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문제 13
3. 용어정의 13
1) 또래갈등 해결전략 13
2) 사회적 기술 14
3) FIE-B 프로그램 14
II. 이론적 배경 15
1.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이해 15
1) 유아의 또래갈등의 정의 15
2)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정의 17
3)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범주 20
2.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이해 21
1)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정의 21
2)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 22
3. Feuerstein의 FIE 프로그램 이해 24
1) FIE 프로그램 이론의 이해 24
2) FIE-Basic 프로그램의 이해 38
III. 연구방법 46
1. 연구대상 46
2. 측정도구 46
1) 또래갈등 해결전략 검사 46
2) 사회적 기술 검사 47
3. 연구절차 48
1) 중재자 훈련 48
2) 연구대상 선정 49
3)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49
4) 사전검사 50
5) 실험처치 51
6) 사후검사 58
4. 자료 분석 58
IV. 연구결과 59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59
1) 집단 간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대한 동질성 검증 59
2) 집단 간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동질성 검증 60
2.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61
3. FIE-B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66
V. 논의 및 결론 71
참고문헌 76
Abstract 91
부록_부모용 FIE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 93
그림 1. FIE-Basic-정서인식(EM) 도구 41
그림 2. FIE-Basic-공격성 예방을 위한... 43
그림 3. 친사회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3
그림 4. 적대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3
그림 5. 자기주장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4
그림 6. 수동적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4
그림 7. 중재요청 전략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5
그림 8. 문제해결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8
그림 9. 정서표현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8
그림 10. 질서의식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9
그림 11. 자신감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69
그림 12. 사회적 기술 총점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비교 70
본 연구에서는 FIE-B 프로그램(EM, TLPV)이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W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35명으로, 이 중 17명은 실험집단으로, 18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총 30회기의 FIE-B 프로그램의 정서인식(EM) 도구와 공격성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LPV) 도구를 적용하였다. 통제집단 유아들은 같은 시간 동안 누리교육과정에 의한 정규 수업을 받았다.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본 연구가 끝난 후 FIE-B 프로그램을 같은 방법으로 제공하였다.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송미선(2001)이 Chung과 Asher(1996)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한 또래갈등 해결전략 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윤치연(2008)이 국내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표준화한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검사(Korea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K-SSRS)'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FIE-B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에 대한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IE-B 프로그램은 유아의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였다. 험집단 유아들의 또래갈등 해결전략 중 친사회적 전략의 유의미한 증가와 적대적 전략과 수동적 전략의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고, 자기주장적 전략과 중재요청 전략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FIE-B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의 사회적 기술 총 점수와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과 같은 모든 하위요인 점수의 증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4세 유아 3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Feuerstein의 연구에 따르면, 학습자에게 FIE 프로그램을 약 2~3년간, 200~300시간 동안 제공할 때 그 효과가 안정적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16주간 FIE-B 프로그램의 2가지 도구를 단기간으로 제공했다는 제한점과 추후검사를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사회성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정서인식(EM), 공감적 행동(FEA), 공격성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LPV) 도구 중 정서인식(EM)과 공격성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LPV)를 함께 사용했다는 것과 국내에서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던 공격성 예방을 위한 사고학습(TLPV) 도구를 최초로 사용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동안 FIE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인지발달에 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이 연구를 통해 FIE-B 프로그램이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일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FIE-B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여 유아교육현장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