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4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1.2. 연구 내용 18
1.3. 용어 정의 19
1.4. 연구의 제한점 21
II. 이론적 배경 22
2.1.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 22
2.1.1. 고전적인 교육과정 이론 22
2.1.2.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 25
2.2. 교육과정 분석틀에 대한 논의 36
III. 연구 방법 40
3.1. 연구 대상 40
3.2. 분석틀 43
3.3. 연구 절차 44
IV. 일본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46
4.1. 요소1 : 일본 교육과정 기원과 체계 46
4.1.1. 일본 교육과정 분석 과정 46
4.1.2. 일본 교육과정 개발 배경 48
4.1.3. 일본 교육과정 이론적 관점 60
4.2. 요소2 : 일본 교육과정 고유 영역 64
4.2.1. 일본 중등학교 교육과정 수학과 목적 64
4.2.2. 일본 중등학교 교육과정 수학과 과정 71
4.3. 요소3 : 일본 교육과정 운영 78
4.3.1. 일본 중등학교 교육과정 수학과 시수 79
4.3.2. 일본 중등학교 교육과정 수학과 교수 84
4.4. 요소4 : 일본 교육과정 비평 92
V. 조선교육령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96
5.1 요소1 : 조선교육령 기원과 체계 96
5.1.1. 조선교육령 분석 과정 96
5.1.2. 조선교육령 개발 배경 101
5.1.3. 조선교육령 이론적 관점 114
5.2. 요소2 : 조선교육령 고유 영역 118
5.2.1. 조선교육령 중등학교 수학과 목적 118
5.2.2. 조선교육령 중등학교 수학과 과정 131
5.3. 요소3 : 조선교육령 운영 148
5.3.1. 조선교육령 중등학교 수학과 시수 148
5.3.2. 조선교육령 중등학교 수학과 교수 160
5.4. 요소4 : 조선교육령 비평 169
VI. 교육과정 비교·분석 173
6.1. 조선교육령 비교·분석 173
6.2. 조선교육령과 일본 교육과정 비교·분석 177
6.3. 조선교육령 이후 182
6.3.1. 1942년 중학교 수학과 교수요목 182
6.3.2. 미군정기 중학교 수학과 교수요목 184
6.3.3. 1942년과 미군정기 중학교 수학과 교수요목 비교·분석 188
VII. 결론 192
7.1. 요약 192
7.2. 결론 및 논의 199
7.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02
참고문헌 204
ABSTRACT 213
〈그림 I-1〉 중등학교의 종류 및 학교 명칭의 변화 21
〈그림 II-1〉 Johnson의 교육과정 모형 24
〈그림 II-2〉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과정 26
〈그림 III-1〉 교육과정 연구 절차 44
〈그림 V-1〉 제1차 조선교육령 학교 제도 104
〈그림 V-2〉 제2차 조선교육령 학교 제도 107
〈그림 V-3〉 제3차 조선교육령 학교 제도 111
〈그림 V-4〉 제4차 조선교육령 학교 제도 112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수학교육사를 재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던 제1차 조선교육령부터 제4차 조선교육령에 이르는 교육 법령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수학과 목적, 수학과 과정, 수학과 시수, 수학과 교수이며, 남자 중등학교, 여자 중등 학교, 실업학교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앞서 조선교육령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당시 일본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함께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부터 제4차 조선교육령에 나타난 남자 중등학교 수학과 목적은 제1차부터 제3차까지 수량과 관계된 지식, 계산에 익숙하도록 훈련, 사고의 정확성을 명시하였다. 제4차에서는 수리와 그 응용을 이해하고 수리사상을 함양하여 국민생활 및 국운발전에 실을 거두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자 중등학교의 수학과 목적은 제1차는 교과목 명칭이 산술인 만큼 목적을 계산 훈련에 두어 초등 수준에 머물렀으나, 제2차부터는 남자 중등 학교의 수학과 목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자 중등학교 수학과 목적에 '생활상 필요한' 또는 '가정생활에 활용하는'을 덧붙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실업학교 수학과 목적은 제1차부터 제3차까지는 법령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제4차 조선교육령의 실업학교 이수과 목적은 '산업생활에 활용하고 산업 진흥을 이끌어 가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수 학과 과정을 살펴보면 남자 중등학교는 제1차는 산술, 대수, 기하, 주산을 제2차부터는 산술, 대수, 기하, 삼각법으로 수학과 과정을 구성하였다. 여자 중등학교는 제1차는 산술과 과정으로, 제2차부터는 산술, 필요에 따라 대수초보, 기하초보를 수학과 과정으로 하였다. 실업학교는 제1차는 산술, 대수, 기하를 중심으로 학교의 종류에 따라 주산, 측량, 삼각 등을 추가로 하여 수학과 과정을 명시하였다. 제2차부터는 실업학교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산술, 대수, 기하를 기본적인 골자로 하였다. 수학과 시수는 남자 중등학교의 수업연한은 제1차 조선교육령에서 4년이었다가 제2, 3차는 5년으로 확대, 다시 제4차에서 4년으로 축소되었다. 수학과 매주 교수 시수는 보통 4-5시간 정도로 일정한 시수가 배정되었다. 여자 중등학교의 수업연한은 제1차는 3년, 제2, 3차는 5년으로 남자와 동일해졌으며, 제4차는 4시간으로 축소되었다. 수학과 매주 교수 시수는 대개 2-3시간이 배정되었다. 실업학교의 수업연한은 제1차 조선교육령에서는 2년이었다가 제2, 3차에서 5년으로 확대되고 제4차는 4년으로 개정되었다. 수학과 매주 교수 시수는 5시간 정도였으며 실업학교임에도 불구하고 보통교과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어 수학의 비중이 높았다. 수학과 교수를 살펴보면 남·여 중등학교 모두 계산에 능숙하게 훈련하며, 실험, 실측을 중시하고, 학생 개인 상황과 맞는 문제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수학의 내적, 외적 연결성을 강조하였으며, 구체적 조작을 통하여 엄밀하게 나아가도록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수를 하도록 권고하였다.
둘째, 조선교육령과 일본 교육과정은 제1차 조선교육령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나 제2차 조선교육령부터는 법령상으로는 동일한 교육과정을 두었음을 고찰하였다.
셋째, 1900년대 전 세계적인 수학교육 근대화운동은 일본의 수학과 교육 과정 및 조선교육령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이미 수학교육 근대화운동에 따른 교육사조가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넷째, 미군정기 수학과 교수요목을 살펴본 결과 일제강점기 1942년 수학과 교수요목이 그대로 반영되어 일제강점기 교수요목이 미군정기 교수요목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미군정기와 제1차 교육과정의 제정배경에 관한 선행연구 및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수학교육사 연구에 있어서 일제강점기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심을 두고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