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6
1) 연구 목적 및 내용 16
2) 연구 방법 및 범위 17
2. 워크시트의 이해와 초현실주의정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교육 현황 19
1) 워크시트의 이해 19
(1) 워크시트 개념 및 종류 19
(2) 워크시트 특징 27
(3) 워크시트와 미술 감상 교육과의 관련성 29
2) 초현실주의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30
(1) 초현실주의의 맥락적 이해 30
(2) 미술 작품 감상 접근 방법의 용이 32
(3) 워크시트를 통한 초현실주의의 미적 경험 실행 33
3)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초현실주의 교육 현황 34
(1) 중학교 미술 교과서 현황 34
(2) 실제 수업 적요 현황 (설문지 분석) 51
3. 초현실주의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63
1) 연구 대상 및 절차 63
(1) 연구 대상 63
(2) 연구 절차 63
2) 초현실주의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방법 프로그램 개발 근거 및 계획 65
(1)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65
(2) 교수·학습 계획 67
(3)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모형 71
3) 초현실주의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방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74
(1) 작가 분석을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74
(2)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낱말 퍼즐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90
(3) 초현실주의 사회·문화적 배경 이해를 위한 퀴즈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106
4. 초현실주의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방법 프로그램 적용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 120
1) 교육적 효과 121
(1) 자기 주도적 워크시트 제작 및 활용 능력 발달 121
(2) 초현실주의에 대한 종합적 판단력 신장 123
(3) 워크시트의 이해도 및 활용 능력 향상 124
2) 활성화 방안 125
(1) 워크시트 제작 사례 및 과정 제시 126
(2) 워크시트 형태 및 구성 128
(3) 영역별 유의미한 워크시트지 개발 130
5. 결론 134
참고문헌 137
부록 140
부록 1. 설문지 (교사용) 140
부록 2. 설문지 (수업 전-학생용) 144
부록 3. 설문지 (수업 후-학생용) 147
ABSTRACT 150
〈도판 1〉 형태에 따른 워크시트 종류 및 내용 20
〈도판 1-1〉 팝업북형 워크시트 〈직접제작〉 20
〈도판 1-2〉 팝업북형 워크시트 〈직접제작〉 20
〈도판 1-3〉 국립현대미술관 〈MMCA문화프로그램-건축 기행 김중업〉 워크시트 20
〈도판 1-4〉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전시 연계 워크시트 20
〈도판 2〉 내용에 따른 워크시트 종류 및 내용 22
〈도판 2-1〉 작품 및 사조 이해에 대한 워크시트 22
〈도판 2-2〉 삼성미술관 Leeum '세밀가귀-한국미술의 품격' 워크시트 23
〈도판 2-3〉 국립현대미술관 '로봇 에세이' 전시 연계 워크시트 23
〈도판 3〉 박물관 워크시트 형태 24
〈도판 3-1〉 작품 관람 순서 24
〈도판 3-2〉 유물 분석 워크시트 24
〈도판 3-3〉 관람 후 소감에 대한 워크시트 24
〈도판 3-4〉 동아시아 호랑이 미술 전시 관람·가이드북 표지 25
〈도판 3-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활용한 호랑이작품 분석 25
〈도판 3-6〉 유물에 담긴 상징과 의미 찾기 25
〈도판 3-7〉 QR코드를 활용한 작품감상 25
〈도판 3-8〉 보제원 역사에 대한 워크시트 25
〈도판 3-9〉 서울약령시의 역사에 대한 워크시트 25
〈도판 3-10〉 약재에 대한 퀴즈 및 학습활동 26
〈도판 3-11〉 전시에 대한 낮말풀이 퀴즈 워크시트 26
〈도판 4〉 (주)교학도서 중학교 《미술 ①》 교과서... 37
〈도판 4-1〉 르네 마그리트 「이미지의 반역」 60x81 ㎝. 캔버스에 유채. 1929년 37
〈도판 5〉 (주)교학도서 중학교 《미술 ②》교과서... 37
〈도판 5-1〉 이환권 「오늘은 공부하기 싫어」. 2004. 합성 수지. 110x72x100㎝. 37
〈도판 5-2〉 영화 '돌연변이'의 한 장면 37
〈도판 5-3〉 달리 「붕괴된 기억의 잔상」. 1954년. 캔버스에 유채. 25x33㎝. 37
〈도판 5-4〉 마그리트 「개인적 가치」. 1952년. 캔버스에 유채. 81x100㎝. 37
〈도판 5-5〉 워너(Warner, Carl) 「브로콜리 숲」. 2010년. 브로콜리, 파슬리 등을 설치한 후 촬영. 가변크기 37
〈도판 5-6〉 카텔란(Cattelan, Maurizio) 「작은 나」. 1999년. 혼합 매체. 3622x20㎝. 37
〈도판 6〉 (주)동아출판 《미술①》 도판 38
〈도판 6-1〉 에른스트(Ernst, Max). 「성녀 세실리아」. 1923년 캔버스에 유채. 101x82㎝ 38
〈도판 7〉 (주)동아출판 《미술②》 초현실주의 관련 내용 39
〈도판 7-1〉 마그리트(Magritte, René) 「사람의 아들」. 1964년. 캔버스에 유채. 116x89㎝. 39
〈도판 7-2〉 마그리트(Magritte, René). 「골콩드」. 1953년. 캔버스에 유채. 116x89㎝. 39
〈도판 7-3〉 마그리트(Magritte, René). 「데칼코마니」. 1966년. 캔버스에 유채. 81x100㎝. 39
〈도판 7-4〉 쿠쉬 (Kush, Vladimir). 「아프리칸 소나타」. 1990년. 캔버스에 유채. 61x53.3㎝. 39
〈도판 7-5〉 달리(Dalí, Salvador) 「시간의 단면」. 1984년. 청동. 100x77x150㎝. 39
〈도판 7-6〉 에를리치(Erlich, Leandro) 「달스턴 하우스」. 2013년. 거울, 설치. 1000x700㎝. 39
〈도판 8〉 (주)미래엔 《미술①》 초현실주의 관련 내용 40
〈도판 8-1〉 오펜하임(Oppenheim, M'eret) 「모피로 된 아침 식사」. 1936년. 혼합 재료. 높이 7.3㎝. 40
〈도판 8-2〉 해링(Haring, Keith) 「절친」. 66x81.3㎝. 실크 스크린. 1990년 40
〈도판 9〉 (주)미래엔 《미술②》 초현실주의 관련 도판 41
〈도판 9-1〉 에른스트(Ernst, Max)「오이디푸스 대왕」. 1922년. 캔버스에 유채 물감. 93x102㎝. 41
〈도판 10〉 (주)미진사 《미술①》 초현실주의 도판 42
〈도판 10-1〉 르그랑(Legrand, Gilbert) 「수도꼭지 인간」. 2010년. 밸브에 채색, 엽서 이미지. 14x14㎝ 42
〈도판 10-2〉 마그리트(Magritte, René) 「스테피랑기 초상화」. 1961년. 캔버스에 유채 물감. 50x60㎝. 42
〈도판 10-3〉 달리(Dalí, Salvador) 「성 안토니우스의 유혹」.1946년 캔버스에 유채 물감. 89.5x119.5㎝. 42
〈도판 10-4〉 뮤익(Mueck, Ron) 「소년」. 1999년.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폼, 아크릴 섬유 등 혼합 재료. 490x490x240㎝ 42
〈도판 10-5〉 달리(Dalí, Salvador) 「바닷가재 전화기」. 1936년. 강철, 석고, 고무, 레진, 종이. 높이 17.8㎝, 손잡이의 너비 33㎝ 42
〈도판 10-6〉 마그리트(Magritte, René) 「붉은 모델」 1948년. 종이에 구아슈, 45x36㎝. 42
〈도판 11〉 (주)미진사 《미술②》교과서 초현실주의 관련 내용 43
〈도판 11-1〉 활용 작품. 마그리트(Magritte, René). 「사람의 아들」.1964년. 캔버스에 유채 물감. 43
〈도판 11-2〉 미로(Miró, Joan) 「햇볕 속의 사람들과 개」. 1949년. 캔버스에 유채 물감. 81x55㎝. 43
〈도판 11-3〉 피카소 작품을 활용한 팝업북 제작. 학생작품. 43
〈도판 11-4〉 달리(Dalí, Salvador). 「기억의 지속」. 1931년. 캔버스에 유채 물감. 24.1x33㎝. 43
〈도판 12〉 (주)아침나라 《미술①》 초현실주의 관련 도판 44
〈도판 12-1〉 김병권 「Memory & Travel」. 2009년. 112.1x324.4㎝. 캔버스에 유채. 44
〈도판 12-2〉 마그리트 (Magritte, Ren) 「붉은 모델」. 46x56㎝. 캔버스에 유채. 44
〈도판 12-3〉 마르틴 (Martin, Alicia) 「혁신」 2012년. 책(오브제). 44
〈도판 12-4〉 에셔(Escher, Maurits Cornelis) 「원형 거울이 있는 정물」.1934년. 석판화. 48x60㎝. 44
〈도판 13〉 (주)아침나라 《미술②》 초현실주의 작품 44
〈도판 13-1〉 쿠시 (Kush, Vladimir)「항구를 떠나는 날개 달린 배」. 2006년. 캔버스에 유채. 437x550㎝ 45
〈도판 13-2〉 달리 (Dalí, Salvador). 「비키니 섬의 세스핑크스」. 1947년. 캔버스에 유채. 369x480㎝. 45
〈도판 13-3〉 에른스트 (Ernst, Max) 「최초의 언어」. 1923년. 캔버스에 석고와 유화. 232x167㎝. 45
〈도판 13-4〉 마그리트(Magritte, René) 「집합적 발명」. 1934년. 캔버스에 유채. 73.5x97.5㎝. 45
〈도판 13-5〉 샤갈(Chagall, Marc)「비테프스크 위에서」. 1914년. 캔버스에 유채. 70.8x90.2㎝. 45
〈도판 13-6〉 마그리트(Magritte, René) 「보물섬」. 종이에 과슈. 33x48.7㎝. 45
〈도판 13-7〉 미로 (Mir ó, Joan) 「농장」. 1922년. 캔버스에 유채. 132x170㎝. 45
〈도판 13-8〉 코넬 (Cornell, Joseph) 「에덴 호텔」. 1945년. 나무 상자, 혼합 재료.38.4x40x12㎝. 45
〈도판 13-9〉 마그리트 (Magritte, René) 「청강실」1952년. 캔버스에 유채. 45x54.7㎝. 45
〈도판 14〉 (주)YBM 《미술①》 초현실주의 작품 46
〈도판 14-1〉 오펜하임(Oppenheim, Méret) 「모피로 된 아침 식사」 1936년. 모피로 감싼 커피잔과 받침, 숟가락. 7.3x23.7㎝ 46
〈도판 14-1〉 곤살베스(Gonsalves, Rob)「잔잔한 물」. 2002년. 캔버스에 아크릴 물감. 51x43㎝ 46
〈도판 14-1〉 요한슨(Johansson, Erik) 「대홍수」2007년 사진에 컴퓨터 작업, 가변 크기 46
〈도판 15〉 (주)YBM 교과서《미술②》 교과서 초현실주의 작품 47
〈도판 15-1〉 마그리트(Magritte, René) 「개인적 가치」1952년. 유화. 77.5x100㎝ 47
〈도판 15-2〉 달리(Dali, Salvador) 「바닷가재 전화기」. 1936년. 혼합 재료. 15x30x17㎝ 47
〈도판 15-3〉 오펜하임「악의 뿌리를 뽑는 장치」. 1997년. 아연, 도금 강재, 알루미늄, 유리, 콘크리트. 762x457x365㎝. 47
〈도판 15-4〉 쿠쉬(Kush, Vladimir) 「여행의 발견」. 1990년. 유화. 61x107㎝ 47
〈도판 15-5〉 칼 워너(Carl Warner)의 음식 풍경 「중국 돛단배」 47
〈도판 15-6〉 마그리트「위대한 가족」. 1963년. 캔버스에 유채. 100x81㎝ 47
〈도판 16〉 출판사별 중학교 미술교과서 부록(활동지) 48
〈도판 16-1〉 (주)동아출판 ① 미술 교과서 부록 1 48
〈도판 16-2〉 (주)동아출판 ② 미술 교과서 부록 1 48
〈도판 16-3〉 (주)미진사 《미술①》 부록 49
〈도판 16-4〉 (주)미진사 ② 미술 교과서 부록1 49
〈도판 16-5〉 (주)미진사 ① 미술 교과서 부록2 49
〈도판 16-6〉 (주)미진사 ② 미술 교과서 부록2 49
〈도판 16-7〉 (주)아침나라 미술교과서 ① 부록1 49
〈도판 16-8〉 (주)아침나라 미술교과서 ① 부록2 49
〈도판 16-9〉 (주)아침나라 미술교과서 ① 부록3 50
〈도판 16-10〉 (주)아침나라 미술교과서 ① 부록4 50
〈도판 16-11〉 (주)YBM 교사용지도서① 부록1 50
〈도판 16-12〉 (주)YBM 교사용지도서① 부록2 50
〈도판 16-13〉 (주)YBM 교사용지도서② 부록1 50
〈도판 16-14〉 (주)YBM 교사용지도서② 부록2 50
〈도판 17〉 작가 영상 자료 81
〈도판 17-1〉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달리' 영상[2016.02.21. 방송] 81
〈도판 17-2〉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마그리트'에 대한 영상[2017.04.30] 81
〈도판 18〉 '작가 탐구를 위한 카드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PPT... 82
〈도판 18-1〉 수업전개 82
〈도판 18-2〉 작가 탐구 82
〈도판 18-3〉 살바도르 달리 생애 82
〈도판 18-4〉 살바도르 달리 작가관 82
〈도판 18-5〉 살바도르 달리 작품 소개 82
〈도판 18-6〉 르네 마그리트 생애 82
〈도판 18-7〉 르네 마그리트 작가관 82
〈도판 18-8〉 호안 미로 생애 82
〈도판 18-9〉 호안미로 작가관 및 작품 82
〈도판 18-10〉 제작 워크시트 유형 제시 82
〈도판 18-11〉 카드형 워크시트 유형 82
〈도판 18-12〉 카드형 워크시트 유형 82
〈도판 19〉 작가 분석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보조 활동자료 83
〈도판 20〉 작가 분석을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활동지 양식 84
〈도판 20-1〉 제작 프로그램 활동지 '작가분석' 84
〈도판 20-2〉 카드형 워크시트 '사각 카드형' 84
〈도판 20-3〉 카드형 워크시트 '곡선 카드형' 84
〈도판 21〉 '작가 분석을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활동 과정 85
〈도판 21-1〉 초현실주의 작가 특징 파악하기 85
〈도판 21-2〉 워크시트 제작 활동 내용 설명 85
〈도판 21-3〉 워크시트 예시자료 안내 85
〈도판 21-4〉 활동지 작성 및 제작 85
〈도판 22〉 '작가 분석을 위한 카드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활동지 결과물 86
〈도판 22-1〉 문○○ 학생 활동지. 중2. 남. 2018 86
〈도판 22-3〉 채○○ 학생 활동지3. 중2. 남. 2018 86
〈도판 23〉 '작가 분석을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카드형... 87
〈도판 23-1〉 문○○ 작가탐구 학생 활동지. 중2. 남. 2018 87
〈도판 23-2〉 채○○ 작가탐구 학생 활동지3. 중2. 남. 2018 87
〈도판 23-3〉 이○○ 작가탐구 활동지. 중2. 여. 2018 87
〈도판 23-4〉 박○○ 작가탐구 활동지. 중2. 남. 2018 87
〈도판 24〉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작품 91
〈도판 24-1〉 메레 오펜하임(Méret Oppenheim) 「'털로 덮인 잔, 받침접시, 숟가락'」 1936년. 오브제. 91
〈도판 24-2〉 르네마그리트(ReneMagritte). 「개인적 가치」 1952년, 캔버스에 유채, 77.5㎝x100㎝. 91
〈도판 24-3〉 르네마그리트(ReneMagritte)「붉은 모델」. 1935년. 캔버스에 유채. 56x46㎝ 91
〈도판 25〉 오토마티즘을 활용한 작품 92
〈도판 25-1〉 호안 미로(Joan Miro). 「어릿광대의 사육제」 1925년. 캔버스에 유채. 92
〈도판 25-2〉 앙드레 마숑(André Masson). 「성안토니우스의 유혹」 1926년, 믹스트 미디어, 36 x 73㎝. 92
〈도판 26〉 막스 에른스트의 작품 92
〈도판 26-1〉 막스 에른스트「백 개의 머리를 가진 여인」. 1929년. 92
〈도판 26-2〉 막스 에른스트. 「잎사귀」. 1925년. 92
〈도판 27〉 '작품의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 수업 자료 99
〈도판 27-1〉 도입 '조형적 특징 찾기' 99
〈도판 27-2〉 도입 '조형적 특징 찾기' 99
〈도판 27-3〉 '조형적 특징 찾기' 99
〈도판 27-4〉 표현기법 '데페이즈망' 99
〈도판 27-5〉 표현기법 '자동기술법' 99
〈도판 27-6〉 표현기법 '콜라주' 99
〈도판 27-7〉 제작 워크시트 예시 99
〈도판 27-8〉 학습 활동 순서 및 전개 99
〈도판 27-9〉 다음 차시 예고 99
〈도판 28〉 '작가 탐구를 위한 프로그램' 활동지 양식 100
〈도판 28-1〉 작품의 조형적 특징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개념 이해 활동지 100
〈도판 28-2〉 작품의 조형적 특징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워크시트 활동지 100
〈도판 29〉 '작품의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101
〈도판 29-1〉 초현실주의 작품 감상 101
〈도판 29-2〉 작품 속 조형요소 찾기 101
〈도판 29-3〉 초현실주의 표현방법 이해하기 101
〈도판 29-4〉 활동지 준비 101
〈도판 29-5〉 낱말 퍼즐형 워크시트 구상 101
〈도판 29-6〉 낱말 퍼즐형 워크시트 제작 101
〈도판 30〉 '작품의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낱말 퍼즐형 워크시트 제작... 102
〈도판 30-1〉 홍○○ 학생 활동지. 중2. 남. 2018 102
〈도판 30-2〉 홍△△ 학생 활동지 중2. 여. 2018 102
〈도판 31〉 작품의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103
〈도판 31-1〉 홍○○ 학생 활동지. 중2. 남. 2018 103
〈도판 31-2〉 홍△△ 학생 활동지. 중2. 여. 2018 103
〈도판 32〉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103
〈도판 32-1〉 홍○○ 학생 활동지. 중2. 남. 2018 103
〈도판 32-2〉 홍○○ 학생 활동지. 중2. 여. 2018 103
〈도판 33〉 '사회·문화적 이해 위한 퀴즈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수업자료 113
〈도판 33-1〉 학습 주제 113
〈도판 33-2〉 초현실주의 시대적 배경 소개 113
〈도판 33-3〉 초현실주의 선언 개념 113
〈도판 33-4〉 사회·문화적 배경 이해 113
〈도판 33-5〉 초현실주의 작품의 흐름 113
〈도판 33-6〉 작품의 변화 과정 113
〈도판 33-7〉 초현실주의의 영향력 113
〈도판 33-8〉 퀴즈형 워크시트 참고자료 113
〈도판 33-9〉 키워드 정리 113
〈도판 34〉 '사회·문화적 이해 위한 프로그램' 활동지 114
〈도판 34-1〉 사회·문화적 이해 위한 퀴즈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활동지-도입 114
〈도판 34-2〉 사회·문화적 이해 위한 퀴즈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활동지-전개 114
〈도판 35〉 '사회·문화적 이해 위한 퀴즈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115
〈도판 35-1〉 초현실주의의 배경 이해 115
〈도판 35-2〉 초현실주의 작가별 작품 감상 115
〈도판 35-3〉 초현실주의의 영향 작품 감상 115
〈도판 35-4〉 워크시트 유형 예시자료 설명 115
〈도판 35-5〉 키워드 정리 및 워크시트 제작 준비 115
〈도판 35-6〉 퀴즈형 워크시트 제작 115
〈도판 36〉 '사회·문화적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 결과물 116
〈도판 36-1〉 이○○ 학생 활동지. 중2. 여. 2017 116
〈도판 36-2〉 문○○학생 활동지. 중3. 남. 2018 116
〈도판 37〉 사회·문화적 이해를 위한 퀴즈형 워크시트 활동지 결과물 117
〈도판 37-1〉 이○○ 학생 활동지. 중2. 여. 2017 117
〈도판 37-2〉 채○○ 학생 활동지. 중2. 남. 2017 117
〈도판 38〉 다양한 워크시트 형태 제작 수업 사례 127
〈도판 38-1〉 정○○학생 작가탐구 활동지. 고1. 여. 2017 127
〈도판 38-2〉 이○○학생 작가탐구 활동지. 고1. 여. 2017 127
〈도판 39〉 해외 미술관 GETTY MUSEUM의 워크시트 사례 129
〈도판 40-1〉 르누아르 작품감상 워크시트 분석 129
〈도판 40-2〉 구스타브 쿠르베 작품 감상 워크시트북 분석 129
〈도판 40〉 체험 영역 중심 워크시트 사례 130
〈도판 41〉 표현 영역 중심 워크시트 사례-생각하는 박물관 131
〈도판 42〉 감상 영역 중심 워크시트 사례 132
최근 미술교육에서 감상 수업은 미술에 대한 이해와 비평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초현실주의에 대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워크시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초현실주의에 대한 워크시트를 개발의 필요성과 초현실주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조사에 의하면 초현실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워크시트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 교과서에서도 여러 가지 형태의 워크시트들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대체로 비슷한 유형으로 글쓰기 중심의 활동지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활동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초현실주의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워크시트를 제작하여 감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제3장에서는 초현실주의 이해를 위한 감상 워크시트 제작 '작가 분석을 위한 카드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조형적 특징 이해를 위한 낱말 퍼즐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 '사회·문화적 배경 이해를 위한 퍼즐형 워크시트 제작 프로그램'의 3가지를 개발하였다. 카드형, 낱말 퍼즐형, 퀴즈형 등 다양한 워크시트 제작을 통한 감상 수업 결과 초현실주의 작가에 대한 분석 능력과 조형적 특징을 이해하고, 초현실주의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쉽게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서양미술의 맥락적 이해를 하는 데 워크시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수업 전, 후의 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서양미술의 맥락적 흐름을 이해하고 초현실주의 작가와 작품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초현실주의를 감상하는 접근 방법이 쉽게 이루어져 초현실주의에 대한 미술사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초현실주의 작품의 표현 방법과 사회·문화의 맥락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로 워크시트의 용어적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 워크시트를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 따른 본 연구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워크시트를 체계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제작 사례 과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워크시트 형태가 다양화되어야 한다. 셋째, 영역별 유의미한 워크시트를 교과서에 수록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미술사조의 맥락적 이해에 대해 감상 워크시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으로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