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7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14

1. 이론적 배경 14

1) 원자력발전의 현황 14

2) 직무스트레스 15

3) 근무환경 24

4) 사회적 지지 26

5) 자기효능감 30

6) 조직유효성 32

2. 선행연구의 검토 38

1)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및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39

2)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및 사회적 지지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41

3)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47

4)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50

III. 연구방법 53

1.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53

1) 연구모형 53

2) 연구가설 54

2. 연구대상 55

3. 측정도구의 구성 56

1) 측정도구 56

2) 측정도구의 구성 58

4. 자료수집 59

1) 설문지 구성을 위한 조사 59

2) 자료 배포 및 회수 60

5. 분석방법 61

6.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64

1) 신뢰도 검증 64

2) 타당도 검증 65

IV. 분석결과와 가설검증 69

1. 일반적 분석 69

1) 표본특성 분석 69

2) 평균차이 분석 71

3) 확인적 요인분석 75

4) 상관분석과 적합도 검증 77

5) 구조방정식 모형의 검증 78

2. 가설검증 82

1)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가설 82

2) 조직유효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영향 가설 85

3) 조직유효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영향가설 85

4) 전체 변수경로의 총효과 분석 및 연구가설 검증결과 88

5) 추가 논의 91

V. 결론 및 제언 98

1. 요약 98

2. 제언 및 시사점 100

참고문헌 108

Abstract 128

부록 : 설문지 130

표목차

〈표 1〉 직무스트레스모형 요약 20

〈표 2〉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및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40

〈표 3〉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및 사회적 지지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46

〈표 4〉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49

〈표 5〉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관계 52

〈표 6〉 측정도구의 구성내용 59

〈표 7〉 설문지 배포·회수 현황 60

〈표 8〉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64

〈표 9〉 측정변수들에 대한 KMO와 Bartlett의 검증 66

〈표 10〉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도구의 타당도 분석결과 67

〈표 11〉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69

〈표 12〉 표본의 직무관련 특성 70

〈표 13〉 표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차이 검증 72

〈표 14〉 표본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평균차이 검증 74

〈표 15〉 변수들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추정결과 76

〈표 16〉 잠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78

〈표 17〉 연구모형의 적합도 80

〈표 18〉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독립변수 간의 검증 84

〈표 19〉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 간의 검증 85

〈표 20〉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의 내생잠재변수 SMC 값 86

〈표 21〉 자기효능감의 간접효과 유의성 및 신뢰구간 검증 87

〈표 22〉 독립변수와 조직유효성 간의 간접효과 산출 88

〈표 23〉 전체변수 경로의 총효과 분석 89

〈표 24〉 직·간접 효과에 대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90

〈표 2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 간의 차이비교 93

〈표 26〉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변수들 간의 차이비교 95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53

〈그림 2〉 구조방정식 모형의 연구모형 63

〈그림 3〉 연구모형의 검증결과(표준화계수) 81

초록보기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의 운영에 있어 핵심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원전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및 사회적 지지요인들이 조직유효성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매개요인으로서 조직유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각 변인 간의 인과 관계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원전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의 지각 차이를 알아보았다. 먼저, 성별은 자기 효능감과 조직 유효성요인에서 유의하였으며, 연령대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모두 유의함을 나타냈다. 결혼여부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조직유효성요인이 유의하였으며, 교육수준에서는 근무환경, 자기효능감, 조직유효성요인에서 유의하였다. 근무기 간과 직위에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제외한 항목들에서 모두 유의했다. 근무형태에서 근무환경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비교대근무가 상대적으로 평균값이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 자기 효능감, 조직 유효성에서는 교대근무가 비교대근무보다 상대 적으로 평균값이 높았다.

다음으로 잠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종속변수인 조직유효성과 상관관계는 정(+)의 방향에서 근무환경,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부(-)의 방향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이론적 방향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요인이 자기효능감 및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관련한 가설을 제외한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어 관련가설도 채택되었다. 한편으로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련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과를 함축하면,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유효성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은 조직유효 성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각각 미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부(-)의 간접효과를, 근무환경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각각 정(+)의 간접효과를 미치었고, 각각의 방향성도 직접효과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전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근무환경, 사회적 지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통해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원자력 발전에 대 한 불안감을 종식 시키면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으로 국가경제에 이바지하며, 원자력발전의 존재목적을 구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일조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