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Introduction 12

Methods 15

Results 19

Discussion 22

Summary 28

Reference 33

Abstract 39

List of Tables

Table 1. Patients'characteristics and perioperative transfusion 29

Table 2. Results of spirometric test and preoperative arterial blood gas... 30

Table 3. Postoperative morbidities and mortality 31

Table 4.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f... 32

초록보기

 배경: 고령 사회로의 진행에 따라 노인 환자에서의 의료비 부담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이에 따라 노인의 마취 후 관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고령에서 흔한 대퇴골 골절에 대한 척추마취 후 수술 후 저산소증의 예측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수술 전 폐기능 평가가 초고령 환자의 대퇴골경부골절에 대한 척추마취 후 수술 후 저산소증을 예측하는 하는 유용한 인자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대퇴골경부골절로 척추마취를 시행받은 80세 이상의 399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 모든 환자에서 FVC, FEV1 및 FEV1/FVC 비율을 포함한 폐기능 검사와 동맥혈 가스 분석이 시행되었다. 수술 후 저산소증의 예측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저산소증의 발생률은 12.5 %였으며, 저산소증 군과 비저산소증 군 사이의 동맥혈 가스 분석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요 합병증의 이환률은 저산소증 군에서 비저산소증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14% 대 3.2%, P=0.001) 수술 후 집중치료실(ICU) 치료 빈도 또한 저산소증 군이 비저산소증 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22% 대 12%, P=0.004). 수술 후 저산소증을 예측하는 회귀 분석에서 척추마취 하 대퇴골경부 수술 시행 후 수술 후 저산소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수술 전 요인은 없었다.

결론: 통상적으로 노인환자의 수술 전 평가를 위하여 사용되는 폐기능 검사나 동맥혈 가스 분석은 척추마취 하에 대퇴골두 수술을 받는 초고령 환자의 수술 후 저산소증 발생을 예측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수술 후 저산소증은 주요 합병증의 발생 증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초고령 환자에서는 저산소증을 예방하기 위한 주의 깊은 산소포화도 감시 및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