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3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1.2. 선행 연구 검토 18
1.2.1. 한국어 토론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19
1.2.2. 한국어 토론 전략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26
1.2.3. 한국어 토론 평가 연구 30
1.2.4.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토론 관련 연구 31
1.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5
2. 토론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8
2.1. 토론 38
2.1.1. 토론의 개념 38
2.1.2. 교육토론의 개념 43
2.1.3. 교육토론의 형식과 구조 44
2.1.4. 교육토론의 논제 51
2.2. 토론 능력 61
2.2.1. 토론 능력의 분석 기준 61
2.2.2. 토론 능력의 구성 요소 63
2.3. 토론 평가 71
2.3.1. 평가의 주체 71
2.3.2. 평가의 기준 72
2.3.3. 토론 평가틀의 기능 75
2.3.4. 토론 평가틀의 형식 76
2.4. 외국어 교육에서 '토론 평가'의 효용성 80
2.4.1. 수행 기반 평가로써 '토론 평가' 80
2.4.2. 말하기의 거시적 기술 평가로써 '토론 평가' 81
2.4.3. 통합적 능력 평가로써 '토론 평가' 82
3. 한국어교육의 토론 84
3.1.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의 토론 교육 목표 84
3.2. 한국어 교재의 토론 교육 분석 86
3.2.1. 한국어 교재의 토론 논제 분석 93
3.2.2. 한국어 교재의 토론 형식과 구조 분석 106
3.2.3. 한국어 교재의 토론 평가 분석 114
3.3. 학습자 분석과 교사 분석 127
3.3.1. 학습자 분석 128
3.3.2. 교사 분석 141
3.4. 한국어 토론 교육 현황 158
3.4.1. 한국어 토론의 유형 159
3.4.2. 한국어 토론 논제의 유형 160
3.4.3. 한국어 토론 형식 161
3.4.4. 한국어 토론 평가틀 163
4.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토론 평가틀 개발 165
4.1.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토론 평가틀'의 평가 구인 165
4.1.1. 입론의 평가 구인 166
4.1.2. 문답의 평가 구인 171
4.1.3. 반박의 평가 구인 174
4.1.4.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능력의 평가 구인 175
4.2.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토론 평가틀'의 개발 원리 184
4.2.1. 토론 평가항목의 구성 원칙 185
4.2.2. 토론 채점 방식 186
4.2.3. 토론 평가척도 191
4.2.4. 토론 평가기준 192
4.3.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토론 평가틀' 설계 194
4.3.1. '평가틀'의 구성 194
4.3.2. '평가틀'의 내용타당도 검증 198
4.3.3. '평가틀'의 개발 200
4.3.4. 평가틀의 채점 기준 202
5.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토론 평가틀' 검증 209
5.1. 토론 평가 실험을 위한 학습자 토론 실습수업 211
5.1.1. 토론 실습수업 대상 211
5.1.2. 토론 실습수업 방법 211
5.2. 토론 평가 실험 214
5.2.1. 토론 평가 예비 실험 215
5.2.2. 토론 평가 실험 216
5.3. 신뢰도 검증 217
5.4. 유용성 218
5.4.1. 실용성 220
5.4.2. 역류효과 224
6. 결론 228
6.1. 요약 228
6.2. 연구의 의의 및 앞으로의 과제 234
참고문헌 238
부록 249
[부록 1] 학습자 설문지 249
[부록 2] 교사 설문지 250
Abstract 254
[그림 2-1] 교육토론의 기본 구조 48
[그림 2-2] '한국어 교육토론'의 기본 구조 49
[그림 2-3] 'CEDA 토론' 평가틀 형식 77
[그림 2-4] '링컨더글러스 토론'의 평가틀 형식 78
[그림 3-1]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토론 주제 분포도 94
[그림 3-2]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의 토론 논제 유형 비율 103
[그림 3-3] 학문목적 한국어 교재의 토론 논제 유형 비율 104
[그림 4-1] 한국어 교육토론 형식의 채점 방식 191
[그림 5-1] '평가틀'의 검증 절차 20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