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서론 11

1. '연기이론'의 대두와 그 전통적 의미 21

1) 전통적인 연극적 관점에서의 연기 21

2) 연극에서의 사실주의와 연기의 가치 29

3) 영화가 등장한 이후 연기의 의미 변화 40

가) 무성영화에서의 극과 연기의 의미 40

나) 사운드의 출현과 연기의 문제 56

2. 영화 연기의 개념 – 영화적 신체 76

1) 영화 연기의 특수성 76

가) '사실성'과 '자연성'의 차이 76

나) 영화 연기와 쇼트 - 영화적 사실 88

2) 영화적 신체 106

가) 영화적 신체의 역사적 추이 106

나) 영화적 신체와 연기 127

3. 영화적 신체를 통한 연기이론의 가능성 134

1) 사실에 대한 접근 방식 134

가) 사실적 연쇄로 파악되는 연기 -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 136

나) 파편화된 사실성과 연기 - 리 스트라스버그의 메소드 146

2) 분산되는 정신, 분할되는 신체 - 이바나 처벅 168

가) 강박, 트라우마 등의 의미 - 파편화 168

나) 영화와 영상의 차이 195

결론 205

1) 영화적 신체에 대한 주목의 필요성 205

2) 영화적 신체가 야기하는 문제들 - 영상시대 210

참고문헌 212

Abstract 223

표목차

[표 1] 스타니슬랍스키가 보는 연극의 개념 34

[표 2] 연극과 영화에서의 '공간'의 차이 82

[표 3] 6개 기준 쇼트의 성질 102

그림목차

[그림 1] 당시 뤼미에르 형제의 첫 상연 포스터... 42

[그림 2] 〈기즈 공작의 암살(L'assassinat du Duc de Guise)〉(1908)... 48

[그림 3] 〈탐욕(Greed)〉[에리히 폰 스트로하임, Erich von Stroheim)의 한 장면과 〈잔... 52

[그림 4] 〈시티 라이트〉 클로즈업(찰리 채플린, 1931) 63

[그림 5] 잔 다르크가 고문 받는 것을 상징적으로 처리한 쇼트들. 일련의 연속되는... 67

[그림 6] 〈공공의 적〉 : 설경구의 시선으로만 처리된 이성재의 보이지 않는 하체 85

[그림 7] 〈사냥꾼의 밤〉 : 풍경이 아닌 의미를 담은 익스트림 롱쇼트의 한 예 91

[그림 8] 〈스펠바운드〉... 97

[그림 9] 〈세븐〉 오프닝 익스트림 클로즈업 98

[그림 10] 〈시민케인〉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