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4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1.2. 연구사 검토 21
1.3. 연구 내용과 절차 40
2. 이론적 탐색 51
2.1. 대학원 유학생의 저자성 51
2.1.1. 과정 중심 글쓰기와 저자 52
2.1.2. 학술적 글쓰기의 장르성 59
2.1.3. 저자성: 발견-표상-전략-구현 62
2.2.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계획하기와 수정하기 66
2.2.1. 쓰기과정 모형 66
2.2.2. 계획하기와 과제표상 71
2.2.3. 수정하기와 수정의 범위 79
2.3. 담화종합의 개념 84
2.3.1. 학술 담화공동체와 학술적 텍스트 84
2.3.2. 담화종합과 학술적 텍스트 분석 89
3. 연구 방법 96
3.1. 연구 대상 96
3.2. 연구 도구 104
3.3. 학술적 텍스트 분석 114
4.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양상 분석 123
4.1. 계획하기 123
4.1.1. 자유글쓰기에 나타난 관찰 양상 123
4.1.2. 학술적 텍스트에 대한 장르 인식 126
4.1.3. 학술적 과제에 대한 과제표상 132
4.2. 수정하기 142
4.2.1. 수정과 읽기 횟수 144
4.2.2. 초고의 문제와 진단 양상 154
4.2.3. 수정 절차와 방법 및 전략 158
4.3. 학술적 텍스트 163
4.3.1. 학술적 텍스트의 수준 분류 163
4.3.2. 학술적 텍스트의 수준별 담화종합 양상 166
5. 담화종합 수준별 대학원 유학생의 저자성 분석 177
5.1. 발견 179
5.1.1. 계획하기에서의 발견 181
5.1.2. 수정하기에서의 발견과 진단 190
5.2. 표상 198
5.2.1. 계획하기에서의 과제표상 200
5.2.2. 수정하기에서의 과제표상 206
5.3. 전략 212
5.3.1. 예상독자를 고려한 전략 215
5.3.2.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전략 224
5.4. 구현 230
5.4.1. 학술적 텍스트의 내용과 구성 231
5.4.2. 학술적 텍스트의 오류와 번역기 사용 238
6. 요약 및 결론 250
6.1. 요약 250
6.2. 결론 258
참고문헌 261
부록 278
[부록 1] 학술적 글쓰기 과제와 읽기 자료 278
[부록 2] 대학원 유학생 필자 요인 분석 설문지 280
[부록 3] 계획하기 점검지 282
[부록 4] 수정하기 점검지 286
[부록 5] 상위 필자 4번의 학술적 텍스트 분석 예시 293
[부록 6] 중위 필자 8번의 학술적 텍스트 분석 예시 295
[부록 7] 하위 필자 7번의 학술적 텍스트 분석 예시 297
Abstract 299
〈그림 1-1〉 연구 주제별 학술적 글쓰기 박사학위논문 28
〈그림 1-2〉 〈한류문화읽기〉 수강생 40
〈그림 1-3〉 연구 대상과 용어 44
〈그림 2-1〉 Hayes & Flower(1980)의 쓰기과정 모형(Hayes & Flower, 1980 : 393) 54
〈그림 2-2〉 과정 중심 글쓰기과정(김선정 외, 2012:198) 55
〈그림 2-3〉 Hayes(1996)의 쓰기과정 모형(Hayes, 1996 : 4) 67
〈그림 2-4〉 Hayes(2012)의 쓰기과정 모형(Hayes, 2012 : 371) 69
〈그림 2-5〉 계획하기의 세부 유형 분류(Hayes & Nash, 1996 : 45) 72
〈그림 2-6〉 계획하기의 유형의 명칭 분류(Hayes & Nash, 1996 : 45) 73
〈그림 2-7〉 담화 구조의 개념적 모형(Flower, 1987 : 2) 74
〈그림 2-8〉 담화종합 과제 표상의 핵심 특질(Flower, 1987) 75
〈그림 2-9〉 수정하기에서의 인지적 과정(Flower et al, 1986:24) 79
〈그림 2-10〉 지식 구성 모형의 원리(Galbraith, 1999:44) 81
〈그림 2-11〉 수정하기에서 탐색과 진단의 전략(Flower et al, 1986:42) 82
〈그림 2-12〉 학술적 글쓰기 양상과 저자성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 94
〈그림 4-1〉 한국어 글쓰기에서의 과정 중심 글쓰기 149
〈그림 4-2〉 담화종합 수준별 대표 필자 선정 169
〈그림 4-3〉 WH-4 텍스트의 도식 171
〈그림 4-4〉 WM-8 텍스트의 도식 173
〈그림 4-5〉 WL-7 텍스트의 도식 175
〈그림 5-1〉 학술적 텍스트 수준별 저자성 분석 모형 177
〈그림 5-2〉 '발견'의 담화종합 수준별 사례 추출 180
〈그림 5-3〉 '표상'의 담화종합 수준별 저자성 연구 방법 199
〈그림 5-4〉 담화종합 수준별 '전략' 분석을 위한 연구 절차 214
〈그림 5-5〉 상위 필자의 예상독자 분류 218
〈그림 5-6〉 중위 필자의 예상독자 분류 220
〈그림 5-7〉 하위 필자의 예상독자 분류 222
〈그림 5-8〉 '구현'의 담화종합 수준별 연구 절차와 목적 230
〈그림 5-9〉 담화종합 수준별 학술적 텍스트의 성격 234
〈그림 5-10〉 인간과 번역기의 번역 대결 결과(임희주, 2018:731) 244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 중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서 담화종합 수준별 '저자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대학원 유학생의 '저자성'을 계획하기와 수정하기에서의 '발견-표상-전략-구현' 국면에서 저자주체가 '선택'하는 양상과 그 '결과'로 정의하였다. 이를 전제로 대학원 유학생의 계획하기와 수정하기에서의 학술적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고, 학술적 텍스트의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학원 유학생의 '담화종합 수준별'로 '발견-표상-전략-구현'의 각 국면에서 나타나는 저자성의 특징을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연구, 대학원 유학생 글쓰기 연구, 담화 종합 텍스트 분석 연구 등의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대학원 유학생의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들이 '학위논문'과 '오류분석', 그리고 '글쓰기 수업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서 대학원 유학생의 글쓰기 연구는 '실제적인 학술적 과제'를 중심으로 '오류분석'뿐만 아니라 텍스트 질에 대한 '다층적 분석'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원 유학생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수업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이전에 대학원 유학생의 글쓰기 '습관', 즉 저자주체로서의 '선택' 양상부터 분석·분류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2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 글쓰기의 문제점을 결과 중심 글쓰기와 과정 중심 글쓰기에서 찾고, '학술적 글쓰기'를 계획하며 쓰고, 수정하며 쓰는 특별한 글쓰기 활동으로 정리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학술적 텍스트는 학술 담화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규약을 지키며,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의사소통하는 장르로 정의하였다. 학술적 텍스트에는 필자가 여러 자료들을 비교하며 선택한 내용들이 '종합'되는데, 이를 근거로 학술적 텍스트의 결정적 특징을 '담화종합'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근거로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텍스트를 담화종합 텍스트 분석 방법으로 분석·종합하였다.
3장에서 연구대상의 구체적인 정보와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연구 도구를 개괄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개괄한 연구 도구를 통해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제시·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계획하기, 수정하기, 담화종합에서의 연구 결과로 대학원 유학생의 저자성 분석을 위한 양적 연구 결과이다. 계획하기에서는 자유글쓰기, 과제표상, 장르 인식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다뤘다. 이를 통해서 대학원 유학생이 초고를 작성하면서 '내용'에 집중해서 글쓰기를 하지만, 한국 담화공동체의 글쓰기 형식(Format)과 독자 고려에서 어려움을 나타냄을 밝혔다. 수정하기에서는 진단, 수정 전략, 수정 방법, 수정 절차의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를 통해서 1차 텍스트의 읽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텍스트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1차 텍스트의 수정 횟수가 증가할수록 텍스트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담화종합에서는 텍스트의 형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피고, 주제의 깊이를 도식화하여 담화종합 수준별로 제시하였다. 상위 수준에서 하위 수준으로 갈수록 '의미무관'과 '확장된 병렬적 진행'이 높아지고 '의미점증'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담화종합 수준을 기준으로 저자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래서 4장에서 진행한 연구 도구를 활용하여 담화종합 수준별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수준별 저자성으로 종합하였다. '발견'은 자유글쓰기와 수정 프로토콜의 내용을 중심으로 학술적 과제와 읽기 자료, 그리고 1차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대학원 유학생 필자의 '선택'을 살폈다. 상위 필자는 '상위 인지 전략'을 활용한 발견 양상이 나타났지만 하위 필자는 과제의 어려움을 발견하고 부정적 정서 표출을 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중위 필자는 주로 '내용'과 관련된 발견이 많았는데 비판적 태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하위 필자와 달리 과제에 대한 어려움보다는 화제에 대해서 본인이 갖고 있는 '배경지식'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표상'은 '발견'을 근거로 대학원 유학생이 '선택'한 '과제 표상'을 말하는데, 이를 교수자의 '과제표상'과 비교·대조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하기와 계획하기에서 상위 필자는 '정보 제공 자료'와 '글쓰기 구성 계획'에서 교수자의 과제표상과 가까워졌고, 중위 필자는 '텍스트의 형식'에서 하위 필자는 '글쓰기 구성 계획' 에서 교수자의 과제표상과 가까워졌다. 다만 하위 필자는 '글쓰기 구성 계획'을 실제 텍스트에서 '구현'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은 수정하기에서 대학원 유학생 필자가 '선택'한 '예상 독자'와 '수정 방법'을 각각 살피고 이를 통해서 텍스트의 자기중심성을 극복했는지를 검토·분석하였다. 상위 필자는 글쓰기를 학술적 글쓰기로 인식하고 예상 독자로 학술 담화공동체를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중·하위 필자들은 학문 목적 글쓰기, 즉 글쓰기를 과제라고 인식하고, 해당 수업의 '교수자'를 예상 독자로 인식하였다. '수정 방법'에서 나타난 자기중심성은 학술 담화공동체 구성원과의 토론과 피드백을 통해서 극복될 수 있는데, 상위 수준으로 올라갈수록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 필자들 중에는 1차 텍스트 총체적 평가에서 중·하위 수준이었지만 2차 텍스트 총체적 평가에서 상·중위 수준으로 상승한 필자들이 있었다. 이는 효과적인 '수정 방법' 의 선택이 자기중심성을 극복하고 텍스트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발견-표상-전략'의 '선택'을 통해서 '구현'된 담화종합 텍스트의 특징을 '내용'과 '오류'를 중심으로 살폈다. 텍스트의 내용은 상위 필자는 논증적 성격, 중위 필자는 표현적 성격, 하위 필자는 정보전달적 성격으로 학술적 텍스트를 완성하였다. 이 결과는 담화종합 수준별로 텍스트 성격의 발달과정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기계적 오류'는 하위 필자의 텍스트에서 빈도수가 높았는데, 하위 필자는 번역기 사용 정도도 가장 높았다. '수사적 오류'는 저자주체로서의 위치가 약한 중·하위 필자들의 텍스트가 상위 필자의 텍스트와 다르게 저자주체를 직접 드러내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습자 개별성',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양상', '담화종합 수준별 저자성의 특징' 등의 결과를 담고 있다. 이 결과들은 첫째, 학술 담화공동체의 구성원인 대학원 유학생의 학습자 개별성을 구체화한다. 둘째, 대학원 유학생 필자들이 갖고 있는 전문 저자로서의 양상을 확인·입증한다. 셋째, 담화종합 수준별로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선택' 양상을 구체화한다. 이 결과들은 대학원 유학생에게 쓰기 능력 수준별, 학술적 글쓰기 국면별로 실제성을 담보한 글쓰기 교육을 제공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