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문제 제기 12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문제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자아통합감 17
1. 자아통합감의 개념 17
2. 자아통합감의 특성 19
3. 자아통합감에 관한 선행연구 22
제2절 애도감정 24
1. 애도감정의 개념 24
2. 애도감정의 반응과 과정 26
3. 애도감정에 관한 선행연구 29
제3절 사회적 지지 32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32
2. 사회적 지지의 유형과 기능 34
3. 사회적 지지에 관한 선행연구 36
제4절 영적 안녕감 39
1. 영적 안녕감의 개념 39
2. 영적 안녕감의 차원 41
3. 영적 안녕감에 관한 선행연구 42
제5절 주요 변인간의 관계 44
제3장 연구방법 49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9
1. 연구모형 49
2. 연구가설 50
제2절 연구 변인의 정의 및 측정 50
1. 자아통합감 50
2. 애도감정 51
3. 사회적 지지 52
4. 영적 안녕감 53
5. 통제변수 53
제3절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54
1. 조사대상 및 표본추출 54
2. 자료수집방법 55
제4절 자료분석방법 56
제4장 연구결과 57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7
제2절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분석 60
제3절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검증 62
제4절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7
1. 상관관계 분석 77
2.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9
제5절 조절효과 검증 81
1.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81
2.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검증 84
제5장 결론 및 제언 90
제1절 주요 연구결과 및 논의 90
제2절 노인복지실천과 정책을 위한 제언 94
1. 노인복지 실천을 위한 제언 94
2. 노인복지 정책을 위한 제언 99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00
참고문헌 103
Abstract 122
부록: 설문지 125
[그림 2-1] ABCX 모델 48
[그림 3-1] 연구모형 49
[그림 4-1] 비공식적 지지에 따른 조절효과 84
[그림 4-2] 종교적 안녕감에 따른 조절효과 87
[그림 4-3] 실존적 안녕감에 따른 조절효과 89
노인복지 연구와 실천에서는 사별에 따르는 애도감정이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 특히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와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 충북, 충남 등 3개의 지역에 위치한 20개의 노인복지관에서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중에서 최근 4년 이내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23명에 대해 완료한 조사자료를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는데, 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은 자아통합감에 의미 있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낮을수록 자아통합감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애도감정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비공식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공식적 지지가 높을수록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애도감정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 모두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교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줄어들었으며, 실존적 안녕감이 높아질수록 살아남은 독거노인의 죄의식을 유발하여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해볼 때,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애도감정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와 영적 안녕감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인복지실천이 필요하다.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을 경감을 위해서는 사별에 따르는 부정적 감정을 해결하기 위한 개인 및 집단정신치료 프로그램, 자조집단 프로그램, 죽음 준비교육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의 강화를 위해서는 비공식적 지지 체계의 기능 강화, 경로당 및 노인복지관 중심의 자조모임 활성화, 노인돌봄서비스 등의 공식적 지지 체계의 개선 등이 요구된다. 영적 안녕감의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 종교기관과 협력 및 연계체계 구축, 통합적 사례관리서비스의 강화등이 요구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