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6

1. 서론 8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8

1-2. 2009 개정교육과정 내 '자서전 쓰기' 수록 현황 및 실태 분석 12

1-2-1. 2009 개정 교육과정 내 '자서전 쓰기' 단원의 교과서 수록 현황 12

1-2-2. 2009 개정 교육과정 내 '자서전 쓰기' 단원의 교과서 구성 실태 분석 14

1-3.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자서전' 수업 관련 선행 연구 검토 16

2. '자기 서사' 글쓰기 20

2-1. '자기 서사' 개념 정의 20

2-2. '자기 서사'를 활용한 글쓰기 방법 23

2-2-1. 표현주의 글쓰기 25

2-2-2. 사회구성주의 글쓰기 30

3.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텍스트 분석 34

3-1.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교육적 가치 34

3-2.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텍스트의 활용 방안 39

4. '자기 서사'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설계 51

4-1. '자기 서사'를 활용한 자서전 쓰기 수업 설계 및 교육적 효과 51

4-2. 지도상 유의점 60

5.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7

ABSTRACT 73

초록보기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이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임을 전제로 하여, 중학교 3학년 '자서전 쓰기'단원과 관련이 있는 '자기 서사'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기 서사'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한다. 청소년기는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에릭슨에 따르면 이 때 확립된 자아관은 한 개인의 전 생애의 삶을 좌우한다. 자신을 탐구하고 성장하는 것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다.

서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의 방향을 소개하고, '자기 서사'의 개념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중학교 교육과정 중 '자서전 쓰기' 단원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또한 현행 '자서전 쓰기' 단원의 교과서 수록 현황 및 구성 실태를 분석하였는데, 본고의 목적이 현 교과서 분석이 주를 이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고의 방향에 적절한 분석만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텍스트 소개와 '자기 서사'를 활용한 '자서전 쓰기'에 있어서 텍스트와 연관한 주제를 소개한다. 우선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텍스트 선정 이유와 텍스트 분석을 선행하였다. 그 후 남성 동성 집단에서 권력과 폭력의 위계 관계에 대한 '자기 서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남성성 개념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논하였다. 이는 청소년 남성 동성 집단의 심리적 기제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전제가 될 것이다.

3장에서는 '자기 서사'를 활용한 '자서전 쓰기'수업의 설계와 교육적 효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앞서 살펴본 '자기 서사' 개념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글쓰기가 진실한 자아 탐구로 들어가기 위한 차시별 구체적 수업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지도상의 유의점과 효과의 측면도 함께 논하였다.

학교는 권력과 폭력에 의한 억압을 조장하는 공간일 수 있다는 연구는 프레이리, 일리치, 푸코 등과 같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었다. 전인적인 인격 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국어과 교수학습에서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정적 관계 상황에 대해 자기 성찰과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사고 능력 신장을 도와야 한다. 무엇보다도 문제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학생 본인의 상황에 대한 균형 잡힌 자각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자서전 쓰기' 단원 학습에서 나아가 보다 궁극적인 자아 성찰과 성장이 가능한 '자기 서사'의 방법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를 활용한 자아 탐색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