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8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제2절 연구문제 14

제3절 용어정의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6

제1절 예비노인에 대한 이해 16

1. 노인의 개념 및 특성 16

2. 예비노인의 정의 및 특성 18

제2절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21

1. 삶의 만족도 21

2. 심리적 안녕감 23

3.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24

제3절 집단미술치료와 삶의 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 27

1. 예비노인과 집단미술치료 27

2. 집단미술치료와 삶의 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29

제3장 연구방법 31

제1절 연구 참여자 31

제2절 연구설계 32

제3절 연구절차 32

제4절 연구도구 33

제5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5

제6절 자료분석 39

제4장 연구결과 및 분석 40

제1절 삶의 만족도 변화 40

1. 삶의 만족도에 대한 동질성 검사 40

2. 삶의 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 비교 41

제2절 심리적 안녕감 변화 42

1.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동질성 검사 42

2.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사전·사후 변화 비교 43

제3절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과정 45

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 진행과정 45

2. 단계별 개인의 변화분석 51

제5장 결론 및 논의 64

제1절 결론 및 논의 64

제2절 연구 의의 및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77

〈부록 1〉 참가동의서 78

〈부록 2〉 기초조사 질문지 79

〈부록 3〉 삶의 만족도 척도 검사지 80

〈부록 4〉 심리적 안녕감 척도 81

Abstract 84

〈표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31

〈표 2〉 사전-사후 검사 연구 설계 32

〈표 3〉 연구절차 단계 33

〈표 4〉 삶의 만족도 척도의 문항구성 34

〈표 5〉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문항구성 34

〈표 6〉 프로그램 회기 내 진행 과정 및 내용 37

〈표 7〉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7

〈표 8〉 삶의 만족도 사전검사에 대한 집단 동질성 검증 40

〈표 9〉 프로그램 실시 전·후 실험·통제집단 간 삶의 만족도 차이검증 41

〈표 10〉 심리적 안녕감 사전검사에 대한 집단 동질성 검증 42

〈표 11〉 프로그램 실시 전·후 실험·통제집단 간 심리적 안녕감 차이검증 43

〈표 12〉 A의 관찰내용 52

〈표 13〉 B의 관찰내용 54

〈표 14〉 C의 관찰내용 56

〈표 15〉 D의 관찰내용 58

〈표 16〉 E의 관찰내용 60

〈표 17〉 F의 관찰내용 62

〈그림 1〉 8회기 협동작품 48

〈그림 2〉 10회기 협동작품 50

〈그림 3〉 12회기 협동작품 51

〈그림 4〉 A의 활동작품 53

〈그림 5〉 B의 활동작품 55

〈그림 6〉 C의 활동작품 57

〈그림 7〉 D의 활동작품 59

〈그림 8〉 E의 활동작품 61

〈그림 9〉 F의 활동작품 6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S시에 위치한 ○○종합사회복지관 집단상담실에서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55~64세 예비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7년 12월 19일부터 2018년 3월 13일까지 주 1회 7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Stones와 Kozma(1980)의 연구를 바탕으로 윤진(1982)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제작한 삶의 만족도 척도와 Ryff(1989)가 개발하여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등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제작하여 황소영(2007)이 보완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사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개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 구체적으로 사전·사후 점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Z=-2.23, P〈.05)와 긍정적 경험(Z=-2.03,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예비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 구체적으로 사전·사후 점수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 중 긍정적 대인관계(Z=-2.02, P〈.05), 자율성(Z=-2.20, P〈.05), 삶의 목적(Z=-2.21,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Z=-2.20, P〈.05)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참여자들은 미술을 중심으로 한 작업을 통해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정서와 경험이 증가하고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집단 안에서 친밀감과 신뢰감이 형성되어 서로 지지하고 격려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심리적 자원들을 재발견하고 자기성장의 기회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노년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집단미술치료가 예비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노인의 개인적 성장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 다가올 노년의 삶을 안정적이고 건강하게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데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인 개입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