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3

3. 용어의 정의 13

1) 핵심역량 13

2) 과학적 의사소통 13

3) 코너(Corner) 14

4.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의사소통 16

1) 의사소통의 정의 16

2) 의사소통 능력 16

3) 의사소통 유형과 구성요소 18

2. 과학적 의사소통 18

3.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의사소통 20

4. 선행연구 고찰 21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22

1. 연구 대상 22

2. 연구 절차 및 방법 23

3. 분석 기준 24

1)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틀 24

2)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별 예시 30

IV. 연구 결과 및 논의 34

1.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 비교 36

1) 말하기(Speaking, S) 유형 36

2) 글쓰기(Writing, W) 유형 39

3) 정보 나타내기(Information Representation, R) 유형 42

4) 정보 찾기(Information Searching, I) 유형 46

5) 신체적 활동하기(Physical Activity, P) 유형 47

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별 내용 비교 49

1) 말하기(Speaking, S) 유형 내용 비교 49

2) 글쓰기(Writing) 유형의 내용 55

3) 정보 나타내기(Information Representation, R) 유형의 내용 59

4) 정보 찾기(Information Searching, I) 유형의 내용 71

5) 신체적 활동하기(Physical Activity, P) 유형의 내용 73

V.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80

VI. 참고 문헌 81

ABSTRACT 83

〈표 1〉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에 포함된 코너 14

〈표 2〉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에 포함된 코너 14

〈표 3〉 의사소통 능력 정의(엄은나, 2006) 17

〈표 4〉 의사소통의 방식(전성수, 2013) 18

〈표 5〉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과서 목록 22

〈표 6〉 과학적 의사소통 기능 상위 요소 및 하위 요소 24

〈표 7〉 의사소통 표현 방식에 따른 유형(장미경, 2016) 25

〈표 8〉 본 연구에서의 말하기(S) 유형 26

〈표 9〉 본 연구에서의 글쓰기(W) 유형 27

〈표 10〉 본 연구에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 29

〈표 11〉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의 비교 34

〈표 1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말하기(S) 유형 비교 36

〈표 13〉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글쓰기(W) 유형 비교 39

〈표 14〉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그래프로 나타내기(R1) 유형 비교 43

〈표 15〉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표로 나타내기(R2) 유형 비교 44

〈표 16〉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그림으로 나타내기(R3) 유형 비교 45

〈표 17〉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정보 찾기(I) 유형 비교 47

〈표 18〉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 비교 48

〈표 19〉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발표하기(S1) 유형에 대한 내용 49

〈표 20〉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토의하기(S2) 유형에 대한 내용 51

〈표 21〉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토론하기(S3) 유형에 대한 내용 53

〈표 2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비판적 글쓰기(W2) 유형에 대한 내용 57

〈표 23〉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에서 그래프로 나타내기(R1) 유형을 포함한 단원 59

〈표 24〉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표로 나타내기(R2) 유형의 표현 방식에 따른 단원 구성 65

〈표 25〉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그림으로 나타내기(R3) 유형에 대한 내용 68

〈표 26〉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정보 찾기(I) 유형에 대한 내용 71

〈표 27〉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I 교과서의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에 대한 내용 74

〈그림 1〉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관련 요소(전성수, 2013) 19

〈그림 2〉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분석 절차 23

〈그림 3〉 본 연구에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 5가지 26

〈그림 4〉 국어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글쓰기의 유형(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27

〈그림 5〉 발표하기(S1)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B15) 30

〈그림 6〉 토의하기(S2)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A15) 30

〈그림 7〉 토론하기(S3)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C15) 30

〈그림 8〉 해명적 글쓰기(W1)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C15) 31

〈그림 9〉 비판적 글쓰기(W2)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B15) 31

〈그림 10〉 그래프로 나타내기(R1)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A15) 31

〈그림 11〉 표로 나타내기(R2)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C15) 32

〈그림 12〉 그림으로 나타내기(R3)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B15) 32

〈그림 13〉 정보 찾기(I)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A15) 32

〈그림 14〉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의 제시 방법 예시(B15) 33

〈그림 15〉 해명적 글쓰기(W1) 유형 예시-'친구끼리 묻고 답하기' 코너 포함(C15) 40

〈그림 16〉 해명적 글쓰기(W1) 유형 예시-글쓰기 공간 포함(D15) 41

〈그림 17〉 토론의 의미 해석에 대한 내용 예시(B09) 54

〈그림 18〉 해명적 글쓰기(W1) 유형의 내용 예시-가설 설정(B15) 56

〈그림 19〉 그래프로 나타내기(R1) 유형 내용 예시 비교(A09) 60

〈그림 20〉 그래프로 나타내기(R1) 유형 내용 예시 비교(A15) 61

〈그림 21〉 그래프 나타내기(R1) 유형 내용 예시 비교(C15) 62

〈그림 22〉 컴퓨터 프로그램 내용 보완의 필요성(C15) 63

〈그림 23〉 표로 나타내기(R2) 유형 내용 예시-화학 개념을 표로 나타내기(B15) 64

〈그림 24〉 표로 나타내기(R2) 유형 내용 예시-실험 결과를 표로 나타내기(C15) 64

〈그림 25〉 그림으로 나타내기(R3) 유형 내용 예시-비유하여 나타내기(B15) 70

〈그림 26〉 정보 찾기(I) 유형 내용 예시-매체를 언급하지 않음(A15) 71

〈그림 27〉 정보 찾기(I) 유형 내용 예시-매체를 언급함(B15) 71

〈그림 28〉 정보 찾기(I) 유형 내용 예시-웹사이트 언급(A15) 72

〈그림 29〉 정보 찾기(I) 유형 내용 예시-웹사이트 이용(C15) 73

〈그림 30〉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의 내용 예시-포트폴리오(A15) 75

〈그림 31〉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 내용 예시-포트폴리오(B15) 75

〈그림 32〉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 내용 예시-UCC 활용(C15) 76

〈그림 33〉 신체적 활동하기(P) 유형 내용 예시-3D 프린트물 제작(D15) 76

초록보기

 과학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의사소통 능력은 더욱 더 중요시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5가지 핵심역량 중 하나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예시로 글, 그림 등 다양한 양식을 이용한 의사소통 능력, 컴퓨터,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의사소통 능력, 논증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을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 I 교과서가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와 비교하여 그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내용을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빈도와 그 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여전히 글쓰기 유형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고 말하기나 정보 나타내기, 정보 찾기, 신체적 활동하기 유형은 전반적으로 소폭 증가 또는 감소할 뿐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다양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의 과학적 의사소통에 따른 내용을 비교한 결과, 말하기나 글쓰기 유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정보 나타내기, 정보 찾기, 신체적 활동하기 유형은 이전 교육과정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교과서의 과학적 의사소통 유형을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역량 중 하나인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자가 좀 더 다양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과학적 의사소통 내용 또한 균형 있게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