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문제 13

3. 연구의 제한점 14

II. 이론적 배경 15

1. 무용수의 부상 15

1) 부상의 개념 15

2) 부상심리 17

2. 무용수의 무용애착 19

3. 무용수행능력 21

(1) 무용수행능력의 개념 21

(2) 무용수행능력의 구성요소 22

III. 연구 방법 24

1. 연구대상 24

2. 조사도구 26

1) 조사도구의 구성내용 및 신뢰도 26

3. 연구절차 30

4. 자료처리 31

IV. 연구결과 32

1. 문항 분석 및 탐색적 요인 분석 32

1) 무용 애착 요인 32

2) 부상심리 36

3) 공연 시 부상심리 38

4) 무용수행능력 40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무용 부상심리, 무용애착, 무용수행 능력 요인 비교 42

1) 전공별 요인 비교 42

2) 무용 경력별 요인 비교 45

3. 무용 부상심리와 무용애착의 관계 47

1) 무용 부상심리와 정신적 애착의 관계 48

2) 무용 부상심리와 기능적 애착의 관계 48

3) 무용 부상심리와 사회적 애착의 관계 49

4) 무용 부상심리와 감정적 애착의 관계 50

5) 무용 부상심리와 무용욕구의 관계 51

4. 무용 부상심리와 무용수행능력의 관계 52

1) 무용 부상심리와 성취감의 관계 52

2) 무용 부상심리와 자신감 관계 53

3) 무용 부상심리와 집중력 관계 54

5. 무용 애착과 무용수행능력의 관계 55

1) 무용 애착과 성취감 관계 55

2) 무용 애착과 자신감 관계 56

3) 무용 애착과 집중력 관계 57

V. 논의 59

1. 대학무용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부상, 무용애착, 무용수행능력의 분석 결과 59

(1) 개인적특성에 따른 무용부상 59

(2)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애착 60

(3)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수행능력 61

2. 부상심리와 무용애착의 관계 61

3. 무용 부상심리와 무용수행능력 62

4. 무용애착과 수행능력의 관계 63

VI. 결론 및 제언 64

1. 결론 64

2. 제언 66

참고문헌 67

부록 71

ABSTRACT 79

표목차

〈표 1〉 무용수의 부상과 관련된 심리적 반응 17

〈표 2〉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5

〈표 3〉 무용애착 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27

〈표 4〉 연습 시 부상심리 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28

〈표 5〉 공연 시 부상심리 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29

〈표 6〉 무용수행능력 요인 문항 구성 및 신뢰도 29

〈표 7〉 연구절차 30

〈표 8〉 무용 애착 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33

〈표 9〉 무용 감정적 애착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35

〈표 10〉 연습시 부상 심리 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37

〈표 11〉 공연 시 부상심리 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39

〈표 12〉 무용수행능력 요인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41

〈표 13〉 무용 전공에 따른 무용 연습 및 공연심리 요인의 평균 및 분산분석 결과 42

〈표 14〉 무용 전공에 따른 무용 애착 요인의 평균 및 분산분석 결과 43

〈표 15〉 무용 전공에 따른 무용수행능력 요인의 평균 및 분산분석 결과 44

〈표 16〉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 연습 및 공연심리 요인의 평균 및 분산분석 결과 45

〈표 17〉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 애착 요인의 평균 및 분산분석 결과 46

〈표 18〉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수행능력 요인의 평균 및 분산분석 결과 47

〈표 19〉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정신적 애착에 미치는 영향 48

〈표 20〉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기능적 애착에 미치는 영향 49

〈표 21〉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사회적 애착에 미치는 영향 50

〈표 22〉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감정적 애착에 미치는 영향 51

〈표 23〉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무용욕구에 미치는 영향 52

〈표 24〉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시 심리요인이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53

〈표 25〉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54

〈표 26〉 무용 부상으로 인한 연습 및 공연 시 심리요인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55

〈표 27〉 무용애착 요인이 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56

〈표 28〉 무용애착 요인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57

〈표 29〉 무용애착 요인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58

초록보기

 이 연구의 대학 무용수의 부상심리에 따른 무용애착, 무용수행능력의 관계가 어떻게 성립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목적을 두었다. 서울 3개(E, S, H)대학교를 선정하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171부의 설문지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WIN ver.18.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을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친 후,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168부를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WIN ver.18.0을 이용하여 분석, 다변량분석(MANIOVA),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일원변량(one-way ANOVA) 분산 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인 전공에 따라 부상심리, 무용애착, 무용수행능력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발레전공자의 경우 공연 시 부상심리의 모든 하위요인(공연불안, 공연도피, 친구에 대한 미안함)에 부정적인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발레가 부상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가장 큰 전공으로 해석된다. 무용수행능력은 집중력을 제외한 다른 하위요인에서는 전공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한국무용전공자들의 무용수행 집중력이 현대무용이나 발레 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의 3가지 변인인 부상심리, 무용애착, 무용수행능력 중 개인적 특성인 무용경력은 무용애착에만 관계가 있었고, 10년 이상 무용경력 전공자에게서 정신적 애착이 높게 나타났다. 부상심리 및 무용수행능력은 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어 모든 하위요인이 동일하게 적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부상심리에 따른 무용애착 및 무용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불안걱정 요인은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부상에 따른 불안감은 무용 수행능력을 떨어뜨릴 뿐 만 아니라 무용에 대한 애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비추어 볼 때, 무용수가 부상을 당하면 상당한 강도의 심리적, 신체적 불안에 도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지도자회피 요인 역시 무용 애착의 모든 하위요인, 무용수행능력에서는 자신감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서에 모두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용수의 부상 상황은 본인 스스로의 내면과 외면에 대한 불안감과 더불어 지도자에 대한 두려움까지 더해져 무용애착과 무용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무용수는 부상상황에서 불안함을 극복하고 지도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현명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무용에 대한 애착요인 중 정신적·감정적 애착요인만이 무용수행능력과 유의한 관계가 성립되었으며 이 결과는, 무용수의 잠재적 심리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용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선 무용에 대한 성숙한 애착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무용수는 무용을 수행하는 것이 본연의 의무이므로, 부상상황 시 다시 무용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따르게 된다. 이 연구의 결과, 무용수의 부상상황의 심리는 무용애착 및 무용수행능력과 관계가 있고 무용애착은 무용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용에 애착이 높을수록 무용수행으로의 복귀의지 또한 높아질 것이며, 이와 같은 심리적 역량조절은 부상상황을 보다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