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중등 직업교육기관에서의 기술창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길석면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8.2
청구기호
TD 658.8 -18-60
형태사항
viii, 154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82895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대전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2018.2. 지도교수: 송인암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범위 17

제3절 연구의 틀과 절차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0

제1절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20

제2절 창업 23

제3절 창업 교육 26

제4절 기술 창업 및 기술 창업 교육 37

제5절 교육과정 개발 모형 40

제6절 중등 직업교육기관 및 국가 교육과정 48

1. 중등 직업 교육 기관 48

2. 교과 교육과정 개발 49

3. 국가 교육과정 51

제3장 연구 방법 55

제1절 통합적 연구방법 55

제2절 인문학적 연구방법 57

제3절 질적 연구방법 58

1. 포인팅 그룹 면담 58

2. 표적 집단 설문 59

3. 사례연구 61

4. 델파이 기법 62

제4절 양적 연구방법 63

1. AHP 기법 63

제4장 연구 I 창업교육 내용 도출 및 표준 내용 제안 66

제1절 국내 창업교육 내용 66

제2절 국외 창업 교육 내용 84

제3절 기술 창업 교육 내용 요인 도출 92

1. 도출된 교육 내용 요인 92

2. 교육 내용의 체계화 93

3. 포인팅 그룹의 자문 93

4. 기술 창업 교육 내용 제안 95

제4절 교육 내용 표준 모델 개발 95

1. 연구 추진 체계 95

2. 용어의 정의 96

3. 델파이 설문 97

4. AHP 설문 100

5. 가중치 분석 104

6. 적정성 분석 111

7.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지원 사항 114

8. 교육 내용 표준 모델 116

제5장 연구 II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제안 118

제1절 교육요구 분석 118

1. 연구 추진 체계 119

2. 용어의 정의 120

3. 교육 요구도 분석 121

4. 수업 방법 140

5. 필요 지원 항목 142

제2절 표적(전문가)집단의 적정성평가 - 현장교사의 중요도평가 비교 144

제3절 기술창업 교육내용 개발 모형 제안 147

1. 개발 과정 147

2. 기술창업 교육 모형 148

3. 기술 창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149

제6장 결론 150

제1절 결론 및 제언 150

1. 결론 및 제언(내용없음) 6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54

참고문헌 156

ABSTRACT 161

[표 1] 기업가정신과 관련된 주요 연구 22

[표 2] 창업과정의 흐름과 창업의 속성 25

[표 3] 창업의 요소 26

[표 4] 창업교육내용 및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 29

[표 5] 일반 창업교육과 관련된 연구 30

[표 6] 학교의 창업교육 체계화 방안과 관련된 연구 31

[표 7] 창업교육 효과와 관련된 연구 32

[표 8] 창업교육에 관한 학자들의 관점 35

[표 9] 창업가에게 요구되는 능력 36

[표 10] 타일러의 모형 40

[표 11] Taba의 7단계 모형 42

[표 12] 백워드 모형 44

[표 13] 파이너 모형 44

[표 14] Fantini 모형 47

[표 15]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현황 49

[표 16] 핵심역량의 요소와 의미 49

[표 17] 2015교육과정의 성격 51

[표 18] 2015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52

[표 19] 2015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52

[표 20] 2015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53

[표 21] 2015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육목표 54

[표 22] 포인팅 그룹의 구성 58

[표 23] 창업 교육연구 전문가 그룹 59

[표 24] 창업 실무 전문가 그룹 60

[표 25] AHP의 척도와 의미 64

[표 26] 연구 내용 및 방법 65

[표 27] 『기업가정신』의 내용 및 체계 67

[표 28] 『창업 실무』의 내용 및 체계 68

[표 29] 『창업이 쉬워졌어요』의 내용 및 체계 69

[표 30] 『창업영재 및 새싹 기업 육성』프로그램의 내용 70

[표 31] 『창의 경영』의 내용 및 체계 71

[표 32] 『성공적인 직업생활』의 내용 및 체계 72

[표 33] 『상업 경제』의 내용 및 체계 73

[표 34] 『기업과 경영』 교재의 내용 및 체계 74

[표 35] 『창업일반』 교재의 내용 및 체계 75

[표 36] 인천광역시 창업교재의 내용 및 체계 76

[표 37] 경기도 교육청 창업 교재 내용 및 체계 77

[표 38] 『Wi-Fi 창업과 진로』프로그램 78

[표 39] 과학기술 창업교육 패키지의 내용 79

[표 40] 청소년 창업 교육 프로그램 80

[표 41] 2017 KAIST IP-CEO e-ship의 내용 81

[표 42] 포스텍 영재기업인 교육원의 프로그램 82

[표 43] 유럽위원회의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 84

[표 44] JA Be Entrepreneurial 의 내용 85

[표 45] JA Career Success 의 내용 86

[표 46] 도출한 창업 교육 참고 내용 92

[표 47] 도출된 교육 내용의 체계화 93

[표 48] 포인팅 그룹의 면접 조사 개요 94

[표 49] 기술 창업교육에서 필요한 창업지식·기술에 대한 제안 모델 95

[표 50] 교육내용 모델 개발 연구 추진 체계 96

[표 51] 델파이 설문조사 개요 98

[표 52] 포인팅 그룹 구성 비율 99

[표 53] 1단계 델파이 설문 및 2단계 AHP 설문 응답자 구성 비율 99

[표 54] AHP 설문조사 개요 101

[표 55] AHP 설문지 예시 101

[표 56] AHP에서 이원비교에 사용하는 비율척도(ratio scale)의 각 수치의 의미 102

[표 57] 속성 개수에 따른 R.I.값 104

[표 58] 창업 지식·기술 요인별 가중치 (전체) 105

[표 59] 창업 지식·기술 요인별 가중치 (교육연구 전문가 그룹) 106

[표 60] 창업 지식·기술 요인별 가중치 (실무전문가 그룹) 108

[표 61] 창업 지식·기술 요인별 종합 가중치 (전체) 109

[표 62] 창업 지식·기술 요인별 종합 가중치 (교육연구 전문가 그룹) 110

[표 63] 창업 지식·기술 요인별 종합 가중치 (실무 전문가 그룹) 111

[표 64] 적정성 설문 양식 112

[표 65] 적정성 분석의 개요 112

[표 66] 창업지식· 기술 요인의 1단계 요소 적정성 분석 (전체) 112

[표 67] 창업지식· 기술 요인의 2단계 요인 적정성 분석 (전체) 114

[표 68] 교육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지원 필요항목 115

[표 69] 기술창업 교육 내용 표준 모델 117

[표 70] 교육 요구 분석 연구 추진 체계 119

[표 71] 교육요구도 분석의 개요 121

[표 72] 중요도 및 필요수준과 본인의 현재수준 체크표 121

[표 73] 설문조사 학교 현황 122

[표 74] 변인과 검정 122

[표 75] Borich 의 교육요구도 계산식 123

[표 76] 응답자 특성 123

[표 77] 학교 종류별 내용 영역 중요도 127

[표 78] 학교 종류별 내용 영역 현재수준 127

[표 79] 학교 종류별 내용 요인 중요도 128

[표 80] 학교 종류별 내용 요인 현재수준 129

[표 81] 성별 내용 영역 중요도 130

[표 82] 성별 내용 영역 현재수준 131

[표 83] 교육경력별 내용 영역 중요도 131

[표 84] 교육경력별 내용 영역 현재수준 132

[표 85] 연수시간별 내용 영역 중요도 133

[표 86] 연수시간별 내용 영역 현재수준 134

[표 87] 창업활동별 내용 영역 중요도 135

[표 88] 창업활동별 내용 영역 현재수준 135

[표 89] 교육요구도 순위별 내용요인 137

[표 90] 내용 요인별 중요도, 현재수준, 교육요구도 비교 138

[표 91] 내용 요인별 전체 순위 비교 139

[표 92] 내용 요인별 적절한 수업 방법 140

[표 93] 2가지 이내의 수업방식을 택한 교사 수 (도수) 141

[표 94] 교사들이 원하는 지원 부가사항 142

[표 95] 표적집단의 적정성-현장교사의 중요도 평가 수치 비교 144

[그림 1] 연구의 틀과 절차 19

[그림 2] 기술창업의 정의 38

[그림 3] 워커의 숙의 모형 43

[그림 4] 교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과정 51

[그림 5] 2015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52

[그림 6] TEC 알고리즘 출처 : TEC 홈페이지 87

[그림 7] 기술 창업 교육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에 대한 AHP 의사결정 모형 102

[그림 8] 성별 분포 124

[그림 9] 연령대별 분포 124

[그림 10] 교육경력별 분포 125

[그림 11] 연수시간별 분포 125

[그림 12] 창업관련활동 유무에 따른 분포 126

[그림 13] 성별 내용영역 중요도 130

[그림 14] 연수시간별 내용영역 현재수준 134

[그림 15] 1가지 수업 방법을 선택한 교사 수 141

[그림 16] 기술창업 교육 시 필요한 지원 항목 143

[그림 17] 표적집단 적정성-현장교사 중요도 평가 비교 146

[그림 18] 기술 창업 교육 모형 148

[그림 19] 기술창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149

초록보기 더보기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ttracted a growing interest all over the world, and our country is making efforts to keep up with it. Each institute has opened a lecture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business area and the age of the founder are being considered in the education.

A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grows,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troduce entrepreneurship into regular subjects. However, now we have only decided to include entrepreneurships in the regular course and faced many obstacles such as incomplete teaching materials and courses as well as lack of teachers and training system for the teachers.

Although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included in the school class, there is no teacher who can play the role of education, mentor, and leader. In this environment, the entrepreneurship class may be possible but are not expected to fully carried out. It is urgently needed for comprehensive study on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 method, system support, and network support from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curriculum, and it is time to design a system that links them systema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teria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derived material was consulted and revised through a specialist focusing group and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The quality of the contents was confirmed by the content adjustment of the expert target group and the appropriateness test,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evaluated.

A very unique feature lies in that the contents of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been confirmed after confirming twice or three times the appropriateness and importance by the experts. What do the teachers in the field think about the contents of the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termined by experts' opinions and adjustments? I asked teachers for their opinions. It is a unique and first study to confirm that the teachers in the field thought it to be important as much as the experts do.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study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nd its contents can be applied to the field. This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for develop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will be implications for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tents of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for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present level of the teacher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ed contents an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contents and progra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ducted by government departments, institutions, and overseas were analyzed. Main contents consist of management-oriented and market-oriented education. Sometimes technical contents were included, but there were a lot of attachments to the management and market-oriented contents with some additional contents. An education program combining technology with the market is hardly found.

The contents of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selected and structured by referring to the current programs. With this information, I asked interviews and advice from the pointing group,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target group. The pointing group and the target group emphasize the necessity of contents of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many prior researches emphasize that it is time for not only entrepreneurial education but also qualita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in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motion.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four first stage factors such as "work and I (entrepreneurship)", "technology and products and services", "business concept and business model", "finance and business plan" Area. In connection with this, stepwise founding knowledge and technical factors were derived.

Derived 18 second stage factors are "understanding me "," core competence of technology and service "," marketing ", and so on. Through the Delphi questionnaire, the first stage factor and the second stage factor were decid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dequacy of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 factors, it can be sai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appropriateness evaluated by the two expert groups is higher than 'proper (4)', and the unified appropriateness of the expert group is secured as a whole .

Based on the research analysis of this study, 'Contents and system of standar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derived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AHP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measured consistency of the respon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ses of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 factors were very goo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was evalu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two factors in the questionnaire. The weight was measured by using the comparison, and element of "work and I (entrepreneurship)" was picked the first place in the overall weighting

In the course of this study, 'Ronstadt's entrepreneurial research model', genera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model of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Ronstadt's entrepreneurial research model',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dered to present 'the techn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cess development model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Teachers were ask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needs.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ere verified by the questionnaires of the teachers, which raised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is study. As for the research progress, the type of school,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start - up training time,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we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actors and their current level.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 is based on the Borich (1980).

As a result, the demand for 5.985 was measured as a factor of "marketing (production distribution selling promotion strategy)".

t is shown by the survey on teaching method in factors including lectures, examples, practices, searching, visiting tha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about 70% or more) were more likely to use one teaching method, and the rest teachers told a teaching method should have a combination of the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teachers chose as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places coaching of experts, linkage with major subjects, and networks with entrepreneurship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cultivate potential entrepreneurs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of founding education at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o become an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interdisciplinary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o university and social educatio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future, and are meaningful in that the basis of education development in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s is established with the contents and system of standard education, development model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curriculum, and model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are provided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when various entrepreneurial education contents are crea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like the education of other subjects, requires consistency, connection and characterization.

Many results based on this study will be derived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ill be a catalyst for forming found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