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9
I. 서론 12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B. 연구문제 18
C. 용어정의 19
II. 이론적 배경 21
A. 유아기 사회성 기술 발달 및 지원 21
1. 유아기의 사회성 기술 발달 21
2. 유아기 사회성 기술 지원 31
B. 유아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 지원 34
1.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및 도입 배경 34
2. 유아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36
3.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43
4. 유아교육 환경에서 실행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44
III. 연구방법 49
A. 연구 참여자 49
B. 연구 일정 56
C. 연구 장소 57
D. 독립변인: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57
E. 종속변인: 사회성 기술 및 활동 참여 83
F. 실험설계 및 절차 89
G. 관찰자간 신뢰도 91
H. 자료 분석 94
I. 사회적 타당도 95
J. 중재충실도 102
IV. 연구결과 105
A.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105
B.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106
C.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108
V. 논의 및 제언 125
A. 논의 126
1.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26
2. 학급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29
3.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친 영향에 대한 논의 132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38
참고문헌 141
부록 167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68
〈부록 2〉 유치원에서의 효과적인 행동지원을 위한 자기-진단 질문지(Preschool Effective Behavior Support(PEBS) Self-Assessment Survey: Carter, Steed, & Pomerleau, 2009) 169
〈부록 3〉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김연하, 2007) 172
〈부록 4〉 기대행동 게시의 예시 174
〈부록 5〉 기대행동 교수자료 예시 175
〈부록 6〉 사회·정서기술 활동계획안 예시 176
〈부록 7〉 학부모 안내문 예시 178
〈부록 8〉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질문지 문항(K-SSRSP) 179
〈부록 9〉 학급 전체 유아의 활동 참여 관찰 기록지 182
〈부록 10〉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관찰 기록지(이야기나누기) 183
〈부록 11〉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관찰 기록지(자유선택활동) 184
〈부록 12〉 사회적 타당도 질문지(교사용, 학부모용) 185
〈부록 13〉 중재충실도 점검지 188
ABSTRACT 192
[그림 1] 유아교육 환경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모델(pyramid model) 38
[그림 2]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주요 특성 42
[그림 3]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절차 62
[그림 4] 학급 환경 재구조화의 예시 70
[그림 5] 장애 유아 1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09
[그림 6] 장애 유아 1의 자유선택활동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11
[그림 7] 장애 유아 2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13
[그림 8] 장애 유아 2의 자유선택활동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15
[그림 9] 장애 유아 3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17
[그림 10] 장애 유아 3의 자유선택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19
[그림 11] 장애 유아 4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 121
[그림 12] 장애 유아 4의 자유선택활동의 참여 유형별 발생률(%) 123
유아기는 주변 환경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공동체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학습하고 상대방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시기이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성인이나 또래와의 갈등을 겪기도 하고, 사회적 맥락에서 수용되기 어려운 행동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유아기에 발생한 행동 문제를 적절하게 중재하지 못하면 이러한 행동은 학령기가 되어 더욱 심화되거나 만성화된다. 때문에 발달의 가소성이 큰 유아기에 행동 문제를 최대한 예방하려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대체하는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행동 문제를 예방 및 감소시키고 사회·정서 발달을 향상시키는데 주요 목적을 둔 보편적 지원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협력팀과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유아를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을 점검 및 수정하여 예방적인 환경 조성,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 교수, 행동에 대한 반응전략을 제공하는 중재이며 가정과 연계된 일관된 지원을 중시한다. 또한 이 접근은 유아가 속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교육과정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행동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때문에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학급 차원에서 유아의 행동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보편적 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두 개 통합학급이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여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에 통합된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는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활동 참여에 나타난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급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은 준비(협력팀 구성 및 교육, 학급 진단), 계획, 실행(예방적 실제, 행동 교수, 행동 반응전략, 가정연계), 평가(유아 및 교사 수행 평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고,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변화 추이는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검사 때 각 1회, 중재 기간 6회, 총 8회의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유아의 사회성 기술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급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사회성 기술 검사(이하 K-SSRSP)(윤치연, 2008)를 일반교사가 평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중재전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급 전체 유아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Engagement Check II(McWilliam, 1999)의 관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공분산 분석(ANCOVA)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10초 부분간격기록법으로 활동 참여율,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을 측정하여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급 전체 유아의 사회성 기술,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및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학급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회성 기술의 사전 사후 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성 기술의 하위 영역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에서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의 사전 사후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의 활동 참여율과 활동 참여유형별 발생률은 장애 유아에 따라 부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통합학급 전체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보편적 수준의 지원이지만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도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고, 보편적 지원 요소를 학급 일과 및 교육과정 활동과 최대한 연계하여 실행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지속적인 실행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