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8

I. 머리말 20

II. 중국 효자도(孝子圖)의 형성과 이십사효(二十四孝)의 등장 25

III. 이십사효 관련 문헌과 도상의 전개 38

1. 『효행록(孝行錄)』과 송금원대(宋金元代) 북방 고분의 이십사효도 39

2.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일기고사(日記故事)』와 명청대(明淸代) 이십사효도 52

IV. 한국과 일본의 이십사효도 65

1. 조선(朝鮮) 시대 행실도류(行實圖類) 효자도와 이십사효도 65

1) 이십사효 도상의 공유 65

2) 행실도별 이십사효 도상의 특징 74

2. 무로마치(室町)·에도(江戶) 시대의 이십사효도 수용 양상 81

V. 맺음말 93

참고문헌 96

ABSTRACT 145

표목차

[표 1] 『효자전』과 무량사의 화상석 효자도 비교 26

[표 2] 이십사효 관련 문헌의 3가지 계통 38

[표 3] 고려 『효행록』과 송금원 시기 고분 미술의 이십사효도 비교 41

[표 4] 『효행록』의 내용 구성 43

[표 5] 『전상이십사효시선』과 『효행록』의 공통점 및 『일기고사』와의 차... 55

[표 6] 『일기고사』 계통 내용 분류 57

[표 7] 『효행록』과 『일기고사』 내용을 포함한 『삼강행실효자도』 수록 고사 67

도판목차

[도판 1] 효자도 위치, 동한, 산동성(山東省) 가상현(嘉祥縣) 무량사(武梁祠). 107

[도판 2] 〈노래자도〉, 동한, 탁본(위)과 복원(아래), 산동성 가상현 무량사. 107

[도판 3] 〈노래자도〉, 동한, 탁본, 산동성 가상현 무량사 전실. 107

[도판 4] 〈동영도〉, 동한, 탁본(위)과 복원(아래), 산동성 가상현 무량사. 107

[도판 5] 〈정란도〉, 동한, 탁본(위)과 복원(아래), 산동성 가상현 무량사. 108

[도판 6] 〈증삼도〉, 동한, 탁본(위)과 복원(아래), 산동성 가상현 무량사. 108

[도판 7] 〈민자건도〉, 동한, 탁본(위)과 복원(아래), 산동성 가상현 무량사. 108

[도판 8] 〈깨달음〉, 기원전 50-25년경, 서문, 산치 대탑. 108

[도판 9] 〈사상도(四相圖)〉, 간다라 2세기 109

[도판 10] 영하 고원시 출토 칠관, 북위 470년 경 109

[도판 11] 〈곽거도와 우순도〉, 영하 고원시 출토 칠관 좌측판, 북위 470년 경 109

[도판 12] 〈우순도〉의 부분도, 북위 470년 경, 영하 고원시 출토칠관. 109

[도판 13] 〈곽거도〉의 부분도, 북위 470년 경, 영하 고원시 출토칠관. 110

[도판 14] 효자 석관, 북위 525년 110

[도판 15] 〈우순도〉, 북위 525년, 효자 석관 110

[도판 16] 〈동영도〉, 북위 525년, 효자 석관 110

[도판 17] 효자 석관상(石棺床), 북위 111

[도판 18] 효자도 순서, 북위, 효자 석관상(石棺床) 111

[도판 19] 〈노래자도〉, 북위, 효자 석관상(石棺床) 111

[도판 20] 〈곽거도 1〉, 북위, 효자 석관상(石棺床) 111

[도판 21] 〈곽거도 2〉, 북위, 효자 석관상(石棺床) 112

[도판 22] 〈동영도〉, 북위, 효자 석관상(石棺床) 112

[도판 23] 〈500강도성불도(五百强盜成佛圖)〉, 서위(西魏) 6세기 중엽, 돈황 제 285굴 벽화. 112

[도판 24] 〈사신사호도(捨身飼虎圖)〉, 북주(北周) 6세기 중엽, 돈황 428굴 벽화. 112

[도판 25] 〈우순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3

[도판 26] 〈우순도〉, 금대 1151년, 산서성 장치시 위촌(魏村) 기년(紀年) 채회전조묘(彩會磚雕墓). 113

[도판 27] 〈왕상도〉, 금대 1195년, 산서성 장치(長治) 벽화묘(壁畫墓). 113

[도판 28] 〈왕상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3

[도판 29] 〈민자건도〉, 금대 1195년, 산서성 장치(長治) 벽화묘(壁畫墓). 114

[도판 30] 〈민자건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4

[도판 31] 〈채순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4

[도판 32] 〈채순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4

[도판 33] 〈강시도〉, 금대 1195년, 산서성 장치(長治) 벽화묘(壁畫墓). 115

[도판 34] 〈강시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5

[도판 35] 〈증삼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5

[도판 36] 〈증삼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5

[도판 37] 〈정란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6

[도판 38] 〈정란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6

[도판 39] 〈동영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6

[도판 40] 〈동영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6

[도판 41] 〈맹종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7

[도판 42] 〈맹종도〉, 금대 1151년, 산서성 장치시 위촌(魏村) 기년(紀年) 채회전조묘(彩會磚雕墓). 117

[도판 43] 〈양향녀도〉, 금대 1195년, 산서성 장치(長治) 벽화묘(壁畫墓). 117

[도판 44] 〈양향녀도〉, 금대, 산서성 둔류현(屯留縣) 송촌(宋村) 벽화묘(壁畵墓). 117

[도판 45] 〈곽거도〉, 금대 1195년, 산서성 장치(長治) 벽화묘(壁畫墓). 118

[도판 46] 〈곽거도〉, 금대 중기, 산서성 장자현(長子懸) 벽화묘(壁畫墓). 118

[도판 47]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명대 초기 118

[도판 48] 우소 (虞韶) 찬집(纂集), 웅대목(熊大木) 교주(校註),『일기고사(日記故事)』 9권, 1542년. 118

[도판 49] 『소학일기(小學日記)』 10권, 1566년 119

[도판 50] 『신전휘군원판교정회상주석편람흥현일기고사(新鐫徽郡原板校正繪像註釋便覽興賢日記故事)』, 1611년 119

[도판 51] 『편람연휘일기고사(便覽聯輝日記故事)』, 명대 말기 119

[도판 52]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釋合像初穎日記故事)』 119

[도판 53] 〈맹종도〉, 「신간전상이십사효시선(新刊全相二十四孝詩選)」, 『감사효시(廿四孝詩)』 120

[도판 54] 〈맹종도〉, 『신간전상이십사효시선』갑본(甲本) 120

[도판 55] 〈맹종도〉, 『편람연휘일기고사(便覽聯輝日記故事)』,명대 말기 120

[도판 56] 〈맹종도〉,『신전휘군원판교정회상주석편람흥현일기고사(新鐫徽郡原板校正繪像註釋便覽興賢日記故事)』,1611년 120

[도판 57] 〈맹종도〉,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명대 초기 121

[도판 58] 〈맹종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釋合像初穎日記故事)』, 명대 초기 121

[도판 59] 〈민자건도〉,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명대 121

[도판 60] 〈민자건도〉, 「신간전상이십사효시선(新刊全相二十四孝詩選)」, 『감사효시(廿四孝詩)』 121

[도판 61] 〈민자건도〉, 『편람연휘일기고사(便覽聯輝日記故事)』, 명대 말기 122

[도판 62] 〈민자건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釋合像初穎日記故事)』, 명대 122

[도판 63] 〈민자건도〉, 『신전휘군원판교정회상주석편람흥현일기고사(新鐫徽郡原板校正繪像註釋便覽興賢日記故事)』, 1611년 122

[도판 64] 〈왕상도〉,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명대 초기 122

[도판 65] 〈왕상도〉, 「신간전상이십사효시선(新刊全相二十四孝詩選)」, 『감사효시(廿四孝詩)』 123

[도판 66] 〈왕상도〉, 『편람연휘일기고사(便覽聯輝日記故事)』, 명대 말기 123

[도판 67] 〈왕상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釋合像初穎日記故事)』, 명대 123

[도판 68] 〈왕상도〉, 『신전휘군원판교정회상주석편람흥현일기고사(新鐫徽郡原板校正繪像註釋便覽興賢日記故事)』, 1611년 123

[도판 69] 〈증삼도〉, 『공문유교열전(孔門儒敎列傳)』, 명대 124

[도판 70] 〈민자건도〉, 『공문유교열전(孔門儒敎列傳)』, 명대 124

[도판 71] 〈중유도〉, 『공문유교열전(孔門儒敎列傳)』, 명대 124

[도판 72] 〈증삼도〉, 『이십사효도(二十四孝圖)』, 1835년 124

[도판 73] 〈강시도〉, 『이십사효도(二十四孝圖)』, 1835년 125

[도판 74] 왕소(王素), 〈중유도〉,『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25

[도판 75] 〈중유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25

[도판 76] 왕소(王素), 〈황향도〉,『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25

[도판 77] 〈황향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26

[도판 78] 〈이십사효도(二十四孝圖)〉, 청대 126

[도판 79] 〈이십사효도(二十四孝圖)〉 병풍, 청대. 126

[도판 80] 〈비연호(鼻烟壺)〉, 19세기 126

[도판 80-1] 〈비연호(鼻烟壺)〉 동영 부분도, 19세기 127

[도판 80-2] 〈비연호(鼻烟壺)〉 정란 부분도, 19세기 127

[도판 81] 〈분채이십사효고사도상병(粉彩二十四孝故事圖賞甁)〉, 청대 127

[도판 81-1] 〈분채이십사효고사도상병(粉彩二十四孝故事圖賞甁)〉민자건 부분도, 청대 127

[도판 81-2] 〈분채이십사효고사도상병(粉彩二十四孝故事圖賞甁)〉맹종 부분도, 청대 128

[도판 82] 〈왕상부빙(王祥剖氷)〉,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28

[도판 83] 〈왕상부빙(王祥剖氷)〉, 『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28

[도판 84] 왕소(王素), 〈왕상도〉, 『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28

[도판 85] 〈왕상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29

[도판 86] 〈민손단의(閔損單衣)〉,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29

[도판 87] 〈민손단의(閔損單衣)〉,『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29

[도판 88] 왕소(王素), 〈민자건도〉, 『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29

[도판 89] 〈민자건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30

[도판 90] 〈정란각목(丁蘭刻木)〉,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0

[도판 91] 〈정란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釈合像初頴日記故事)』, 명대 130

[도판 92] 〈정란각목(丁蘭刻木)〉,『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0

[도판 93] 〈동영대전(董永貸錢)〉,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1

[도판 94] 〈동영대전(董永貸錢)〉,『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1

[도판 95] 〈동영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31

[도판 96] 왕소(王素), 〈동영도〉,『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31

[도판 97] 〈양향액호(楊香搤虎)〉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2

[도판 98] 〈양향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釈合像初頴日記故事)』, 명대 132

[도판 99] 〈양향액호(楊香搤虎)〉,『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2

[도판 100] 왕소(王素), 〈양향도〉, 『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32

[도판 101] 〈양향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33

[도판 102] 〈검루상분(黔婁嘗糞)〉,『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3

[도판 103] 〈검루상분(黔婁嘗糞)〉, 『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3

[도판 104] 왕소(王素), 〈유검루도〉,『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33

[도판 105] 〈유검루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34

[도판 106] 〈맹종읍죽(孟宗泣竹)〉,『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4

[도판 107] 〈맹종읍죽(孟宗泣竹)〉,『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4

[도판 108] 왕소(王素), 〈맹종도〉, 『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34

[도판 109] 〈맹종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35

[도판 110] 〈강시출리(姜詩出鯉)〉,『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5

[도판 111] 〈황향선침(黃香扇枕)〉,『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5

[도판 112] 〈황향선침(黃香扇枕)〉,『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5

[도판 113] 〈증삼양지(曾參養志)〉,『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6

[도판 114] 〈증삼도〉,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명대 초기 136

[도판 115] 〈채순상심(蔡順桑椹)〉,『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6

[도판 116] 〈채순도〉, 『신간전상이십사효시선』갑본(甲本) 136

[도판 117] 〈정란도〉, 『이십사효도설(二十四孝圖說)』, 청대. 137

[도판 118] 왕소(王素), 〈정란도〉, 『이십사효도책(二十四孝圖冊)』, 청대 말기 137

[도판 119] 〈자로부미(子路負米)〉,『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조선 1434년 137

[도판 120] 〈자로부미(子路負米)〉, 『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 조선 1797년 137

[도판 121] 〈맹종도〉, 『이십사효』, 16세기 중반 138

[도판 122] 전 카노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병풍, 6폭 1쌍, 무로마치 16세기 중반 138

[도판 122-1] 전 카노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맹종 부분도 138

[도판 122-2] 전 카노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곽거 부분도 138

[도판 122-3] 전 카노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병풍 황향 부분도 139

[도판 122-4] 전 카노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노래자 부분도 139

[도판 123] 카노 쇼에이(狩野 松榮), 〈이십사효도〉 139

[도판 123-1] 카노 쇼에이(狩野 松榮), 〈이십사효도〉 맹종 부분도 139

[도판 124] 카노 산라쿠(狩野 山樂), 〈이십사효도〉 140

[도판 124-1] 카노 산라쿠(狩野山樂), 〈이십사효도〉 맹종 부분도 140

[도판 125] 전 카토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140

[도판 125-1] 전 카토 에이토쿠(狩野永德), 〈이십사효도〉 곽거 부분도 140

[도판 126] 〈황향도〉,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명대 초기 141

[도판 127] 〈황향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釋合像初穎日記故事)』, 명대 141

[도판 128] 〈노래자도〉, 『충신당사각분류주석합상초영일기고사(忠信堂四刻分類註釋合像初穎日記故事)』, 명대 141

[도판 129] 카노 모토노부(狩野元信), 〈선종조사도(禪宗祖師圖)〉, 무로마치 16세기 141

[도판 130] 사가본(嵯峨本) 『이십사효』, 게이초(慶長) 연간(1596-1615) 142

[도판 131] 「이십사효」, 시부카와판(澁川版) 『오토기분코(御伽文庫)』, 에도 시대 142

[도판 131-1] 〈노래자도〉, 「이십사효」, 시부카와판(澁川版) 『오토기분코(御伽文庫)』 142

[도판 132] 〈노래자도〉, 「이십사효」, 『오토기조시』, 무로마치시대 말기 142

[도판 133]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 『본조이십불효(本朝二十不孝)』 2권 1, 1686년. 143

[도판 134]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 『본조이십불효(本朝二十不孝)』 5권 3, 1686년. 143

[도판 135] 〈중유도〉, 『신계류해관양일기고사대전(新계類解官樣日記故事大全)』, 1669년. 143

[도판 136] 스즈키 하루노부(鈴木 春信), 〈맹종도(見立孟宗)〉, 에도 1765년 143

[도판 137] 우타가와 사다토라(歌川 貞虎), 〈염자도〉, 『이십사효의 미타테(見立廿四孝之內)』, 에도 시대 144

[도판 138] 우타가와 쿠니요시(歌川國芳), 〈우순도〉, 『회형제도인입사효(繪兄弟道引廿四孝)』, 에도 시대 144

[도판 139] 우타가와 쿠니요시(歌川國芳), 〈왕상도〉, 『회형제도인입사효(繪兄弟道引廿四孝)』, 에도 시대 144

초록보기

 이십사효(二十四孝)는 중국 고대의 효자 24명을 선정하여 그들의 효행 고사를 정리한 것이다. 이 24개의 이야기를 도해한 것이 이십사효도(二十四孝圖)이다. 이십사효의 개념은 당대(唐代)에 성립되었고, 이십사효도는 송금원(宋金元) 시기의 고분에서부터 발견된다. 효를 주제로 한 미술에 대한 연구는 주로 효자도(孝子圖)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십사효 도상은 본격적으로 다뤄진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십사효 도상을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십사효도는 동아시아에서 지역별로 각기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그 구심점에는 중국에서 출판된 이십사효 판본의 삽도가 있었다. 이십사효를 다룬 서적으로는 『효행록(孝行錄)』, 『전상이십사효시선(全相二十四孝詩選)』, 『일기고사(日記故事)』 등이 대표적이며, 각 서적에 선택된 24명의 효자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외의 이십사효를 다룬 문헌들은 구성과 내용상 대체로 위의 세 서적을 따르고 있다. 『효행록』의 경우 중국에서 출간된 것은 전하지 않고, 대신 고려(高麗) 시대의 것이 가장 이른 시기의 문헌으로 현존한다. 『효행록』에는 원래 함께 실렸던 이십사효도가 남아 있지 않지만, 수록된 효자 고사가 송금원 시기 고분의 이십사효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유실된 『효행록』의 삽도 또한 고분 속 이십사효도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앞서 언급한 이십사효의 3가지 계통을 대표하는 서적 중 동아시아 지역에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 판본은 원명대(元明代)에 출판된 『전상이십사효시선』과 『일기고사』이다. 명청대(明淸代)의 이십사효도는 이 두 판본의 삽도와 매우 유사하다. 청대에 이르기까지 명대의 도상이 전승되고 있으나, 점점 필선이 간략해지고 인물의 얼굴이나 자세가 어색해지는 등 표현상 형식화되어 가는 경향을 보여 준다.

중국의 이십사효 판본은 한국과 일본에 유입되어 효를 주제로 한 도상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 조선(朝鮮) 시대의 행실도류(行實圖類) 효자도는 중국 이십사효 도상의 영향을 보여 주는 좋은 예이다. 송금원 시기의 고분이나 판본 속의 이십사효도는 고사의 내용 중에서 가장 상징적인 장면만을 표현한 단일 장면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조선 전기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의 도상은 단일 장면보다는 주로 여러 장면을 한 화면에 담는 복합 장면 구성을 선택하여 고사의 내용을 서사적으로 풀어낸다. 원래 단일 장면으로 사용되었던 이십사효의 도상은 복합 장면 구성에서 여러 장면 중 하나로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다. 조선 후기 『오륜행실효자도(五倫行實孝子圖)』는 명청대 이십사효 판본의 삽도와 같이 단일 장면 구성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처럼 단일 장면으로 구성된 『오륜행실효자도』에서는 중국의 이십사효 도상이 차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림 속 인물과 배경 등은 자세하게 묘사된다.

일본 에도(江戶) 시대 초기에는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전해진 이십사효 판본뿐만 아니라 나라(奈良) 시대의 그림책(繪本)과 무로마치(室町) 시대 카노파(狩野派) 방식을 계승한 사본이 공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점점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유입된 판본의 이십사효 이미지가 널리 퍼져 나갔다. 후대로 갈수록 일본의 이십사효도 중에는 고사의 내용을 도해하기보다는 특정 상징물로서 고사를 암시적으로 표현한 것이 많아지는데, 이는 중국과 한국의 이십사효도를 단순히 모방하는 것을 넘어 변형, 재창조하고자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송금원 시기의 이십사효도와 판본의 삽도를 이십사효 도상의 기준으로 삼고 동아시아에서의 이십사효 도상의 전개 양상을 실제 작품을 통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