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초록 8

1. 서론 10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0

1.2. 선행연구 12

1.2.1.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양상과 연구 쟁점 12

1.2.2. 한국어 듣기 교육과 실제성에 관한 연구 15

1.3. 연구 방법 18

2. 이론적 배경 20

2.1.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교육의 원리 20

2.2.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교육 자료의 종류와 실제성 26

2.2.1. 듣기 교육 자료의 종류 26

2.2.2. 듣기 교육 자료의 실제성 29

3. 분석 방법 37

3.1. 분석 대상 37

3.2. 분석 기준 40

3.3. 분석 절차 45

4. 분석 결과 및 논의 48

4.1. 환경적 요소 48

4.2. 준언어적 요소 49

4.3. 언어적 요소 54

4.3.1. 구어적 요소 54

4.3.2. 상호작용 요소 65

4.4. 대화 구성 요소 68

5. 듣기 교육 자료의 실제성 제고 방안 74

5.1. 초급 74

5.2. 중급 78

5.3. 요약 및 제언 82

6. 결론 86

참고문헌 89

ABSTRACT 96

표목차

〈표 1〉 김청자(2012:152-157)의 듣기 자료의 종류 27

〈표 2〉 박영순 외(2008:413)의 듣기 담화의 유형 27

〈표 3〉 정선화(2011)의 실제적 듣기 자료의 구성 요소 33

〈표 4〉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교육 자료 실제성 판단 요소 36

〈표 5〉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자료의 실제성 분석 요소 41

〈표 6〉 최은지(2007)의 듣기 녹음 자료 속도 실제성 분석 요소 50

〈표 7〉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듣기 교육 자료 속도 50

〈표 8〉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듣기 교육 자료 순수 발화 속도 51

〈표 9〉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듣기 교육 자료 발화 간 휴지 분석 52

〈표 10〉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듣기 교육 자료 발화 내 휴지 정보 52

〈표 11〉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듣기 교육 자료 발화 내 휴지 분석 53

〈표 12〉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교육 자료의 조사·말 줄임 분석 결과 56

〈표 13〉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교육 자료의 축약 분석 결과 60

〈표 14〉 사회통합프로그램 듣기 교육 자료의 맞장구 표현 65

〈표 15〉 사회통합프로그램 초급 듣기 교육 자료의 대화 참여자 관계 69

〈표 16〉 사회통합프로그램 중급 듣기 교육 자료의 대화 참여자 관계 71

그림목차

〈그림 1〉 Brown(2012:350)의 음성언어의 형태 28

〈그림 2〉 분석 대상 교재 38

〈그림 3〉 초급 '듣고 말하기' 목표 및 구성 원리 39

〈그림 4〉 중급의 '말하기와 듣기' 목표 및 구성 원리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