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제1장 서론 9

제2장 포스트휴먼과 아동문학 16

제1절 이론적 배경 16

제2절 연구사 검토 31

제3장 매체 간 각색 양상 비교 39

제1절 로알드 달의 작품 세계 39

제2절 소설 『내 친구 꼬마 거인』 49

제3절 애니메이션 〈The BFG〉(1989) 72

제4절 영화 〈The BFG〉 95

제5절 각색 양상 비교 119

제4장 결론 133

참고문헌 137

ABSTRACT 149

그림목차

그림 1. 『내 친구 꼬마 거인』의 표지 50

그림 2. 〈The BFG〉(1989) 포스터 72

그림 3. 애니메이션의 도입부(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74

그림 4. 선꼬거의 등장 75

그림 5. 거인의 나라 76

그림 6. 선꼬거의 표정과 몸짓 77

그림 7. 소피가 선꼬거를 염려해 주는 장면 80

그림 8. 소피의 목욕 81

그림 9. 선꼬거와 소피의 방귀 놀이 82

그림 10. 꿈의 나라로 가는 길 83

그림 11. 꿀꺽꿀꺽이 마을에서 아이를 잡아 먹는 장면 85

그림 12. 선꼬거와 꿀꺽꿀꺽이 대결하는 장면 87

그림 13. 〈The BFG〉(1989)의 마지막 부분 91

그림 14. 꿈을 모아놓은 꿈의 동굴 94

그림 15. 〈마이 리틀 자이언트〉 포스터 95

그림 16. 소피를 찾으러 선꼬거의 동굴에 온 아홉 명의 식인 거인들 98

그림 17. 영화에서 선꼬거의 표정 및 색조 표현 99

그림 18. 고아원에서의 소피 101

그림 19. 인형의 집을 들여다보는 소피 102

그림 20. 선꼬거의 말실수를 지적하는 소피 104

그림 21. 소피가 꿈들의 실체를 보는 순간 107

그림 22. 여왕을 만난 소피 109

그림 23. 궁전에서 살게 된 소피 110

그림 24. 거인의 나라 111

그림 25. 꿈의 나라 113

그림 26. 선꼬거가 가꾸는 거인의 나라 115

그림 27. 금빛 날개 꿈 118

그림 28. 꿈을 섞고 있는 선꼬거 127

초록보기

 로알드 달의 작품 중에서 그동안 논의가 많지 않았지만 달이 가장 애착을 가졌던 작품 중의 하나인 『내 친구 꼬마 거인』과 이를 원작으로 매체 전환한 브라이언 코스그로브 감독의 애니메이션 〈The BFG〉와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마이 리틀 자이언트〉를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포스트휴먼 철학은 신생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능력이 향상되고 한계를 극복하게 된다는 가능성이 커지면서 논의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아직까지 포스트휴먼에 대한 개념이 합의된 바는 없고, 인간의 본질이 무엇이며,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간의 가치는 어디에 두어야 할지 고려해 보는 것이 요구된다. 포스트휴먼적 사고의 특징으로는 다양한 존재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하는 것으로써 인간중심주의를 해체하고 서로에 대한 차이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유일성과 주체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포스트휴먼의 특성은 아동문학, 특히 판타지 분야에서 잘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등장인물들은 포스트휴먼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달의 『내 친구 꼬마 거인』에서 선꼬거나 소피는 포스트휴먼적 인물로 제시되고 있으며 특히 선꼬거는 인간과 거인 사이의 경계선에 있으면서 다양한 특징적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복잡한 인물이다.

원작의 이러한 특징은 영상으로 각색이 되면서 일정부분 변화가 불가피하다. 코스그로브의 〈The BFG〉는 선꼬거와 소피가 상호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에 보다 집중하여 두 인물의 우정이 부각된다. 서로가 서로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관계로써 두 인물의 목소리는 대등하게 들린다. 결국 선꼬거와 소피는 거인의 나라에서 함께 살게 되었는데, 두 인물은 포스트휴먼으로서 경계적 인물로 영원히 함께 사는 것으로 결말을 맺었다.

스필버그의 〈마이 리틀 자이언트〉는 매체 전환 과정에서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추가되었는데, 이를 통해 선꼬거의 포스트휴먼적인 생동감은 사라지고 소피의 캐릭터가 두드러지면서 소피의 성장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소피는 가정을 가지는 것과 세속적인 성공에 대한 욕망을 가지고 있어서 선꼬거는 소피에게 도움을 주는 부수적인 인물이 되어버렸다. 스필버그의 작품은 포스트휴먼 철학보다는 소피라는 인간이 중심이 된 휴머니즘을 구현하는 쪽으로 기울어졌다.

아동문학 작품인 원작과 영상 매체로 각색된 두 작품을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분석해 보는 것은 아동문학에 등장하는 많은 존재론적 다양성과 개별성을 지니고 있는 인물들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그것은 이 인물들이 서로 동등한 가치와 네트워크적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로서의 의의를 새롭게 발견하는 것이다. 이는 아동문학의 교육적 측면에서 혹은 단순히 아동 독자들의 미성숙한 사고방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오로지 존재 그 자체의 독립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아동문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성의 한 요소로서 읽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