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체험가치, 공유가치가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nse of place, experience value, and shared value on corporate image and brand loyalty in multiplex cultural space / 김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9.2
청구기호
TD 745.4 -19-67
형태사항
x, 17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929302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전공, 2019.2. 지도교수: 장동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6

제2절 연구문제 19

제3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22

제2장 이론적 배경 24

제1절 복합문화공간 24

1.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24

2. 복합문화공간의 형태 27

3. 복합문화공간의 공간 유형 31

4.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33

제2절 장소성 36

1. 장소성의 개념 36

2. 장소성의 구성요인 39

3.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41

제3절 체험가치와 공유가치 43

1. 체험가치 43

2. 공유가치 52

3. 장소성과 체험가치, 공유가치 58

제4절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61

1. 기업 이미지 61

2. 브랜드 충성도 67

3. 체험가치와 기업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69

4. 공유가치와 기업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71

제3장 연구방법 75

제1절 분석모형 75

제2절 복합문화공간의 선정과 현황 76

1. 복합문화공간의 선정 76

2. 복합문화공간의 현황 78

제3절 자료수집 및 측정도구 85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85

2. 측정도구 86

3.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93

제4절 분석방법 100

제4장 분석결과 102

제1절 기초 통계분석 102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102

2. 연구대상자의 복합문화공간 방문빈도 102

3. 기술통계분석 104

제2절 복합문화공간의 효과 분석 107

1. 장소성이 체험가치에 미치는 영향 107

2. 장소성이 공유가치에 미치는 영향 109

3. 체험가치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12

4. 공유가치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15

5. 체험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17

6. 공유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18

제3절 연구대상자와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대한 분석 120

1. 연구대상자 특성에 의한 차이 분석 120

2.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의한 차이 분석 128

3. 복합문화공간별 인식 분석 133

4. 복합문화공간별 효과 분석 137

제4절 분석결과 종합 141

1. 기초통계분석 분석결과 종합 141

2. 복합문화공간의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종합 142

3. 연구대상자와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종합 143

제5장 결론 145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45

1.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결과 요약 145

2. 장소성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의 요약 147

3. 체험가치와 공유가치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의 요약 149

4. 연구결과 종합 153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56

제3절 향후 연구의 가능성 158

참고문헌 161

부록 : 설문지 176

Abstract 183

〈표 1〉 선정된 복합문화공간 77

〈표 2〉 복합문화공간별 특징 79

〈표 3〉 복합문화공간별 공간구성 80

〈표 4〉 운영목적에 의한 분류 82

〈표 5〉 입지에 의한 분류 83

〈표 6〉 입지형태에 의한 분류 85

〈표 7〉 장소성 측정문항 87

〈표 8〉 체험가치 측정 문항 89

〈표 9〉 공유가치 측정 문항 90

〈표 10〉 기업 이미지 측정 문항 92

〈표 11〉 브랜드 충성도 측정 문항 93

〈표 12〉 장소성 측정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 95

〈표 13〉 체험가치 측정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 96

〈표 14〉 공유가치 측정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 97

〈표 15〉 기업 이미지 측정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 99

〈표 16〉 브랜드 충성도 측정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결과 100

〈표 17〉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03

〈표 18〉 응답자의 복합문화공간 방문빈도 104

〈표 19〉 기술통계분석결과 106

〈표 20〉 장소성이 체험가치에 미치는 영향 109

〈표 21〉 장소성이 공유가치에 미치는 영향 112

〈표 22〉 체험가치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14

〈표 23〉 공유가치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17

〈표 24〉 체험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18

〈표 25〉 공유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19

〈표 26〉 성별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21

〈표 27〉 연령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23

〈표 28〉 학력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25

〈표 29〉 소득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27

〈표 30〉 운영목적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29

〈표 31〉 입지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31

〈표 32〉 입지형태에 의한 차이 분석결과 132

〈표 33〉 복합문화공간 방문 경험 134

〈표 34〉 장소성, 체험가치,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인식 136

〈그림 1〉 논문의 구성 23

〈그림 2〉 분석모형 76

〈그림 3〉 장소성과 체험가치 기준의 분석결과 138

〈그림 4〉 장소성과 공유가치 기준의 분석결과 139

〈그림 5〉 체험가치와 공유가치 기준의 분석결과 140

〈그림 6〉 장소성이 체험가치에 미치는 영향 148

〈그림 7〉 장소성이 공유가치에 미치는 영향 149

〈그림 8〉 체험가치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50

〈그림 9〉 공유가치가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51

〈그림 10〉 체험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52

〈그림 11〉 공유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153

초록보기 더보기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은 기업에 지속적인 혁신역량과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였다. 기업은 문화를 바탕으로 소비자와 소통을 강화하면서 소비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회공헌 활동의 하나로 복합문화공간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사회공헌과 사업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공간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이 체험가치와 공유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체험 가치와 공유가치가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 18곳을 선정하여, 방문 경험이 있는 소비자 32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업적 목적보다는 사회공헌을 목적으로 하고, 서울에 있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공간특성, 체험가치, 공유가치 및 기업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간과해서는 효과도 감소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접근하기 쉬운 장소를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체험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요인은 사회·감정적 가치에, 활동적 요인은 인지적 가치와 진귀적 가치에, 심리적 요인은 사회·감정적 가치, 인지적 가치, 진귀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영향력은 장소성의 심리적 요인, 활동적 요인, 물리적 요인의 순으로 밝혀졌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경험적 요소와 브랜드 요소가 적절하게 공유하는 공간구성이 소비자들의 체험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은 공유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의 물리적 요인은 도덕적 윤리 가치, 잠재적 기회 가치, 심미적 차이 가치, 유기적 순환 가치, 포용적 연대 가치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적 요인은 심미적 차이 가치, 유기적 순환 가치, 포용적 연대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 요인은 도덕적 윤리 가치, 잠재적 기회 가치, 심미적 차이 가치, 유기적 순환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문화와 상품을 매개로 소비자와의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체험가치와 공유가치는 기업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체험가치의 사회·감정적 가치와 진귀적 가치는 선도적 이미지, 사회행동 이미지, 사회공헌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가치의 잠재적 기회 가치와 유기적 순환 가치는 사회공헌 이미지에, 포용적 연대가치는 선도적 이미지와 사회행동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일반 소비자에게 흥미롭고 진귀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업은 소비자와의 소통을 통해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은 소비자에게 문화체험과 기업 또는 브랜드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여 체험가치와 공유가치를 높이고, 체험가치와 공유가치는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를 높여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은 사회공헌 목적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이 방문자의 체험가치와 공유가치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복합문화공간이 사회공헌과 사업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공간임을 실증하는 것으로 기업에서는 지속가능한 경영 활동을 위해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