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문제 16
3. 용어의 정의 17
4. 연구의 제한점 19
II. 이론적 배경 20
1.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상담 20
가.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심리학적 기제 20
나. 학교 장면에서의 정서행동문제 38
다. 학교상담 42
2.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 구안의 이론적 접근 46
가. 학교상담 컨설팅의 기초 46
나.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유형 51
다. 접근방법의 근거로서 인지행동이론(cognitive behavior theory) 61
라. 접근방법의 근거로서 강점기반 모델(The strength-based counseling model) 66
III. 연구 방법 74
1. 연구 대상 74
2. 조사 도구 74
3. 자료 수집 75
4. 자료 처리 76
IV. 연구 결과 78
1. 학교상담 컨설팅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78
가. 학교상담 컨설팅 인식 78
나. 학교상담 컨설팅 내용 80
다. 학교상담 컨설팅 방법 83
라. 정서행동문제 관련 애로사항 87
2.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구성 내용과 운영 방법 91
가. 컨설팅 모델 구안의 기본 방향과 모델 제시 91
나. 컨설팅 모델 워크북 개발 120
3.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적용 및 효과 검증 126
가.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적용 126
나. 학교상담 컨설팅 사전·사후 평가 127
다. 컨설팅 경험보고서 분석 131
라. 심층면담 분석 142
마. 해석 및 논의 156
4. 종합 논의 160
V. 결론 및 제언 164
1. 결론 164
2. 제언 166
참고문헌 168
Abstract 192
부록 196
[부록 1] 컨설턴티의 학교상담 컨설팅 매뉴얼 197
[부록 2]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 워크북 209
[부록 3] 학생상담 컨설팅 요구 조사 설문지 229
[부록 4]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타당화 검증 평가지 233
[부록 5] 워크북 개발의 타당화 검증 평가지 237
[부록 6] 학교상담 컨설팅 사전·사후 평가지 238
[부록 7] 학교상담 컨설팅 경험보고서 240
[부록 8] 정서행동문제유형별 심층면담 접근 서식 241
[부록 9] 강점(strengths) 탐색지 260
[부록 10] 역기능적 신념(dysfunctional beliefs) 탐색지 262
[부록 11] 인지적 오류(cognitive error) 탐색지 263
[그림 II-1] 자살에 관한 심리학적 설명 모델 24
[그림 II-2] 우울증에 관한 심리학적 설명 모델 29
[그림 IV-1] 구안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 97
[그림 IV-2] 관계 형성의 주요 요소 98
[그림 IV-3] 요구분석의 주요 요소 100
[그림 IV-4] 학교실태 파악의 주요 요소 102
[그림 IV-5] 컨설팅 구조화의 주요 요소 103
[그림 IV-6] 문제정의의 주요 요소 104
[그림 IV-7] 학생관심카드(면담지) 구성 내용 105
[그림 IV-8] 문제요인 탐색의 주요 요소 107
[그림 IV-9] 학생 목표설정의 주요 요소 109
[그림 IV-10] 컨설턴티 목표설정의 주요 요소 111
[그림 IV-11] 전략 탐색의 주요 요소 113
[그림 IV-12] 전략수립의 주요 요소 115
[그림 IV-13] 전략 실행의 주요 요소 116
[그림 IV-14] 컨설팅 평가의 주요 요소 118
[그림 IV-15] 컨설팅 종결의 주요 요소 119
[그림 IV-16] 구안 모델 효과에 대한 집단 간의 평균 비교 130
본 연구의 목적은 요즘 학교 현장에서 심각한 문제로 논의되고 있는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 모델의 적용과 활용을 통해서 학교상담의 전문화와 활성화를 도모하고, 학생과 교사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학교상담 컨설팅에 관한 교사들의 컨설팅 요구 내용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2. 학생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구성내용과 운영방법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3. 학생 정서행동문제 개입을 위해 개발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효과는 타당한가?
연구 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정서행동문제와 대표적 컨설팅 모델인 Caplan의 정신건강 컨설팅 모델(mentalhealth consulting model), 행동주의 컨설팅 모델(behavioral consultingmodel)과 아들러 컨설팅모델(Adlerian consulting model)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지행동이론(cognitive behavior theory)과 강점기반모델(The strength-based counseling model)을 통해서 컨설팅의 접근 방법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상담 컨설팅에 관하여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정서행동문제 유형 중 자살, 우울, ADHD, 강박사고와 행동, 불안 문제에 관한 컨설팅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리고 각 정서행동문제 유형에 대한 개입방법 및 기술 습득,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이해 및 지식 습득, 정서행동문제 해결을 위한 교사의 효능감 향상 등을 우선적으로 취급할 것을 바라고 있었다. 둘째, 학교상담 컨설팅 방법과 관련해서는 환경이 잘 갖추어진 학교상담실에서 전문상담교사나 전문상담사 및 심리치료사로부터 예방과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학교상담 컨설팅이 이뤄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상담전문가 주도하는 교수방식과 전문가와 교사가 함께 협력하는 혼합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컨설팅을 매회기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총 4-5회기 동안 진행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요구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은 준비 단계와 문제 진단 단계, 목표 설정 단계, 전략 수립 및 실행 단계, 평가 및 종결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준비단계에서는 관계형성, 요구분석, 학교실태 분석, 컨설팅의 구조화 작업이 이뤄지며, 문제 진단 단계에서는 문제정의와 문제요인 탐색의 작업이 이뤄진다. 목표설정 단계에서는 학생의 목표와 컨설턴티의 목표 설정이 이뤄지며, 전략수립 및 실행 단계에서는 전략탐색, 전략수립, 전략실행의 작업이 이뤄진다. 마지막으로 평가 및 종결 단계에서는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활동과 종결의 작업이 진행된다.
컨설팅의 체계적 접근과 적용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컨설팅의 각 단계별 운영에 관한 매뉴얼과 워크북을 제작하였다.
개발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의 적용 효과에 대한 검증의 결과, 컨설턴티들은 컨설팅 경험을 통하여 자신과 정서행동문제 학생에 대한 이해, 접근방법 습득,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법과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장, 정서행동문제 학생의 이해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인식, 정서행동문제 학생의 행동 변화 등에 있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상담 컨설팅 모델은 학교상담 영역에서 다음과 같은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개입방법 및 관련 프로그램이 거의 부재한 실정을 감안한다면, 개발한 컨설팅 모델은 단계별로 매우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학교에 근무하는 상담교사와 일반교사에게는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둘째, 모든 학교에 학교상담 전문가가 배치될 수 없는 상황임을 고려할 때, 개발한 컨설팅 모델의 경험을 통해 많은 학교의 교사들이 정서행동문제 개입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개발한 컨설팅 모델을 통해서 정서행동문제 학생에 대해서나 이러한 학생을 대하는 교사로서의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넷째, 개발한 컨설팅 모델은 인지행동이론과 강점기반모델을 이론적 토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행동에 대한 접근과 적용이 용이할 수 있다. 다섯째, 본 연구는 일반 교사들에게 '정서행동문제'와 '정서행동문제 학생'에 대한 올바른 개념적 인식과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는데 큰 가치와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