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13

1. 교육포부의 개념 및 의의 13

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15

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개념 및 의의 15

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육포부 18

3. 사회자본 22

가. 사회자본의 이해 23

나. 사회자본의 유형 27

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자본과 교육포부 간 구조적 관계 33

가. 사회자본과 교육포부의 관계 33

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교육포부 간 관계 37

5. 가족구조와 사회자본, 교육포부 42

가. 가족구조와 교육포부 42

나. 한부모가정의 사회자본과 교육포부 44

III. 연구방법 47

1. 데이터와 표본 47

2. 변수설정 및 연구 모형 48

가. 변수설정 48

나. 연구모형 51

3. 분석방법 및 결측치 처리 52

가. 분석방법 52

나. 결측치 처리 54

IV. 분석 결과 및 논의 55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55

2.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58

가. 연구모형의 적합도 58

나. 측정모형의 추정 결과 59

다. 구조모형의 추정 결과 60

라. 매개효과 분석 63

3. 가족구조별 비교 분석 65

가. 잠재평균 차이 분석: MIMIC 모형 66

나. 경로 차이 분석: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69

V. 요약 및 결론 73

1. 요약 73

2. 결론 77

참고문헌 82

표목차

〈표 1〉 기술통계량 55

〈표 2〉 측정변인들 간 상관관계 57

〈표 3〉 모형적합도 59

〈표 4〉 측정모형의 모수추정치 60

〈표 5〉 구조모형의 모수추정치 62

〈표 6〉 구조모형 효과분해 64

〈표 7〉 평균 차이 분석 결과 69

〈표 8〉 기저모형과 측정동일성 제약 모형의 적합도 70

〈표 9〉 가족구조별 구조모형의 모수추정치 71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52

[그림 2] 구조모형의 모수추정치 63

[그림 3] MIMIC 모형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