솔, 〈검은 여우〉, 1992 96
62. 마리솔, 〈인디언과 말〉, 1992 96
63. 마리솔, 〈타블리타 댄서 1〉, 1993 97
64. 마리솔, 〈긴 깃털〉, 1995 97
65. 마리솔, 〈늑대 가운 2〉, 1996 97
66. 드랑 시 W. 길, 〈1916년 2월 11일 블랙풋 대표단 그룹... 97
67. 마리솔, 〈1916년 워싱턴에서의 블랙풋 대표단〉, 1993 97
68. 마리솔, 〈제로니모〉, 1998 97
69. 마리솔, 〈아이와 두 염소와 함께 있는 여성〉, 1995 98
70. 로라 질핀, 〈나바호 여성, 아이 그리고 염소〉, 1932 98
71. 마리솔, 〈헝가리인들〉, 1955 98
72. 마리솔, 〈미국인 가족〉, 1956 98
73. 마리솔, 〈대가족〉, 1957 98
74. 마리솔, 〈가족〉, 1963 98
75. 에스코바 가족 사진, 1934년 경 99
76. 마리솔, 〈가족 초상〉, 1961 99
77. 마리솔, 〈엄마와 나〉, 1968 99
78. 마리솔, 〈자화상〉, 1961-1962 99
79. 마리솔, 〈루스〉, 1962 99
80. 마리솔, 〈일광욕〉, 1961-1962 99
81. 마리솔, 〈일광욕하는 사람들〉, 1967 100
82. 톰 웨셀만, 〈위대한 미국 누드 #57〉, 1964 100
83. 마리솔, 〈결혼〉, 1962-1963 100
84. 〈결혼〉 세부 100
85. 마리솔, 〈여성들과 개〉, 1964 100
86. 마리솔, 〈만남〉, 1964 100
87. 마리솔, 〈여섯 명의 여성들〉, 1965-1966 101
88. 마리솔, 〈커플 No.1〉, 1965-1966 101
89. 마리솔, 〈일하는 여성〉, 1987 101
90. 마리솔, 〈처음으로 브루클린 다리를 건너는 존, 워싱턴과 에밀리... 101
본 논문은 마리솔 에스코바(Marisol Escobar, 1930-2016)의 조각에 나타난 비판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마리솔은 다양한 오브제를 혼합한 아쌍블라주 조각을 통해 자신의 비판의식을 조형화하였다. 특정 시기의 조각이 유명인과 여성 이미지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녀는 일찍이 팝아트 작가 혹은 페미니즘의 선구자로 미술사에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마리솔이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사회를 바라보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그간 미비하게 연구되어오던 마리솔의 전 작품을 미술사적 맥락에서 고찰해보고, 비판의식이 그녀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큰 틀이었음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마리솔의 비판의식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정치, 사회적 상황과 미국 미술계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전쟁의 상흔에서 치유 받지 못한 젊은 세대들의 반항적 심리는 1950년대 비트문화를 통해 표출되었다. 비트세대는 인종, 계층, 성별 등의 요인으로 발생한 불평등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회 비판적 분위기를 조성해 나갔다. 마리솔이 자신을 비트족이라고 밝힐 만큼 비트세대의 저항정신은 그녀의 예술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었다. 비트문화의 부흥으로 동시대 사회에 만연한 비판적 사고가 마리솔의 조형적 태도와 부합한다는 점은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녀에게 비판의식이 형성될 수 있던 요인에는 개인사적 배경이 크게 작용하였다. 유년시절 잦은 이주로 인한 불안정한 생활, 부모님의 잦은 갈등, 어머니의 죽음과 억압된 수녀원 기숙학교에서의 생활은 그녀가 세상을 불완전하게 여길 수밖에 없는 동인이 되었다. 또한, 미술계의 남성중심주의적 사고는 그녀를 편향된 시각으로 평가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시행한 인종차별적 이민정책은 비시민권자인 마리솔이 전시 참여의 기회를 박탈당한 원인이기도 했다. 당대 미술계에서 유색인종 여성 작가라는 정체성이 마리솔에게 예술가로서 성장하는 데 제약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론에서는 마리솔의 조각에 나타난 비판의식의 특성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마리솔은 과거부터 현시대까지 사건과 인물을 통해 현실정치의 권력구조를 비판하고자 했다. 종교적 도상을 유희적으로 표현한 조각은 서구 세력의 문화를 활용한 권력구조를 지적했고, 정복과 전쟁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조형언어로 해석하면서 패권국가의 이기심을 주지시켰다. 각 국가 수장들의 초상조각을 풍자적으로 묘사하면서 당대 국제정서의 흐름을 주도하는 이들의 권위에 도전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리솔은 소비사회가 고도로 발달할수록 인간은 주변적 존재에 불과했으며, 이에 따라 인간의 공허한 심리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소비사회의 양극에 치달은 경제적 불평등은 보이지 않는 빈부의 계층을 생성하고 있었다. 이에 마리솔은 과소비를 행하는 소비행태와 부를 과시하는 상류층의 속물근성을 비롯해, 가난한 현실에 직면한 하층민의 빈곤한 삶을 지적하면서 국제사회의 인류애적 관심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한편, 인종차별에 의한 불평등에 대해 흑인들의 문화를 재조명하고, 인디언이 근대화되는 과정을 작품에 담아 유색인종이 겪어 온 부조리한 현실을 피력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녀는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여성 이미지의 조각 작품을 통해 사적 영역에 제한된 여성인권의 실태를 다루면서 여성해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후 현대사회에서 변화하는 여성의 역할과 지위를 반영하며 불평등한 성적 위계구조를 비판하였다.
본 연구는 마리솔의 조각이 정치, 사회와의 긴밀한 맥락 속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그녀가 사회를 바라본 관점이 비판의식에 근거하였음을 밝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현대사회의 모습이 작품에 투영될 수 있었던 근원적 이유는 그녀가 주변 환경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예술로 표출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하여, 마리솔이 예술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고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며 동시대의 삶을 표현한 작가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