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1

I. 서론 15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5

B. 연구의 범위 및 구성 18

II. 이론적 고찰 21

A. 애슬레저 룩에 관한 고찰 21

1. 애슬레저 룩의 개념 및 발생 배경 21

2. 이미지 기반 SNS와 패션 24

3. 애슬레저 룩의 현황 및 디자인 특성 29

4. 애슬레저 룩에 관한 선행연구 43

B. 패션감성 평가에 관한 고찰 51

1. 감성과 패션감성의 개념 51

2. 패션감성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54

3. 감성 평가 및 분석 방법 61

III. 연구 방법 70

A. 연구 문제 70

B. 자료 수집 73

C. 자료 분석 85

IV. 연구 결과 87

A. 애슬레저 룩의 디자인 특성 87

B.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 106

C. 종합 논의 151

V. 결론 159

참고문헌 163

부록 177

〈부록 1〉 설문지 177

〈부록 2-1〉 감성어휘(중복·중의어 제외한 89개 어휘) 182

〈부록 2-2〉 감성어휘(1차 정제된 74개 어휘) 183

〈부록 2-3〉 대표이미지 적합성 평가 기술통계표 184

〈부록 3〉 감성어휘 주성분분석 상관관계 계수 187

〈부록 4〉 선호도에 따른 연령대 주성분분석 상관계수 188

ABSTRACT 190

표목차

〈표 1-1〉 연구구성도 20

〈표 2-1〉 스포티즘, 스포티브 룩에 관한 선행연구 47

〈표 2-2〉 애슬레저 룩에 관한 선행연구 49

〈표 2-3〉 패션 이미지 관련 감성평가 선행연구 58

〈표 3-1〉 애슬레저 유형 분류 기준표 75

〈표 3-2〉 내용분석을 위한 디자인 분류 기준 78

〈표 3-3〉 애슬레저 룩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38개) 80

〈표 3-4〉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 평가를 위한 이미지 자극물 82

〈표 3-5〉 설문 유형별 이미지 자극물 84

〈표 3-6〉 이미지 자극물별 평가빈도 84

〈표 3-7〉 설문조사 시행관련 항목 84

〈표 3-8〉 자료 분석내용 및 분석방법 86

〈표 4-1〉 애슬레저 룩 유형별 개념 88

〈표 4-2〉 애슬레저 룩의 유형별 빈도 89

〈표 4-3〉 애슬레저 유형별 아이템-상의 빈도 분석 91

〈표 4-4〉 애슬레저 유형별 아이템-하의 및 전의류 빈도 분석 92

〈표 4-5〉 애슬레저 유형별 실루엣 빈도 분석 94

〈표 4-6〉 애슬레저 유형별 색상 빈도 분석 96

〈표 4-7〉 애슬레저 유형별 색조 빈도 분석 96

〈표 4-8〉 애슬레저 유형별 소재 빈도 분석 99

〈표 4-9〉 애슬레저 유형별 문양 빈도 분석 99

〈표 4-10〉 애슬레저 유형별 디테일 빈도 분석 102

〈표 4-11〉 애슬레저 유형별 트리밍 빈도 분석 103

〈표 4-12〉 애슬레저 룩의 유형별 디자인 특성 104

〈표 4-13〉 인구통계학적 빈도 108

〈표 4-14〉 SNS관련 특성 빈도 109

〈표 4-15〉 애슬레저 인지도와 선호도 상관관계 109

〈표 4-16〉 애슬레저 룩에 대한 이미지 구성요인 112

〈표 4-17〉 애슬레저 룩의 유형별 이미지 구성요인 비교 113

〈표 4-18〉 애슬레저 룩의 유형별 감성어휘 평균 비교 117

〈표 4-19〉 주성분의 각 차원에 대해 가지는 감성어휘간 상관계수(coord) 123

〈표 4-20〉 주성분 차원을 결정하는 이미지 자극물의 기여도 124

〈표 4-21〉 감성어휘에 따른 군집 분석-군집1 128

〈표 4-22〉 감성어휘에 따른 군집분석-군집2 129

〈표 4-23〉 감성어휘에 따른 군집분석-군집3 130

〈표 4-24〉 이미지 자극물에 따른 소비자 선호 131

〈표 4-25〉 애슬레저 유형별 디자인 요소 평균 비교 134

〈표 4-26〉 주성분의 각 차원에 대한 디자인 요소 상관계수 135

〈표 4-27〉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따른 군집 분석- 군집 1 137

〈표 4-28〉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따른 군집 분석- 군집 2 137

〈표 4-29〉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따른 군집 분석- 군집 4 138

〈표 4-30〉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따른 군집 분석- 군집 5 138

〈표 4-31〉 주성분 차원을 결정하는 이미지 자극물 기여도 141

〈표 4-32〉 애슬레저 룩 선호도에 따른 연령대 빈도 147

그림목차

〈그림 2-1〉 2018년도 미국 내 소셜 미디어 사용현황 25

〈그림 2-2〉 핀터레스트 인기 카테고리, 2017. 26

〈그림 2-3〉 주요 소셜미디어의 브랜드 협업 현황 28

〈그림 2-4〉 인스타그램 브랜드협업비중 및 이용 연령대 통계자료 28

〈그림 2-5〉 세계 액티브웨어 매출 예측 31

〈그림 2-6〉 국내 패션시장규모 31

〈그림 2-7〉 룰루레몬 34

〈그림 2-8〉 아보카도 34

〈그림 2-9〉 'Chrome Blush', 2017 35

〈그림 2-10〉 나이키랩 × 사카이, 2015 35

〈그림 2-11〉 '와프 니트', 2017 37

〈그림 2-12〉 아디다스×알렉산더왕, 2017 37

〈그림 2-13〉 H&M×알렉산더 왕, 2014 39

〈그림 2-14〉 2016 리우 올림픽 스웨덴... 39

〈그림 2-15〉 'GymWear', 2016 40

〈그림 2-16〉 유니클로, 2018 40

〈그림 2-17〉 노스페이스, 2016 41

〈그림 2-18〉 케이투, 2017 41

〈그림 2-19〉 블랙야크, 2016 42

〈그림 2-20〉 코오롱스포츠, 2018 42

〈그림 2-21〉 주성분 추출 65

〈그림 2-22〉 자동차 내부에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 68

〈그림 2-23〉 주성분분석 와인 분포도와 와인 특성 상관관계 그래프 69

〈그림 3-1〉 연구 방법 구성도 72

〈그림 3-2〉 감성어휘 수집 과정 80

〈그림 3-3〉 이미지 자극물 수집 과정 81

〈그림 4-1〉 애슬레저 유형별 아이템 대표이미지 90

〈그림 4-2〉 애슬레저 룩 유형별 실루엣 대표이미지 93

〈그림 4-3〉 애슬레저 유형별 색상 및 색조 대표이미지 95

〈그림 4-4〉 애슬레저 유형별 소재 및 문양 대표이미지 98

〈그림 4-5〉 애슬레저 유형별 디테일 및 트리밍 대표이미지 101

〈그림 4-6〉 감성어휘 상관관계 그래프(Dim1, Dim2) 121

〈그림 4-7〉 감성어휘에 따른 이미지 자극물 분포도(Dim1, Dim2) 121

〈그림 4-8〉 감성어휘 상관관계 그래프(Dim3, Dim4) 122

〈그림 4-9〉 감성어휘에 따른 이미지 자극물 분포도(Dim3, Dim4) 122

〈그림 4-10〉 애슬레저 유형별 이미지 자극물 신뢰타원 125

〈그림 4-11〉 감성어휘 주성분분석에 따른 계층적 군집분석 126

〈그림 4-12〉 감성어휘와 소비자 선호도 분포도 133

〈그림 4-13〉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대한 주성분분석 135

〈그림 4-14〉 디자인 요소에 따른 계층적 군집 분석 136

〈그림 4-15〉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따른 이미지 자극물 분포도 139

〈그림 4-16〉 디자인 요소 선호도에 따른 이미지 자극물 배치도 139

〈그림 4-17〉 주성분분석에 의한 감성어휘와 디자인 요소 분포도(Dim1, Dim2) 144

〈그림 4-18〉 주성분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극물 분포도(Dim1, Dim2) 144

〈그림 4-19〉 주성분분석에 의한 감성어휘와 디자인 요소 분포도(Dim3, Dim4) 145

〈그림 4-20〉 주성분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극물 분포도(Dim3, Dim4) 145

〈그림 4-21〉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에 따른 선호/비선호 디자인 요인 146

〈그림 4-22〉 애슬레저 룩에 대한 연령대별 주성분분석 비교 149

〈그림 4-23〉 연령대에 따른 애슬레저 룩의 패션감성 및 선호 디자인 요소 150

〈그림 4-24〉 패션감성 분석 활용방안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