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6
국문초록 9
I. 머리말 11
II. 위장과부 사례 15
III. 조선교회와 과부 신자 25
IV. 위장과부의 숨은 의도 33
V. 맺음말 41
참고문헌 44
본 논문은 신유박해 당시 천주교 여성신자 중 결혼을 하지 않았지만 거짓으로 머리를 올리고 ‘과부’로 위장한 사례를 분석하고, 그들의 사회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남성 가부장을 정점으로 한 성리학 질서가 안정 궤도에 진입한 18세기 말, 천주교 여성신자는 충격과 함께 조선사회에 새로이 등장하였다. 오랫동안 이름 없는 존재로 자리하였던 여성은 새로이 號를 가졌으며, 남성 신자와 같은 공간에서 새로운 세계를 꿈꾸었다. 이들에 대한 탄압은 1801년 신유박해로 본격화되었다.
신유박해에 처형된 여성신자의 면모는 邪學懲義를 통해 추적할 수 있다. 1801년을 전후하여 처형되거나 유배형에 처해진 여성신자는 60여명에 이른다. 이들 중 ‘許哥·吳哥의 처’ 등으로 자신의 혼인 이력을 날조한 여성신자는 6명이다. 아울러 혼인 이력을 속인 여성신자는 대부분 한미할지라도 양반출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에서 혼인의 갖는 사회적 의미와 경중이 각자가 처한 신분에 따라 달랐던 상황을 고려하면, 양반인 여성신자의 과부 위장은 새로운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들의 위장은 조정에서 ‘상투적이다’라고 할 만큼 보편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장과부의 존재와 그들의 의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위장과부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과부 신자의 교회 내 역할을 먼저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교회에는 과부 신자가 상당했으며, 이들은 과부가 가지는 활동성과 기동력을 기반으로 교회활동에 적극적이었다. 또한 집안이 한미한 양반이나 상민의 경우 과부의 경제활동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이는 초기 교회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다. 과부 신자의 역할은 천주교 탄압이 심해주고 주변의 감시가 삼엄해지는 상황 속에서 더욱 요긴하였다. 이에 몇몇의 여성신자는 거짓으로 머리를 올리며 종교활동을 계속해 나갔다.
무엇보다도 처녀인 여성신자가 과부로 위장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동정을 지키고자 하는 데 있었다. 일부 여성신자는 신앙생활의 한 형태로 천주에 대한 동정을 봉헌하였다. 이를 위해 처녀의 행적을 감추고 머리에 쪽을 지며 거짓으로 과부라 칭하였던 것이다. 여성신자의 위장은, 처녀에게는 결혼을 통해 남성중심의 가부장 질서로 편입될 것을 요구하고, 과부에게는 재가하지 않고 수절하는 것을 권하는 조선의 부녀 규범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여성신자의 과부 위장은 결혼하지 않은 여성에게 향하는 조선의 인식과 관련 있다. 조선은 오랫동안 혼인장려책을 전개하면서, 혼인을 통해 여성을 가부장 질서 속에 포섭하고자 하였다. 특히 천주교 여성신자가 결혼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위정자들이 이들을 ‘불온한’ 존재로 상정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조선이 이들이 결혼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문제 삼자 몇몇의 여성신자는 자신의 혼인 이력을 속이며 과부로 위장한 것이다.
1801년 신유박해에 드러난 여성신자의 모습은, 이들이 조선사회가 사활을 걸고 이루고자 하였던 성리학적 가부장 질서의 사각지대를 찾아, 그 지점을 적극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마련한 것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조선에서 남편과 사별하였지만 재혼하지 않은 채 수절하는 과부가 단지 외롭고 딱한 처지가 아니라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결국 몇몇의 여성신자는 ‘과부’라는 위장을 통해 기존 질서와 충돌하지 않으면서도 자신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질서를 구축해 나갔다. 신유박해에 나타난 여성신자의 모습은 한편으로 파격적이지만, 그들 역시 ‘조선’의 시공간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었음을 시사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