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I. 서론 10

1.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0

1.2. 연구문제 12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3

2.1. 이론적 배경 13

2.1.1.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13

2.1.2. 펍메드와 구글 스칼라의 학술정보 서비스 18

2.2. 선행연구 23

2.2.1. 펍메드와 구글 스칼라 이용에 관한 연구 23

2.2.2.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26

2.2.3.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28

2.2.4. 선행연구 분석 30

III. 연구방법 31

3.1. 연구 모형 31

3.2. 연구 가설 33

3.2.1. 개념적 가설 33

3.2.2. 조작적 가설 33

3.3. 연구 설계 35

3.3.1.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요소 35

3.3.2. 설문문항 구성 40

3.4. 연구 표본 42

3.5. 분석 방법 43

IV. 연구 결과 및 분석 44

4.1. 설문지 배포 및 회수 44

4.2. 표본의 특성 45

4.2.1. 인구통계학적 특성 45

4.2.2. 학술정보 사이트 이용 특성 47

4.2.3. 이용 동기 요인 및 이용자 만족도 특성 50

4.3. 신뢰도 분석 52

4.4. 가설 검증 53

V.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6

부록 72

ABSTRACT 77

표목차

〈표 1〉 로젠그렌(1974)의 이용과 충족 연구 패러다임 16

〈표 2〉 이용 동기 요인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요소 38

〈표 3〉 이용자 만족도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요소 39

〈표 4〉 설문문항 구성 41

〈표 5〉 분석 방법 43

〈표 6〉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6

〈표 7〉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학술정보 사이트 47

〈표 8〉 학술정보 사이트 이용횟수 48

〈표 9〉 학술정보 사이트 이용 동기(복수응답) 49

〈표 10〉 이용 동기 요인별 평균 및 표준편차 50

〈표 11〉 이용자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51

〈표 12〉 측정 도구의 신뢰도 분석 52

〈표 13〉 가설 1-1 편리성 정도에 대한 t-검정 결과 53

〈표 14〉 가설 1-2 신뢰성 정도에 대한 t-검정 결과 54

〈표 15〉 가설 1-3 습관성 정도에 대한 t-검정 결과 55

〈표 16〉 가설 1-4 전문성 정도에 대한 t-검정 결과 56

〈표 17〉 가설 1-5 상호작용성 정도에 대한 t-검정 결과 57

〈표 18〉 가설 2-1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t-검정 결과 58

〈표 19〉 이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0

〈표 20〉 가설검증 결과 요약 61

그림목차

〈그림 1〉 이용과 충족이론의 연구모형 14

〈그림 2〉 학술정보의 개념 18

〈그림 3〉 의학분야 학술정보 검색을 위한 학술정보 사이트 이용 동기 요인 및... 32

초록보기

의학 분야는 정보 집약적인 분야 중의 하나이며, 의학 분야 학술정보는 수명이 짧고 최신성과 신속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학술정보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의학 분야 연구자들은 의학 분야 학술정보 사이트 중 펍메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연구들을 살펴보면 펍메드 뿐 아니라 구글 스칼라 또한 선호하는 학술정보 사이트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문적인 의학 학술정보원인 펍메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의학 분야 연구자들의 구글 스칼라의 선호도 또한 높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펍메드와 구글 스칼라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서비스 품질이나 검색능력을 비교한 것으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토대로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의 학술정보 사이트 이용에 있어 이용 동기 요인과 이용자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용 동기 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연구 모형에 이용된 편리성, 신뢰성, 습관성, 전문성, 상호작용성 요인과 이용자 만족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의 펍메드 이용과 구글 스칼라 이용에 따른 이용 동기 요인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신뢰성 정도와 상호작용성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신뢰성 정도와 상호작용성 정도 모두 펍메드가 구글 스칼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과대학 대학원생들의 펍메드 이용과 구글 스칼라 이용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용자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술정보 사이트 이용 동기 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편리성 요인과 전문성 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술정보 사이트는 신뢰할 수 있는 제공기관을 통해 믿을만한 학술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이용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학술정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나 도움말 또는 피드백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학술정보 사이트의 편리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전문적인 학술정보 검색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