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문제 11

3. 용어의 정의 12

1) 사회적 지지 12

2) 교사-부모 파트너십 12

3) 직무몰입 13

II. 이론적 배경 14

1. 사회적 지지 14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및 중요성 14

2) 사회적 지지의 구성 요인 16

2. 교사-부모 파트너십 17

1) 교사-부모 파트너십의 개념 및 중요성 17

2) 구성요인 19

3.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 21

1) 직무몰입의 개념 21

2) 직무몰입의 구성요인 22

4.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파트너십과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 간의 관계 24

1) 사회적 지지와 직무몰입의 관계 24

2)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직무몰입의 관계 25

3) 영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사-부모파트너십 및 직무몰입 간의 관계 27

III.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 도구 31

1)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31

2) 교사- 부모 파트너십 33

3) 직무몰입 측정도구 34

3. 연구 절차 35

4. 자료 분석 36

IV. 연구결과 및 해석 37

1. 영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의 전반적 경향 37

1) 영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38

2) 영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 차이 40

3) 영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몰입 차이 42

2.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과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 간의 관계 43

3.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45

V. 논의 및 결론 47

1. 논의 및 결론(내용없음) 5

1)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의 일반적 경향 47

2) 영유아교사와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 49

3)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51

2. 결론 54

3. 연구의 제한점 56

참고문헌 58

부록 69

국문초록 75

ABSTRACT 79

표목차

〈표 1〉 연구대상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31

〈표 2〉 사회적 지지 척도의 구성 및 하위 요인별 문항번호 및 신뢰도 33

〈표 3〉 교사-부모 파트너십의 척도의 구성 및 하위 요인별 문항 구... 34

〈표 4〉 직무몰입 척도의 구성 및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5

〈표 5〉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 37

〈표 6〉 영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39

〈표 7〉 영.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 차이 41

〈표 8〉 영유아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몰입 차이 42

〈표 9〉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 44

〈표 10〉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 4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아 교사의 직무몰입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아 교사의 직무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민간, 가정,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영유아교사 30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 직무몰입 으로 구성된 설문지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성영혜(1993), 박은주(2009)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활용한 안혜정(2013)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도구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별로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부모 파트너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Owen, Ware와 Barfoot(2000)이 개발한 교사용 The caregiver-parent patnership scale을 안선희, 임우영(201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정보공유 (sharing information), 정보추구(Seeking information), 상호관계(Adult relations), 3개의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직무몰입 측정도구는 Kaungo(1982)에 의해 개발되었고 하영자(2004)의 척도를 주대진(2010)이 수정, 보완한 것을 활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직무애착 8문항, 직무책임감 3문항으로 총 11문항이며 모든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점수일수록 직무몰입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 파트너십, 직무몰입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세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 파트너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 직무몰입 등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전체 평균은 3.91점(SD=.61)으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의 평균이 3.93(SD=.6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부모 파트너십의 전체 평균은 3.82점(SD=.57)으로 하위요인에서는 교사-부모 간에 정보공유 평균이 4.06(SD=.5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유아 교사의 직무몰입 전체 평균은 3.78점(SD=.61)으로 하위요인 가운데 직무책임감 평균이 4.04(SD=.62)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영유 교사의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 총점은 유의한 정적 상관(r=.29,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 (r=.18∼.3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몰입 간의 총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r=.43,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r=.32∼.44)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유아교사의 교사-부모 파트너십과 직무몰입 간의 총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r=.44,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r=.27∼.42)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이 영유아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몰입을 25% 설명했고 교사-부모 파트너십이 추가된 모형에서 설명력이 10% 증가하여 3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영유아교사가 직무몰입을 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두 번째로 도구적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지각하는 정서적 지지가 높고 도구적 지지가 낮을수록 직무에 더욱 몰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변인 및 교사-부모파트너십 변인이 직무몰입 변인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요인이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유아교사가 직무몰입을 함에 있어 사회적 지지를 높이 인식하고 그들의 직무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서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 뿐 아니라 유치원 교사를 포함하여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영유아교사가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체계와 교사-부모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프로그램과 여러 방안들이 강구되어 영유아교사가 직무에 몰입하여 일할 수 있는 환경체제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