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1

제1장 서론 12

제2장 본론 15

1. 인상주의 음악 15

2. 인상주의 화성어법 18

3. 〈하늘의 빈터〉(Clairières dans le ciel) 작품 분석 34

1. Elle était descendue au bas de la prairie (그녀는 초원 아래로 내려갔다) 36

2. Elle est gravement gaie (그녀는 너무나 즐겁다) 42

3. Parfois, je suis triste (가끔 나는 슬프다) 50

4. Un poète disait... (한 시인이 말하기를...) 63

5. Au pied de mon ilt (내 침대 발치에는) 72

6. Si tout ceci n'est qu'un pauvre rêve (만약 이 모든 것이 그저 초라한 꿈이라면) 79

7. Nous nous aimerons tant (우리는 사랑할 것이다) 85

8. Vous m'avez regardé avec toute votre âme (당신은 온 영혼을 다해 나를 바라보았다) 93

9. Les lilas qui avaient fleuri (피었던 라일락 꽃) 99

10. Deux ancolies (두 매발톱꽃) 109

11. Par ce que j'ai souffert (내가 받은 고통으로 인하여) 116

12. Je garde une médaille d'elle (나는 그녀의 목걸이를 가지고 있다) 125

13. Demain fera un an (내일이면 일 년이) 128

제3장 결론 148

참고자료 150

ABSTRACT 154

표목차

〈표 1〉 (제목없음) 16

〈표 2〉 (제목없음) 28

〈표 3〉 (제목없음) 35

〈표 4〉 1번 형식 36

〈표 5〉 2번 형식 42

〈표 6〉 3번 형식 51

〈표 7〉 4번 형식 63

〈표 8〉 5번 형식 73

〈표 9〉 6번 형식 79

〈표 10〉 7번 형식 85

〈표 11〉 8번 형식 93

〈표 12〉 9번 형식 100

〈표 13〉 10번 형식 110

〈표 14〉 11번 형식 117

〈표 15〉 12번 형식 125

〈표 16〉 13번 형식 130

예목차

〈예 1〉 3, 7, 9, 11, 13화음 18

〈예 2〉 2, 4, 5화음 19

〈예 3〉 부가화음 19

〈예 4〉 C. Debussy 《La fille aux cheveux de lin : Prélude Livre I No.8》 20

〈예 5〉 C. Debussy 《Beau soir》 21

〈예 6〉 C. Debussy 《Green》 22

〈예 7〉 C. Debussy 《La fille aux cheveux de lin : Prélude Livre I No.8》 23

〈예 8〉 C. Debussy 《Violin Sonata mov.3》 23

〈예 9〉 C. Debussy 《Cello Sonata mov.1》 24

〈예 10〉 펜타토닉 25

〈예 11〉 C. Debussy 《Clair de lune : Fête galant I No.3》 25

〈예 12〉 온음음계 26

〈예 13〉 C. Debussy 《Prélude à l'après-midi d'un faune》 26

〈예 14〉 선법 27

〈예 15〉 G#도리아 : C. Debussy 《Clair de lune : Fête galant I No.3》 28

〈예 16〉 E 프리지아 : C. Debussy 《Violin Sonata mov.1》 29

〈예 17〉 C 리디아 : C. Debussy 《Violin Sonata mov.1》 30

〈예 18〉 C 믹솔리디아 : C. Debussy 《Mandoline》 31

〈예 19〉 D 에올리아 : C. Debussy 《Cello Sonata mov.1》 31

〈예 20〉 A 리디아-믹솔리디아 : C. Debussy 《L'isle joyeuse》 32

〈예 21〉 옥타토닉 33

〈예 22〉 C. Debussy 《Brouillards : Prélude Livre II No.1》 33

악보목차

〈악보 1〉 1번 : 마디 1-8 38

〈악보 2〉 1번 : 마디 9-17 40

〈악보 3〉 1번 : 마디 18-22 41

〈악보 4〉 2번 : 마디 1-12 44

〈악보 5〉 2번 : 마디 13-22 47

〈악보 6〉 2번 : 마디 23-29 49

〈악보 7〉 3번 : 마디 1-5 52

〈악보 8〉 3번 : 마디 6-13 53

〈악보 9〉 3번 : 마디 14-19 55

〈악보 10〉 3번 : 마디 20-37 58

〈악보 11〉 3번 : 마디 38-44 59

〈악보 12〉 3번 : 마디 45-51 61

〈악보 13〉 4번 : 마디 1-10 64

〈악보 14〉 4번 : 마디 11-22 66

〈악보 15〉 4번 : 마디 23-34 68

〈악보 16〉 4번 : 마디 35-46 71

〈악보 17〉 5번 : 마디 1-10 74

〈악보 18〉 5번 : 마디 11-16 75

〈악보 19〉 5번 : 마디 17-27 77

〈악보 20〉 5번 : 마디 28-39 78

〈악보 21〉 6번 : 마디 1-18 81

〈악보 22〉 6번 : 마디 19-32 82

〈악보 23〉 6번 : 마디 33-41 84

〈악보 24〉 7번 : 마디 1-10 86

〈악보 25〉 7번 : 마디 11-26 89

〈악보 26〉 7번 : 마디 27-34 90

〈악보 27〉 7번 : 마디 35-42 91

〈악보 28〉 8번 : 마디 1-14 95

〈악보 29〉 8번 : 마디 15-21 96

〈악보 30〉 8번 : 마디 22-35 98

〈악보 31〉 9번 : 마디 1-7 101

〈악보 32〉 9번 : 마디 8-14 102

〈악보 33〉 9번 : 마디 15-24 104

〈악보 34〉 9번 : 마디 25-33 105

〈악보 35〉 9번 : 마디 34-44 107

〈악보 36〉 10번 : 마디 1-11 111

〈악보 37〉 10번 : 마디 12-17 112

〈악보 38〉 10번 : 마디 18-26 113

〈악보 39〉 10번 : 마디 27-40 115

〈악보 40〉 11번 : 마디 1-10 119

〈악보 41〉 11번 : 마디 11-18 120

〈악보 42〉 11번 : 마디 19-29 121

〈악보 43〉 11번 : 마디 30-40 124

〈악보 44〉 12번 : 마디 1-6 126

〈악보 45〉 12번 : 마디 7-15 127

〈악보 46〉 13번 : 마디 1-7 131

〈악보 47〉 13번 : 마디 8-18 132

〈악보 48〉 13번 : 마디 19-32 134

〈악보 49〉 13번 : 마디 33-42 135

〈악보 50〉 13번 : 마디 43-47 136

〈악보 51〉 13번 : 마디 48-58 137

〈악보 52〉 13번 : 마디 59-68 138

〈악보 53〉 13번 : 마디 69-73 139

〈악보 54〉 13번 : 마디 74-85 140

〈악보 55〉 13번 : 마디 86-92 142

〈악보 56〉 13번 : 마디 93-99 143

〈악보 57〉 13번 : 마디 100-109 144

〈악보 58〉 13번 : 마디 110-125 147

초록보기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러 프랑스 가곡은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하게 되었다. 여러 작곡가를 거쳐 발전된 양식 안에서 프랑스어의 음악적 사용과 색채감 있는 화성은 프랑스 가곡을 대표하는 중요한 특징들이 되었고, 이 특징들은 인상주의 음악에서 정점을 이루었다. 인상주의 음악은 조성 및 기능화성이 해체되는 혁신적인 음악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안에서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화성어법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상주의 화성어법은 가곡 안에서도 나타나며, 연주자는 인상주의 화성을 상징하는 '색채감(tone color)'을 중요하게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릴리 불랑제(Lili Boulanger, 1893-1918)의 연가곡 〈하늘의 빈터〉(Clairières dans le ciel, 1914)의 화성분석을 통해 인상주의 화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색채감'을 유발하고, 반주형 및 가사와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 알아보았다. 작품 안에서 화성의 '색채감'은 기존과 완전히 다른 어법이 나타남으로써 유발된다. 3화음 및 7화음 외의 새로운 화음들, 기능화성을 부정하는 비기능적 화성진행, 그리고 온음음계, 선법, 옥타토닉과 같은 장·단음계 외의 음계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처럼 인상주의 화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화성어법은 반주형 및 가사의 변화와 함께 하며, 곡의 형식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지금까지 언급된 새로운 방식의 화성어법은 조성 및 기능화성과 같은 기존의 화성어법과 조화를 이루며 나타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어법과 새로운 어법의 혼합은 인상주의 화성어법의 본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