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1.1. 연구 배경 및 목적 8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0
1.2.1. 연구 대상 10
1.2.2. 연구 방법 14
1.3. 선행 연구 고찰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9
2.1. 석탑의 정의 19
2.1.1. 석탑의 분류 및 특성 19
2.1.2. 석탑의 구성 및 용어 22
2.2. 일제강점기 문화재 보존정책과 조직의 변화 24
2.2.1. 문화재 보존 정책 24
2.2.2. 문화재 관련 조직 및 예산의 편성 33
2.3. 일제강점기 석탑 수리공사의 전개 38
2.3.1. 조선고적조사와 석탑 수리공사의 시작 38
2.3.2.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42
제3장 「천군리 동탑 및 서탑 복원 재건 공사에 관한 건」 46
3.1. 개요 46
3.2. 석탑의 보물 지정과 수리공사의 목적 50
3.3. 보존비 편성과 수리공사의 예산 활용 53
3.3.1. 보존비 지출과 수리공사 청부업체 53
3.3.2. 공사비 산출 58
3.4. 수리공사 계획과 수리 원칙 63
3.4.1. 공사 공정법 63
3.4.2. 현황 조사와 실측 조사 67
3.4.3. 시방서와 수리 원칙 71
3.5. 소결 77
제4장 일제강점기 석탑 보존 수리공사 특성 79
4.1. 문화재 보존 정책의 변화와 공사 체계의 확립 80
4.1.1. 보존 정책의 변화와 석탑 수리공사에의 영향 80
4.1.2. 공사 체계의 확립 86
4.2. 수리 원칙과 신기술의 활용 89
4.2.1. 수리 원칙과 원형 보존 89
4.2.2. 신재료 활용과 보강 기술의 적용 94
4.3. 석탑 수리기술의 발전과 수리공사의 흐름 103
4.3.1. 실측기술의 발전과 석탑 연구의 변화 103
4.3.2. 석탑 수리공사의 흐름 108
4.4. 소결 110
제5장 결론 113
참고문헌 117
ABSTRACT 120
부록 : 일제강점기 석탑 수리공사 관련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목록 123
그림 2-1. 석탑의 구성 23
그림 3-1. 2017년 경주 천군동 동 삼층석탑 정면 전경 49
그림 3-2. 2017년 경주 천군동 서 삼층석탑 정면 전경 49
그림 3-3. 「경주 천군리 동탑 및 서탑 복원 재건 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50
그림 3-4. 「천군리 동탑 및 서탑 복원 재건 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53
그림 3-5. 「경주 천군리 동탑 및 서탑 복원 재건 공사 사양서」 (국립중앙박물관... 58
그림 3-6. 「내역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관리번호 60
그림 3-7. 「공사 공정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63
그림 3-8. 「경주 천군리 동탑 및 서탑 복원 재건 공사 사양서」 (국립중앙박물관... 67
그림 3-9. 「[사진] 동탑 붕괴 상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68
그림 3-10. 천군리폐사지 쌍탑 조영계화고찰도 70
그림 3-11. 「경주 천군리 동탑 및 서탑 복원 재건 공사 사양서」 (국립중앙박물관... 71
그림 3-12. 기단 갈석 보족 제작 중 73
그림 3-13. 동탑 우측면 상층기단 면석 우측 상부 보충된 신재 75
그림 3-14. 서탑 배면 상층기단 갑석 우측 모서리 모르타르 탈락 후... 75
그림 3-15. 기단 내부 콘크리트 타설 76
그림 4-1.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상신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81
그림 4-2. 「경주의 오중탑 팔년만에 재건」 83
그림 4-3. 「[도면] 보물 제195호 경주... 90
그림 4-4. 「[도면] 경주 명장리 삼층석탑... 90
그림 4-5. 「[도면] 천군리 동탑 복원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96
그림 4-6. 「[도면] 천군리 서탑 복원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97
그림 4-7. 현화사지 칠층석탑, 「[도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99
그림 4-8. 1910년대 미륵사지 석탑 100
그림 4-9. 미륵사지 석탑 1910년경 서측면 100
그림 4-10. 미륵사지 석탑 남동측면 101
그림 4-11. 동탑 실측 복원도 1931.9 104
그림 4-12. 조선석탑옥개형태 비교도 105
그림 4-13. 천군리폐사 쌍탑의 의장계획 106
In this thesis, based on the documents of the Chosun Governor-General Museum provid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stone pagoda repair work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nalyzed.
Especially, it grasped the system and construction contents of the stone pagoda repair work focusing on the document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East and West Stone Pagodas in Cheongun-ri」.
The cultural property repair work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carried out through the contracting company, but the supervision is dispatched from the Chosun Governor-General. In advance of the repair work, a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At this time, the present condition survey report was turned in. The report shows that the present status of the stone pagoda and the size of the stone pagoda which means that a precision measurement was conducted. The specification records construction guidelines and directions, and detailed construction methods for each part of the stone pagoda. The type and contents of the documents attached to the repair plan confirm that the repair of the stone pagod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under strict planning.
New materials such as concrete and cement mortar have been used for repair of foundations and additional parts. The new materials used in the stone pagoda have their regularity, which is recommended for internal reinforcement of pagodas, while their use on the outside is extremely limited. The main focus of the stone pagoda repair wor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However, considering the range of new materials used, the original shape of the stone pagoda to be preserved at this time is limited to the external elements.
At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olicie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cultural property repairs were not established. In 1933, however, a legal system was established by 〈The treasure a preservation order, and the historical parties of monuments of historical interest of Chosun〉. And Cultural materials repair work was carried out in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This means that the process and system of the stone pagoda repair work have been arranged following the policy and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of cultural properties.
Judging by the point of view at Japanese colonial era, the repair work has been planned and completed for recognizing and 'Conservation' the value of the cultural property. However, it is clear that this is an evaluation of 'Conservation' in the physical sense, such as the plan and progress of the repair work, and the applied repair technique. The stone pagoda preservation repair work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not a repair work for 'Conservation' in pure meaning. It is obvious that not only the stone pagoda preservation repair work but also the cultural property repair work itself was used as a means for the colonial rule of the Chosun Governor-General. Rather than criticize the problems revealed by the repair of the Stone Pagodas at the time as simply the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it should be clearly recognized and comprehensively assessed as having limitations of the times.
The stone pagoda Conservation and repair wor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should be used as a stepping stone to set up the correct repair work direction in the modern stone pagoda repair work and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be of some help in providing such a stepping stone.*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