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5
I. 서론 18
II. 만다라의 시작과 인도 및 중국에서의 전개 24
1. 만다라의 시작과 경전적 정의 24
2. 인도에서 제작된 만다라의 작례 30
(1) 서인도 30
(2) 동인도 34
3. 唐代 중국에서 제작된 만다라 37
(1) 安國寺址 출토 불, 보살상 38
(2) 五臺山 金閣寺 입체만다라 40
(3) 圓珍이 청래한 〈五部心觀〉 42
(4) 돈황의 작례 43
III. 법문사 출토 사리장엄구와 쟁점 46
1. 塔基 아래 구조와 사리장엄구 46
2. 사리장엄구에 표현된 만다라 52
IV. 塔基 지하 中室 출토 봉진신보살상 59
1. 봉진신보살상의 형식 59
2.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 65
(1) 상단 앙련좌 65
(2) 중단 구형 69
(3) 하단 돔형 69
3. 佛眼曼茶羅로서의 봉진신보살상 73
V. 만다라의 기능과 사리와의 관계 78
VI. 결론 90
참고문헌 93
도판 114
Abstract 155
도 1. 법문사 진신보탑 붕괴상황, 1981년 114
도 2-1. 법문사 탑기와 석실 전경 114
도 2-2. 법문사 탑기와 석실 평면도 114
도 3-1. 법문사 석실 도면 115
도 3-2. 법문사 석실 단면도 115
도 4. 후실 출토 〈8중 사리함〉, 873년, 법문사 박물관 115
도 5. 후실비감 출토 〈5중 사리함〉, 법문사 박물관 115
도 6. 〈태장계만다라〉, 14세기, 비단에 채색, 214.6x127.3㎝, 브룩클린박물관 116
도 7. 〈금강계만다라〉, 14세기, 비단에 채색, 214.6x127.3㎝, 브룩클린박물관 116
도 8. 〈봉진신보살상〉, 871년, 은에 도금, 38.5㎝, 법문사박물관 116
도 9. 〈봉진신보살상 명판〉, 871년, 은에 도금, 11.2x8.4㎝ 116
도 10. 〈봉진신보살상〉 대좌, 871년, 은에 도금, 17.5㎝ 117
도 11. 〈십일면관음보살입상〉 (부분), 5세기말-6세기초, 돌, 인도 칸헤리석굴 제41굴 117
도 12. 6굴 존상 배치도, 7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7
도 13-1. 6굴 주실 우측벽 부조, 7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8
도 13-2. 6굴 주실 좌측벽 부조, 7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8
도 14. 11굴 2층 존상 배치도,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8
도 15. 12굴 외관,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9
도 16. 엘로라 석굴 12굴 평면도 119
도 17-1. 12굴 3층 존상 배치도,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9
도 17-2. 12굴 2층 존상 배치도,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19
도 17-3. 12굴 1층 존상 배치도,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20
도 18-1. 12굴 2층 주실 본존불, 8세기초, 돌, 인도 엘로라석굴 120
도 18-2. 12굴 2층 주실 우측벽 부조,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20
도 18-3. 12굴 2층 주실 좌측벽 부조,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20
도 19-1. 격자식 부조 만다라,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2굴 내 복도면 121
도 19-2. 격자식 부조 만다라,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2굴 내 남측 계단 밑 벽면 121
도 19-3. 격자식 부조 만다라, 8세기초, 인도 엘로라석굴 12굴 내 정벽 121
도 20. 우다야기리와 그 주변 지도 121
도 21. 碑像형식 팔대보살만다라, 9세기, 돌, 80x58㎝, 인도 오리사 라트나기리 출토 122
도 22. 碑像형식 팔대보살만다라, 9세기, 돌, 115.57x68.58㎝, 인도 오리사 라트나기리 출토 122
도 23. 촉지인 불좌상, 8세기, 돌, 100.3x52.1㎝, 인도 오리사 라리타기리 출토 122
도 24. 〈우다야기리 대탑〉, 8세기 중엽, 인도 오리사 우다야기리 1유적 122
도 25. 우다야기리 대탑 발굴 당시 모습 123
도 26. 선정인 불좌상, 8세기중엽, 돌, 100x160㎝, 우다야기리 대탑 북쪽 감실 출토 123
도 27. 촉지인 불좌상, 8세기중엽, 돌, 100x157㎝, 우다야기리 대탑 동쪽 감실 출토 123
도 28. 여원인 불좌상, 8세기중엽, 돌, 100x151㎝, 우다야기리 대탑 남쪽 감실 출토 123
도 29. 선정인 불좌상, 8세기중엽, 돌, 100x160㎝, 우다야기리 대탑 서쪽 감실 출토 124
도 30. 당 장안성 구획도 124
도 31. 안국사지 출토 여래좌상, 8세기, 대리석, 67.5㎝, 서안비림박물관 124
도 32. 안국사지 출토 보살좌상, 8세기, 대리석, 75㎝, 서안비림박물관 124
도 33. 안국사지 출토 마두관음, 8세기, 대리석, 78㎝, 서안비림박물관 125
도 34. 안국사지 출토 부동명왕, 8세기, 대리석, 43㎝, 서안비림박물관 125
도 35. 안국사지 출토 항삼세명왕, 8세기, 대리석, 88㎝, 서안비림박물관 125
도 36. 東寺 강당 입체만다라 125
도 37. 오대산 금각사 입체만다라 도식 126
도 38-1. 〈오부심관〉(부분), 855년, 종이에 잉크, 30㎝, 滋賀 園城寺 126
도 38-2. 〈오부심관〉(부분), 855년, 종이에 잉크, 30.3㎝, 滋賀 園城寺 126
도 38-3. 〈오부심관〉(부분), 855년, 종이에 잉크, 30.3㎝, 滋賀 園城寺 127
도 39. 〈오지여래 만다라 도해〉, 9세기말, 종이에 잉크, 44.8x43.2㎝, 대영박물관 스타인컬렉션 (Ch. 00428) 127
도 40. 〈팔대보살만다라도〉, 9세기초, 견본채색, 95x63.5㎝, 대영박물관 스타인컬렉션(Ch. 0074) 127
도 41. 석실 입구 128
도 42. 수도 내경 128
도 43. 〈진신지문비〉, 874년, 돌, 115x55㎝, 법문사박물관 128
도 44. 〈의물장비〉, 874년, 돌, 115x69㎝, 법문사박물관 129
도 45-1. 수도 동벽 판석 명문(부분) 129
도 45-2. 수도 동벽 음각 명문 탁본(부분) 129
도 46. 수도 동벽 판석 잔편 남녀공양자 130
도 47. 제2도문, 唐, 돌, 72㎝, 법문사박물관 130
도 48. 제2도문 문틀과 상인방, 법문사박물관 130
도 49. 제2도문 동측 문틀 탁본 131
도 50. 전실 지면 판석 음각 탁본 131
도 51. 법문사 전실 유물 분포도 131
도 52-1. 〈한백옥아육왕탑〉, 唐, 대리석, 78.5㎝, 법문사박물관 132
도 52-2. 〈한백옥아육왕탑〉 내 보리수 132
도 53. 〈동부도〉, 唐, 동에 도금, 53.5㎝, 법문사박물관 132
도 54-1. 〈가릉빈가문은관〉, 唐, 은에 도금, 6.4㎝, 법문사박물관 132
도 54-2. 〈가릉빈가문은관〉 바닥면 명문 133
도 55. 제3도문, 唐, 돌, 80㎝, 법문사박물관 133
도 56. 법문사 중실 유물 분포도 133
도 57. 〈한백옥영장〉, 708년, 대리석, 158.4㎝, 법문사박물관 133
도 58. 〈한백옥영장〉 처마 내측 명문 134
도 59. 〈봉황문은관〉, 唐, 은에 도금, 7.2㎝, 법문사박물관 134
도 60. 제4도문, 唐, 돌, 80㎝, 법문사박물관 134
도 61-1. 후실 동벽 판석 135
도 61-2. 후실 서벽 판석 135
도 62. 후실 유물 발굴 상황 135
도 63. 법문사 후실 유물 분포도 136
도 64. 〈단향목함〉 잔편, 873년, 법문사박물관 136
도 65. 〈사천왕은함〉, 873년, 은에 도금, 20.5x20.5x23.5㎝, 법문사박물관 137
도 66. 〈소면은함〉, 873년, 은, 18.4x18.4x19.3㎝, 법문사박물관 137
도 67. 〈여래설법은함〉, 873년, 은에 도금, 14.8x14.8x16.2㎝, 법문사박물관 137
도 68. 〈육비관음순금함〉, 873년, 순금, 13.5x13.5x13.5㎝, 법문사박물관 137
도 69. 〈진주장순금함〉, 873년, 금, 11.3x11.3x13.1㎝, 법문사박물관 138
도 70. 〈진주장무부석함〉, 873년, 돌, 8x8x10.2㎝, 법문사박물관 138
도 71-1. 〈순금사문탑〉, 873년, 금, 4.8x4.8x7.1㎝, 법문사박물관 138
도 71-2. 분리된 〈순금사문탑〉 138
도 72. 〈류금보살상〉, 唐, 은에 도금, 15㎝, 법문사박물관 139
도 73. 〈지혜륜조은함〉, 871년, 은, 18.9x18.5x22㎝, 법문사박물관 139
도 74. 〈지혜륜조순금함〉, 871년, 금, 14.5x10.5x13.5㎝, 법문사박물관 139
도 75. 〈철함〉, 唐, 철, 22x22x22㎝, 법문사박물관 140
도 76-1. 〈45존 사리함〉, 871년, 은에 도금, 17x17x17㎝, 법문사박물관 140
도 76-2. 〈45존 사리함〉 뚜껑 윗면 140
도 76-3. 〈45존 사리함〉 바닥면과 명문 140
도 76-4. 〈45존 사리함〉에 표현된 금강계만다라 (필자가 재구성) 141
도 77. 〈감보수정곽〉, 唐, 수정, 6.9㎝, 법문사박물관 141
도 78. 〈백옥관〉, 唐, 옥, 4.8㎝, 법문사 박물관 141
도 79. 전실 출토 불지사리, 唐, 骨, 3.7㎝, 법문사박물관 142
도 80. 중실 출토 불지사리, 唐, 玉, 4.1㎝, 법문사박물관 142
도 81. 후실 출토 불지사리, 唐, 玉, 4.03㎝, 법문사박물관 142
도 82. 후실비감 출토 불지사리, 唐, 骨, 3.89-3.94㎝, 법문사박물관 142
도 83-1. 봉진신보살 보관 143
도 83-2. 봉진신보살 후면 143
도 84-1. 〈봉진신보살상〉 명판과 덮개, 명판: 11.2x8.4㎝, 덮개: 6.6x3.5㎝ 143
도 84-2. 〈봉진신보살상〉 명판 아래 연잎 143
도 85-1. 〈봉진신보살상〉 대좌 상단 앙련좌 윗면 삼신진언 144
도 85-2. 〈봉진신보살상〉 대좌 상단 앙련좌 윗면 도면 144
도 86. 〈봉진신보살상〉 대좌 상단 앙련좌 외면 십육대보살 (세부) 144
도 87-1. 〈봉진신보살상〉 대좌 상단 앙련좌 밑면 오대허공장종자 144
도 87-2. 〈봉진신보살상〉 대좌 상단 앙련좌 밑면 오대허공장종자 도면 145
도 88. 〈봉진신보살상〉 대좌 중단 구형 사천왕 145
도 89. 〈봉진신보살상〉 대좌 하단 돔형 팔대보살종자와 팔대명왕 145
도 90. 〈봉진신보살상〉 대좌 하단 돔형 바닥 갈마저와 용 145
도 91. 분리된 〈봉진신보살상〉 146
도 92. 〈봉진신보살상〉 출토 모습 146
도 93-1. 〈봉진신보살상〉 아래에서 출토된 의복 모습 146
도 93-2. 〈반비(半臂)〉, 唐, 비단에 금실로 자수, 14.1x6.5㎝, 법문사박물관 146
도 93-3. 〈치마〉, 唐, 비단에 금실로 자수, 10.2x6.5㎝, 법문사박물관 147
도 93-4. 〈배점(拜墊)〉, 唐, 비단에 금실로 자수, 7.5x7.1㎝, 법문사박물관 147
도 93-5. 〈치마〉, 唐, 비단에 금실로 자수, 16.5x7.2㎝, 법문사박물관 147
도 93-6. 〈가사(袈裟)〉, 唐, 비단에 금실로 자수, 16x7.8㎝, 법문사박물관 147
도 94-1. 돈황 막고굴 제272굴 전경, 北涼 148
도 94-2. 돈황 막고굴 제272굴 주벽 공양보살도 부분 148
도 95. 光宅寺 七寶臺 〈三尊佛龕〉, 703-4년, 돌, 109.5㎝, 도쿄국립박물관 148
도 96-1. 돈황 막고굴 제328굴 전경, 初唐 148
도 96-2. 돈황 막고굴 제328굴 공양보살상, 7세기후반, 122㎝, 하바드대학 박물관 149
도 96-3. 돈황 막고굴 제328굴 서벽 감내 북측 공양보살상 149
도 96-4. 돈황 막고굴 제328굴 서벽 감외 남측 공양보살상 149
도 97. 〈공양보살상〉, 7세기후반-8세기, 돌, 56㎝, 하바드대학 박물관 149
도 98. 〈공양보살상〉, 唐, 대리석, 72㎝, 상해박물관 150
도 99-1.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공양보살상, 강원도 평창 진부면 동산리 월정사 150
도 99-2. 월정사 〈공양보살상〉, 12-13세기, 돌, 180㎝, 월정사성보박물관 150
도 100-1. 신복사지 탑과 공양보살상, 강원도 강릉 성내동 151
도 100-2. 신복사지 〈공양보살상〉, 12-13세기, 돌, 181㎝, 강원도 강릉 성내동 151
도 101. 개태사지 〈공양보살상〉, 고려시대, 돌, 110㎝,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151
도 102. 법천사지 출토 〈공양보살상〉, 12-13세기, 돌, 180㎝,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151
도 103. 〈佛眼曼茶羅〉, 가마쿠라 14세기, 비단에 채색, 65.8x94.2㎝, 滋賀 園城寺 152
도 104. 〈천비관음보살상〉, 9세기후반, 四川省 大足石窟 北山 152
도 105. 정지사 탑 지궁 출토 〈석관〉 2점, 899년, 돌, 31.5/34.5㎝, 정주시박물관 152
도 106. 정지사 탑 지궁 출토 〈금관〉, 宋, 금, 4.9㎝, 정주시박물관 152
도 107. 조양북탑, 遼 1043-44년, 38.7m(90년대 보수공사 전 높이), 중국 요녕성 조양시 153
도 108. 조양북탑 12층 처마 내부에 안치된 사리공과 그 앞의 통로 153
도 109. 조양북탑 12층 처마 사리공 북벽의 만다라 153
도 110. 후칠일어수법 의례장소 154
도 111. 후칠일어수법 大壇과 법구 배치도 154
본 논문은 중국 陝西省 扶風縣에 위치한 法門寺 탑 아래 石室의 中室에서 출토된 〈捧眞身菩薩像〉을 통해 晩唐期에 제작된 曼茶羅와 舍利信仰의 한 측면을 살펴본 것이다. 〈봉진신보살상〉은 삼단으로 이루어진 대좌 위에 오른쪽 무릎을 꿇고 앉아 명문이 새겨진 직사각형의 판을 양손으로 받들고 있다. 명문을 통해 咸通 12년(871) 11월 14일 懿宗(재위. 859-873)의 39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봉진신보살상〉의 대좌에는 다양한 존상과 종자가 새겨져 있어 발굴 직후부터 唐代에 제작된 만다라의 작례로 제시되어왔지만 학계의 주목을 많이 받지는 못했다. 그러나 〈봉진신보살상〉은 당대 만다라 제작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봉진신보살상〉에 구현된 만다라를 밝히고, 더 나아가 만다라와 사리와의 관계는 무엇인지 고찰해보았다.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만다라의 경전적 정의와 7-9세기 인도와 唐代 중국에서 시각화 된 만다라의 작례들을 알아보았다. 이를 검토한 결과 경전에서의 만다라의 의미와 용례는 매우 다양하며, 제작된 만다라 또한 정해진 형식 없이 다양하게 시각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동아시아에서 보편적인 만다라의 형태로 흔히 인식되는 것은 9세기 구카이(空海)에 의해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소위 兩部曼茶羅이지만, 이 채색된 회화식의 만다라가 중국의 만다라를 파악하는데 기준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봉진신보살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만다라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 後室과 後室秘龕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와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당대 만다라에 대한 연구가 일본학계의 전제와 결론으로부터 역추적 하여 파생된 것으로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그동안 학계의 주목을 많이 받지 못한 〈봉진신보살상〉을 중심으로 중국 당대 만다라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했다. 우선 대좌에 새겨진 존상과 종자를 파악했다. 〈봉진신보살상〉 대좌에 표현된 존상과 종자들은 량쯔(梁子)와 라이이만(Lai I-mann)에 의해 『金剛峰樓閣一切瑜伽瑜祇經』「金剛吉祥大成就品」을 기반으로 조사된 바가 있다. 그 중 라이이만의 연구에서 처음으로 모든 존상과 종자가 꼼꼼하게 분석되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도 이에 따라 도상분석을 진행했다. 라이이만의 경우 존상과 종자들의 분석을 통해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는 상이 받들고 있었을 佛指舍利가 주존이 되는 '비로자나 불정 삼차원 만다라'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대좌 위 봉진신보살 자체의 존명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만다라 내에서 어떤 존격을 담당하는 지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라이이만의 의견에서 더 나아가 『금강봉누각일체유가유기경』「금강길상대성취품」의 내용과 그것에 설해진 佛眼曼茶羅를 제작하는 방법인 曼茶羅法, 그리고 의식수행지침인 成就法을 면밀히 분석해, 봉진신보살을 金剛薩埵이자 佛眼佛母로 비정하고 〈봉진신보살상〉 전체가 '佛眼曼茶羅'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봉진신보살상〉은 하나의 존상에 만다라가 표현된 매우 독특한 사례일 뿐 아니라 만다라와 사리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작례로서 중요하다.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수많은 권속들과 봉진신보살은 사리를 갖추어야만 불안만다라라는 만다라로서 완성이 되며, 사리도 마찬가지로 대좌에 새겨진 권속들과 진언 등을 통해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즉, 만다라와 사리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진다. 더 나아가 상 자체에 표현된 만다라, 주존으로서 역할을 한 사리, 그리고 성취법에 해당하는 허공장의 종자는 〈봉진신보살상〉이라는 하나의 상에 밀교 의례를 개념적으로 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만당기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는 그동안 身舍利로 여겨졌던 불지사리의 의미를 밀교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그동안 단순히 밀교 의례 내에서 관상수행의 보조도구라고 이해되었던 만다라의 기능을 재고하게 한다. 만당기 법문사에 구현된 밀교, 만다라, 그리고 불사리의 밀접한 관계는 11세기 제작된 遼 朝陽北塔 사리공이나, 9-10세기 일본에서 행해진 後七日御修法, 그리고 12세기 이후 일본에서 불안불모와 사리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문헌 등을 통해 확인된다. 이를 통해 9세기 당 황실을 중심으로 시각화된 만다라와 사리의 결합이 이후 요와 일본에서 전개된 밀교 미술 및 의례의 선례가 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봉진신보살상〉을 통해 만다라의 중국적 전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록 현존하는 당대에 제작된 만다라의 작례는 매우 적지만 회화로 제작된 만다라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만다라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진신보살상〉이 그러한 예 중 하나이며, 이 상의 경우 만다라가 사리의 개념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했다는 것, 더 나아가 밀교에서 사리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요하지만 국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한 만당기의 밀교 미술과 만다라, 그리고 밀교 내에서의 사리신앙의 한 측면이 조명되었길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