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목적 13

3. 용어의 정의 13

II. 이론적 배경 16

1.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 16

1) 발달장애 아동의 개념 16

2) 발달장애아동의 정서발달과 사회성 24

2. 발달장애 아동과 집단미술치료 27

3. 꼴라쥬 집단미술치료 29

III. 연구 방법 32

1. 연구 대상 32

1) 선정기준 32

2) 연구대상아동의 특성 32

2. 연구설계 및 절차 34

1) 연구설계 34

2) 연구절차 34

3. 측정 도구 35

1) 한국유아발달검사 (Korean-Development Inventory for Preschoolers; K-DIP) 35

2) 한국유아사회성기술검사 (Korean-Social Skill Rating Scale for Preschoolers; K-SSRSP) 36

3) 사회적 행동 평정 척도 38

4. 꼴라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39

1) 꼴라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39

2) 꼴라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 40

5. 자료처리 44

IV. 연구결과 45

1. 정서발달 변화 결과 45

2. 사회성기술검사의 변화결과 52

3. 행동평정척도의 변화 결과 57

V. 논의 및 결론 72

1. 논의 72

2.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6

ABSTRACT 81

부록 84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85

부록 2. 사회적행동 평정척도 및 범주와 정의 86

부록 3. 정서발달의 행동변화 사전-사후 비교결과 90

부록 4. 회기별 활동사진 91

표목차

〈표 1〉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한 지적장애 정의 및 등급기준 19

〈표 2〉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한 자폐성 장애인 정의 및 등급기준 22

〈표 3〉 장애인복지법에서 제시한 뇌병변장애인의 정의 및 등급기준(개정 2014) 24

〈표 4〉 연구대상아동의 일반적 특성 33

〈표 5〉 한국 유아사회성기술검사의 영역별 측정내용과 번호 38

〈표 6〉 꼴라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42

〈표 7〉 아동A의 사회정서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변화표 47

〈표 8〉 아동B의 사회정서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변화표 48

〈표 9〉 아동C의 사회정서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변화표 49

〈표 10〉 아동D의 사회정서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변화표 50

〈표 11〉 아동E의 사회정서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변화표 51

그림목차

〈그림 1〉 사회정서발달검사의 사전·사후 결과 46

〈그림 2〉 아동A의 사회성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 52

〈그림 3〉 아동B의 사회성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 53

〈그림 4〉 아동C의 사회성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 54

〈그림 5〉 아동D의 사회성발달검사 사전·사후 결과 55

〈그림 6〉 아동E의 사회성기술검사 사전·사후 결과 56

〈그림 7〉 아동A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비언어적 사회적 행동) 59

〈그림 8〉 아동A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언어적 사회적 행동) 59

〈그림 9〉 아동B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비언어적 사회적 행동) 62

〈그림 10〉 아동B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언어적 사회적 행동) 62

〈그림 11〉 아동C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비언어적 사회적 행동) 65

〈그림 12〉 아동C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언어적 사회적 행동) 65

〈그림 13〉 아동D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비언어적 사회적 행동) 68

〈그림 14〉 아동D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언어적 사회적 행동) 68

〈그림 15〉 아동E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비언어적 사회적 행동 71

〈그림 16〉 아동E의 행동평정척도 회기별 변화(언어적 사회적 행동) 71

초록보기

 본 연구는 꼴라쥬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현능력의 제한이 많은 장애아동이나 유아, 노인 대상의 미술치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꼴라쥬 미술치료기법을 사용하되, 본 연구의 대상인 발달장애아동에게 효과적으로 정서적 자극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 하는 꼴라쥬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정서발달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S구 보건소 장애아동 재활지원센터에서 지원하고 주관하는 예술치료교실에 신청한 발달장애 아동 중 5명을 선정하였다.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꼴라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5년 3월 24일부터 6월 16일까지 주1회 50분씩 총12회기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윤치연(2010)이 개발한 한국유아발달검사의 사회정서발달 항목과 한국유아사회성기술검사를 이용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매 회기별로 Kramer(2001)가 개발하고 김지혜(2006)가 수정 보완한 평가도구인 사회적 행동 척도와 행동 관찰지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변화 결과를 도표화하여 비교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쥬 집단미술치료는 발달장애아동의 정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꼴라쥬 집단미술치료는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들의 낮은 발달연령과 작업능력의 제한점으로 인해 한정된 재료와 기법을 적용하거나, 짧은 주의집중력으로 인해 단순한 놀이중심의 미술치료를 실시한 것이 대다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현장에서 보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꼴라쥬 미술치료 기법을 적용하여 정서발달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상 12회기의 짧은 프로그램보다 지속적인 치료로 촉진된 발달이 유지될 수 있는 장기간의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