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11

2. 선행연구 검토 13

3. 연구 범위와 방법 18

II. 권정생과 옛이야기 21

1. 권정생의 작품세계와 작품활동 22

가. 생애와 작품세계 22

나. 옛이야기 작품활동 29

다. 아동극 창작활동 32

2. 아동문학과 옛이야기 34

가. 아동문학장르로서 옛이야기 34

나. 옛이야기의 유형과 변형 36

다. 옛이야기 그림책 44

III. 권정생 옛이야기의 특징 47

1. 유형적 특징 47

가. 옛이야기 유형의 모방 49

나. 옛이야기의 변형 55

2. 내용적 특징 73

가. 생태적 시각 73

나. 평화와 공존의 시각 76

다. 성장과 독립의 시각 80

라. 풍자와 해학의 시각 85

3. 형식적 특징 88

가. 동화 89

나. 그림책 98

다. 아동극 114

IV. 권정생 옛이야기의 의의와 한계 125

1. 의의 125

2. 한계 131

V. 결론 133

참고문헌 135

Abstract 145

표목차

〈표 1〉 권정생 옛이야기 연구 대상 작품 19

〈표 2〉 설화 분류표 37

〈표 3〉 조희웅의 한국 설화의 유형 분류표 39

〈표 4〉 서정오의 옛이야기 글로 옮기는 유형분류 41

〈표 5〉 옛이야기 관계유형 분류표 43

〈표 6〉 그림책에서의 글과 그림의 관계 46

〈표 7〉 권정생 옛이야기 본이 된 민담 48

〈표 8〉 조희웅의 분류법에 의한 권정생 옛이야기 분류 49

〈표 9〉 옛 노래 연행상황 및 기능별 분류 54

〈표 10〉 이야기 변형정도에 따른 유형 분류 56

〈표 11〉 〈금강산 호랑이 설화 기본형의 서사단락〉 65

〈표 12〉 『눈이 되고 발이 되고』와『길 아저씨 손 아버지』 서사단락 비교 70

〈표 13〉 『업이 하고 가재하고』 공간이동 81

〈표 14〉 『똑똑한 양반』 새끼 서 발로 바꾼 물건의 변화 82

〈표 15〉 『금강산 호랑이』 유복이의 공간이동 84

〈표 16〉 권정생 옛이야기 형식 분류표 88

〈표 17〉 제라르 쥬네트(Ge´rard Genette)의 세가지 시점 유형 93

〈표 18〉 권정생 옛이야기 그림책 글과 그림의 상호관계 99

〈표 19〉 한국 민화를 활용한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징 101

〈표 20〉 권정생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민화의 조형성 101

〈표 21〉 『팥죽할머니』 장소, 시간 및 주요사건 정리 116

〈표 22〉 『팥죽할머니』의 음향효과 119

그림목차

[그림 1] 그림책 텍스트 46

[그림 2] 『훨훨 날아간다』의 표지 102

[그림 3] 『훨훨 간다』의 표지 102

[그림 4] 『훨훨 날아간다』의 농부 102

[그림 5] 『훨훨 간다』의 빨간코 농부 102

[그림 6] 꼬부랑 할머니가 103

[그림 7] 꼬부랑 지팡이를 짚고 103

[그림 8] 꼬부랑 길을 가다가 104

[그림 9] 꼬부랑 고개를 넘어 104

[그림 10] 낚시를 하는 모습 104

[그림 11] 잉어를 잡아 돌아가는 모습 104

[그림 12] 정선의 〈금강전도〉 105

[그림 13] 정승각의 『금강산 호랑이』 중 유복이가 금강산으로 떠나는 장면 105

[그림 14] 유복이를 잡아먹는 호랑이 모습 106

[그림 15] 배에 칼이 찔려 고통스러워하는 호랑이 106

[그림 16] 호작도 106

[그림 17] 『훨훨 날아간다』 농부를 따라 하는 모습 107

[그림 18] 『훨훨 간다』 빨간코 농부를 따라 하는 할아버지 모습 107

[그림 19] 『훨훨 간다』 빨간코 농부를 따라 하는 할아버지 모습 107

[그림 20] 『훨훨 간다』 이야기를 듣고 놀라는 도둑의 모습 107

[그림 21] 『훨훨 간다』 이야기를 듣고 놀라는 도둑의 모습 107

[그림 22] 나갈 수 없어 막막한 길 아저씨 108

[그림 23] 앞이 보이지 않는 손 아저씨 108

[그림 24] 길 아저씨 손 아저씨의 모습 109

[그림 25] 유복이가 놀림을 받는 모습 109

[그림 26] 아가씨와 결혼한 유복이 모습 109

[그림 27] 유복이가 금강산으로 떠나는 장면 110

[그림 28] 유복이를 잡아먹는 호랑이 모습 110

[그림 29] 호랑이 뱃 속에서 쓰러진 유복이 110

[그림 30] 배가 칼에 찔려 고통스러워하는 호랑이 110

[그림 31] 산신령에 절하는 유복이 111

[그림 32] 정화수를 떠 놓고 산신령에게 빌고 있는 어머니 111

[그림 33] 『훨훨 간다』의 표지 112

[그림 34] 『길 아저씨 손 아저씨』의 표지 112

[그림 35] 『훨훨 간다』의 앞면지 112

[그림 36] 『훨훨 간다』의 뒷면지 112

[그림 37] 『길 아저씨 손 아저씨』의 앞면지 113

[그림 38] 『길 아저씨 손 아저씨』의 뒷면지 113

[그림 39] 할머니가 똥을 누는 모습 113

[그림 40] 꼬부랑 개가 오는 모습 113

[그림 41] 꼬부랑 똥을 먹는 모습 113