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3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1. 연구의 범위 14

2. 연구의 방법 18

3. 연구 진행 과정 20

제2장 이론적 고찰 22

1절 편의점에 대한 고찰 22

1. 편의점의 개념 22

2. 편의점의 역사적 고찰 22

3. 한국 편의점의 현황 27

3절 선행 연구 고찰 29

1. 관련 연구의 동향 29

2.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30

제3장 사례 대상 지역 물적 환경 분석 32

1절 다세대주택 밀집지역 내 편의점 :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32

1. 도시 환경 분석 32

2. 편의점 공간 활용 분석 34

2절 아파트 단지 내 편의점 :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37

1. 도시 환경 분석 37

2. 편의점 공간 활용 분석 39

제4장 편의점 이용객의 이용행태 분석 42

1절 가구 구성 형태별 편의점 이용 행태 42

2절 주거 유형별 공공 공간에 따른 편의점 이용 행태 49

3절 주거 유형별 편의점 입지 조건에 따른 분석 61

4절 소결 71

제5장 결론 74

1절 연구의 요약 74

2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75

참고문헌 77

[부록] 설문조사지 80

Abstract 88

표목차

[표 1-1] 사례 대상지들의 특성 비교 17

[표 1-2] 주체별 인터뷰 및 설문조사 질문 20

[표 2-1] 관련 선행 연구 29

[표 2-2] 편의점 관련 선행 연구 유형 분석표 31

[표 4-1] 거주 기간 43

[표 4-2] 가구원 수 43

[표 4-3] 가구 구성 형태 44

[표 4-4] 편의점 앞 야외 테이블 공간에서 머무는 시간 46

[표 4-5] 편의점 앞 야외 테이블 공간에서 누구와 머무는가 47

[표 4-6] 편의점 앞 야외 테이블 공간에서 머무는 이유 48

[표 4-7] 휴식 공간 별 공간특성 및 이용행태 50

[표 4-8] 휴식 공간 별 공간특성 및 이용행태 53

[표 4-9] 설문조사 응답자들의 휴식공간 분포도 비교 57

그림목차

[그림 1-1] 사례 대상지가 속한 지역 14

[그림 1-2] 사례 대상지들의 지리적 위치 16

[그림 1-3] 송파구 1인가구수(A:다세대 및 단독주택밀집지역, B:아파트 단지) 18

[그림 1-4] 연구 흐름도 21

[그림 2-1] 롯데쇼핑 편의점의 모습, (「롯데쇼핑 구멍가게의 새로운 형태 '편의점'... 23

[그림 2-2] 1993년 당시 편의점의 모습, (「문구 편의점 영업 강화」) 24

[그림 2-3] 편의점에서 SNS상에서 거래되는 사이버 머니 충전이 가능해졌다.(「편... 25

[그림 2-4] 세븐일레븐 도시락카페의 외관과... 26

[그림 3-1]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주변 시설 현황 33

[그림 3-2]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주변 건물 용도 33

[그림 3-3]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외관 모습 (낮) 35

[그림 3-4]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외관 모습 (밤) 35

[그림 3-5] Seven Eleven 송파중앙점에서 바라본 주변 다세대 주택지의 모습 36

[그림 3-6] Seven Eleven 송파중앙점에서 바라본 주변 단독 주택지의 모습 36

[그림 3-7]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주변 시설 현황 38

[그림 3-8]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주변 아파트 층수 (밀도) 38

[그림 3-9]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외관 모습 (밤) 40

[그림 3-10]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외관 모습 (낮) 40

[그림 3-11]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외부 야외 테이블 공간 한켠에 마련된 쓰레기통... 41

[그림 3-12]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옆 도로(좌:진주아파트, 우:파크리오 B상가) 41

[그림 4-1]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설문조사자 거주지 45

[그림 4-2]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설문조사자 거주지 45

[그림 4-5]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설문조사자 휴식장소 49

[그림 4-6]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설문조사자 휴식장소 52

[그림 4-7]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설문조사자 휴식장소 오버랩 (낮) 58

[그림 4-8] Seven Eleven 송파중앙점 설문조사자 휴식장소 오버랩 (밤) 58

[그림 4-9]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설문조사자 휴식장소 오버랩 (낮) 59

[그림 4-10] Seven Eleven 잠실 파크리오점 설문조사자 휴식장소 오버랩 (밤) 59

[그림 4-11] 서울 송파구 잠실본동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62

[그림 4-12] 서울 송파구 삼전동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62

[그림 4-13] 서울 송파구 방이2동 단독주택 밀집 지역 63

[그림 4-14] 서울 송파구 삼전동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63

[그림 4-15] 서울 송파구 석촌동 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64

[그림 4-16]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435 파크리오 아파트 단지 67

[그림 4-17] 서울 송파구 잠실로 62 트리지움 아파트 단지 67

[그림 4-18]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35 장미1,2차 아파트 단지 68

[그림 4-19]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135 리센츠 아파트 단지 68

[그림 4-2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99 잠실 엘스 아파트 단지 69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와 다세대 및 단독 주택 지역으로 한정지어 편의점 이용 행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편의점이 상업 기능 외에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첫째, 다세대 및 단독 주택 밀집 지역과 아파트 단지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공공 공간의 형태와 구성이 다름에 따라 편의점 이용행태가 다르다. 다세대 및 단독 주택 밀집 지역은 보통 고밀도 저층 주거지로 이뤄져있다. 따라서 주거 지역 근처에 따로 조성된 공원 외에는 따로 조경 시설이 없으며 골목길이나 건물과 건물사이 공터 정도의 공공공간이 있다. 반면 아파트 단지는 조경 공간이 40%내외가 될 정도로 풍부한 휴식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낮 시간대에는 단지 내 조경공간이나 주변 공원을 이용하지만 밤 시간대에는 상권 근처의 휴식공간에서 머문다는 답변이 많았는데 이는 사람들이 많아 안전함을 느끼고 간단히 무언가를 먹을 수 있어서라고 하였다. 그러나 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주거지 주변 공공공간이나 편의점 야외 공간에서 모두 저조한 이용률을 보였으나 주변 공원보다 편의점 야외 테이블 공간을 더 선호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 이유로는 혼자서도 부담 없는 공간, 집과 가깝다, 흡연 등이 있다.

둘째, 다세대 및 단독 주택 밀집 지역은 주거지와 상업용 건물이 혼재하고 아파트 단지는 주거지와 상업용 건물이 분리되어 존재한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 내의 편의점은 도로변에 위치하여 상점 앞에 넓은 보도를 갖는다. 이곳은 날씨가 좋거나 사람이 많아지는 저녁시간이 되면 야외 테이블을 펼치고 가족 혹은 친구들과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된다. 그러나 주거와 상업이 혼재된 주택지역은 편의점 앞의 공간도 타인의 주거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용에 제한이 있으며, 보통 3m 내외의 골목에 위치하여 실내 공간외의 야외 공간에도 제약이 있다.

마지막으로, 아파트 단지보다 1인 가구가 많이 사는 다세대 및 단독 주택지에서는 적은 양의 음식을 사고 싶어 하는 이용자들이 많아 편의점을 생활권 마트의 형식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파트 단지 내 편의점에서는 주식보다는 간식거리를 사는 용도로만 이용한다.

정리하면, 아파트 단지 내의 편의점은 상업 시설이기도 하지만 밤이 되면 주변의 다양하고 풍부한 조경공간보다 선호하는 휴식공간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반면 주택지 내 편의점은 주변의 적은 공공 공간으로 인해 선호되는 휴식 공간이지만 입지적 특성을 이유로 시간과 이용에 제약이 있다. 이렇게 편의점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소비주의적인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상업시설이지만 주거지와 인접했을 때 다른 공공 공간보다 더 친근하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